*한반도의 등뼈 中心에 우뚝 선 小白山 비로봉*   

 

 

 

 

*소백산 (小白山 1439m)은 1987年 18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으며.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에 이어 山岳形 국립공원

가운데 네 번째로 넓다. 비로봉을 中心으로 國望峰 (1420m). 蓮花峰 (1383m). 도솔봉 (1342m)등이 白頭大幹

마루금 상에 솟아 있으며. 퇴계 이황선생이 "울긋불긋한 것이 꼭 비단 장막 속을 거니는 것 같고 호사스러운 잔치 자리에

왕림한 기분"이라며. 소백산 철쭉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것처럼. 해마다 봄철이면 수많은 탐방객들이 소백산

방문하고 있으며. 겨울이면 裝重한 백두대간 위에 雪花가 만발하는 絶景을 이루는 산이다*   

 

*산행코스 : 어의곡 주차장~을전~벌바위 계곡~늦은 매기재~상월봉~국망봉~1380봉~소백산 (비로봉)~주목 감시초소~

연화봉 갈림길~천동계곡~다리안 폭포~천동 주차장* [ 산행거리 17. 20km - 6시간 11분 ( 운동시간 ) ]

 

*어의곡 탐방로에서 비로봉을 오르는 등산로 入口.  A코스를 선택한 우리 팀은 을전으로~*

 

 

*을전 탐방로입구*

 

 

*을전 계곡의 출렁다리*

 

  

 

 

 

*을전계곡에서 늦은 매기재 직전까지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돌이 깔린 등산로를 걷는다* 

 

 

*등로의 기암*

 

 

*늦은 매기재*

 

 

 

 

 

 

 

 

 

 

 

*소백산 감자난초*

 

 

 

 

 

*앵초*

 

 

 

 

 

 

 

 

 

 

 

*상월봉*

 

*상월봉 아래에서 시작되는 철쭉 군락지. 예년보다 일찍 開花한 철쭉꽃은 떨어지고 잎만 무성하다*

 

 

*조망바위*

 

 

*조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상월봉 방향*

 

 

*산행을 進行할 국망봉 방향*

 

 

*비록 철쭉은 떨어지고 없지만. 파란 하늘에 떠 있는 흰구름과 조화를 이룬 소백산의 풍경이 너무 멋진 날이다* 

 

 

 

 

 

*영주시 방향*

 

 

*흔하디 흔한 쥐 오줌 풀도 멋진 모델이 되는 날이다*

 

 

*쥐오줌 풀. 뿌리에서 쥐오줌 냄새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고 한다*

 

 

*어쩌다 남은 철쭉꽃은 반갑기만 하고~*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만년소녀님과 라임님*

 

 

 

 

 

 

 

 

*스마트님*

 

 

 

 

 

 

 

 

 

 

 

 

 

 

 

 

 

 

 

 

 

 

 

 

 

 

*조금 前 내려온 國望峰 (국망봉)*

 

 

 

 

 

 

 

 

 

 

 

 

 

 

 

 

 

 

 

 

 

 

 

 

 

 

 

 

 

*영주에서 멀지 않은 안동 도선서원에 계셨던 퇴계이황 선생이 다녀간 小白山城 터*

 

 

*비로봉 방향*

 

 

 

 

 

 

 

 

 

 

 

 

 

 

 

 

 

 

 

 

 

 

 

*어의곡 탐방센터에서 올라오는 登路와 합류지점*

 

 

*비로봉 주변의 소백평원*

 

 

*연화봉 방향*

 

 

*비로봉*

 

 

 

 

 

 

 

 

 

 

 

 

 

 

*비로봉 정상 認證을 하려고 길게 늘어선 등산객들~*

 

 

*1시간 이상은 기다려야 하기에 頂上 認證은 포기하고~*

 

 

*頂上을 내려간다*

 

 

 

 

 

*주목 군락지*

 

 

*주목 감시초소에서 보는 소백산 정상*

 

 

*당겨서 찍은 비로봉*

 

 

 

 

 

 

 

 

 

 

 

 

 

 

 

 

 

 

 

 

 

 

 

 

 

 

*연화봉과 희방사 방향*

 

 

 

 

 

 

 

 

 

 

 

 

 

 

*연화봉 갈림길에서 천동계곡 방향으로 하산한다*

 

 

 

 

 

*천동탐방안내소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암릉美가 빼어난 속리산. 서북능선 묘봉 (토끼봉)*

 

 

 

*속리산 妙峰은 충북 보은과 경북 상주의 경계에 있는 岩峰으로 獨立된 봉우리가 아니라

母山인 속리산에서 西北陵線인 문장대~관음봉~묘봉~상학봉~연결된 암봉으로. 巨石들이 즐비하고

石門이 많으며. 奇岩 怪石과 老松이 어우러진 암릉 능선의 景觀이 빼어난 산이다*     

 

*산행코스 : 운흥 1리 마을회관~이정표~갈림길 사지매기재~마당바위~토끼봉~765봉~석굴~비로봉~상학봉~암릉(855봉)~

묘봉~북가치~절골~미타사* [ 산행거리 6. 55km - 3시간 35분 (산길샘 오류로 거리와 시간은 정확지 않음 ) ]

 

*운흥 1리 마을에서 산행을 시작하면서 보는 묘봉*

 

 

 

 

 

*사진의 이정표를 지나 出禁표식이 있는 곳에서 사지매기재 방향으로~* 

 

 

 

 

 

*사지매기재에서 보는 토끼봉*

 

 

 

 

 

 

 

 

*바위길 구간*

 

 

 

 

 

 

 

 

 

 

 

*오늘 함께 산행하는 회원님들*

 

 

 

 

 

*토끼봉 아래 마당바위*

 

 

*마당바위에서 보는 토끼봉*

 

 

 

 

 

 

 

 

*상모봉과 마주 보고 있는 마당바위*

 

 

 

 

 

 

 

 

 

 

 

*토끼봉으로 오르는 오버형 직벽 바위 구간*

 

 

 

 

 

*2차 로프구간*

 

 

 

 

 

*토끼봉 정상*

 

 

 

 

 

 

 

 

 

 

 

 

 

 

 

 

 

 

 

 

 

 

 

 

 

 

 

 

 

 

 

 

*첨탑 바위*

 

 

*멋진 포즈의 비치님*

 

 

 

 

 

 

 

 

 

 

 

 

 

 

*左 토끼봉. 中 첨탑 바위. 右 주전자 바위*

 

 

 

 

 

 

 

 

*첨탑바위와 토끼봉*

 

 

 

 

 

 

 

 

 

 

 

 

 

 

 

 

 

*잠시 후 오를 비로봉*

 

 

*비로봉 아래에서 나무 펜스를 넘어서  石門을 통과하여 올라간다*

 

 

*비로봉*

 

 

*상학봉 인증*

 

 

 

 

 

 

 

*

스핑크스 바위*

 

 

 

 

 

 

 

 

 

 

 

 

 

 

*암릉 (860m)*

 

 

 

 

 

 

 

 

*지나온 토끼봉. 상학봉. 암릉 (860m 봉)*

 

 

 

 

 

 

 

 

 

 

 

 

 

 

*묘봉 정상의 기암*

 

 

 

 

 

*묘봉에서 보는 속리산 관음봉 방향*

 

 

*지나온 능선*

 

 

*문장대~관음봉~속가치~묘봉으로 이어지는 속리산 서북능선*

 

 

 

 

 

 

 

 

*하산길 조망 바위에서 보는 오늘 산행한 봉우리들*

 

 

*북가치 여적암. 갈림길에서 미타사 방향으로 하산한다*

 

 

 

 

 

 

 

 

 

 

 

*절골 계곡을 내려와 미타사아래 주차장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백두대간 마루금에 핀 소백산의 멋진 雪花*

 

 

 

*小白山은 1987년 18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으며.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에 이어 산악형 국립공원 가운데.

네 번째로 넓고. 해발 1439m인 비로봉을 中心으로 國望峰 (국망봉 1420.8m) 蓮花峰 (연화봉 1383m). 도솔봉 (1342m) 등이

白頭大幹 마루금에 솟아있다. 퇴계 이황 선생은 "울긋불긋한 것이 마치 비단 帳幕(장막) 속을 거니는 것

같고 호사스러운 방문하고 있으며. 겨울철이면 장중한 백두대간 위에 雪花가 만발하여 멋진 絶景을 이루어 내는 산이다*

                                    

 

*산행코스 : 어의곡 탐방소~이의계곡~소백산 (비로봉)~주목감시 초소~1405 봉~1395 봉~제1 연화봉~연화봉 (천문대)~

1117봉~희방사~희방폭포~희방계곡~주차장* [ 산행거리 13.88km - 6시간 35분 ( 운동시간 ) ] 

 

 

*어의곡 계곡으로 국망봉. 비로봉을 오르는 등산로 입구*

 

 

 

 

 

 

 

 

*어의곡 계곡을 지나 능선에 오르자 눈꽃이 보이기 시작한다*

 

 

 

 

 

 

 

 

 

 

 

 

 

 

 

 

 

 

 

 

 

 

 

 

 

 

*국망봉 갈림길*

 

 

*올라온 어의곡 방향*

 

 

*비로봉과 연화봉 방향*

 

 

*국망봉 방향*

 

 

 

 

 

 

 

 

 

 

 

 

 

 

 

 

 

 

 

 

 

 

 

 

 

 

 

 

 

 

 

 

 

 

 

*소백산 정상의 바람이 얼마나 세게 부는 지를 보여주는 기울어진 이정표* 

 

 

 

 

 

*오늘 함께 산행하는 좌측부터. 제이 부회장님. 라임. 파랑요정. 현주님*

 

 

 

 

 

 

 

 

*비로봉에서 보는 산행을 이어갈 연화봉 방향*

 

 

 

 

 

*백두대간 마루금 1405봉과 1395봉*

 

 

 

 

 

 

 

 

 

 

 

*주목 군락지*

 

 

 

 

 

 

 

 

 

 

 

 

 

 

*비로봉에서 내려온 계단길과 주목*

 

 

*현주 님*

 

 

 

 

 

 

 

 

*영주 방향의 산그리메*

 

 

 

 

 

*주목 감시초소로 점심을 먹으려 내려간다*

 

 

 

 

 

 

 

 

*주목 초소에서 보는 비로봉과 주목군락지*

 

 

 

 

 

*잠시 후 오를 1405봉*

 

 

 

 

 

*1405봉을 오르며 돌아본 비로봉*

 

 

 

 

 

 

 

 

 

 

 

 

 

 

 

 

 

 

 

 

 

 

 

*천동 갈림길을 지나 1405봉에서 보는 소백산 정상*

 

 

 

 

 

 

 

 

*산호초 터널을 이룬 능선길에 핀 눈꽃*

 

 

 

 

 

 

 

 

 

 

 

 

 

 

 

 

 

*충북 알프스. 最高의 眺望터 묘봉. 상학봉. 토끼봉* 

 

 

 

 

 

 

*산행코스 : 신정리 거북바위 주차장~임도~육각정~697봉 갈림길~로프 구간~애기 업은 바위~석문~

암릉~묘봉~ (860봉)~상학봉~비로봉~석문바위~토끼봉~707봉~안부~반석~신정리 주차장*

[ 산행거리 11. 92km - 5시간 27분 ( 운동시간 ) ]

 

*3주만에 다시 찾은 상학봉이지만 인증을 하고~*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상학봉. 뒤편 조망터에서 보는 비로봉과 토끼봉*

 

 

*당겨 찍은 토끼봉*

 

 

 

 

 

 

 

 

 

 

 

 

 

 

 

 

 

*물개 바위*

 

 

*비로봉 기암*

 

 

*비로봉 정상*

 

 

*조금 전 내려온 상학봉*

 

 

*비로봉과 마주 보고 있는 백악산*

 

 

 

 

 

 

 

 

 

 

 

 

 

 

*비로봉 석문*

 

 

 

 

 

 

 

 

 

 

 

*조금前 내려온 비로봉*

 

 

 

 

 

 

 

 

 

 

 

 

 

 

 

 

 

*토끼봉과 첨탑 바위*

 

 

 

 

 

 

 

 

*토끼봉으로 내려가는 석문 바위*

 

 

*첨탑바위*

 

 

*비탐 구간이라 로프를 잘라놓은 토끼봉 오름 직벽 구간*

 

 

 

 

 

 

 

 

*토끼봉*

 

 

*토끼봉 기암*

 

 

 

 

 

*토끼봉 아래 마당바위*

 

 

 

 

 

*마당 바위에서 보는 토끼봉*

 

 

*707봉*

 

 

*두리봉*

 

 

*토끼봉*

 

 

*두리봉*

 

 

 

 

 

 

 

 

 

 

 

 

 

 

*두리봉 (707m) 정상 3주 전 올랐던 곳이라 인증은 생략한다*

  

 

*두리봉 (707봉)에서 보는 584봉과 매봉과 미남봉* 

 

 

 

 

 

*신정리 하산길의 기암*

 

 

*지도상 바위로 표기된 커다란 바위*

 

 

*계곡의 반석*

 

 

 

 

 

 

 

 

*하산하여 올려다보는 오늘 산행한 충북 알프스 능선*

 

 

*산행을 시작했던 신정리 주차장으로 원점 회귀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충북 알프스. 최고의 조망터 애기 업은 바위*

 

 

 

*묘봉 소개는 3주 전 산행 때 소개했기에 오늘은 생략한다. 속리산 묘봉. 상학봉 산행은 대부분 운흥리 두부 마을이나

속 가치. 방향에서 오른다. 하지만. 오늘은 미답 코스인 신정리에서 애기 업은 바위 코스로 라임님과 산행을 한다*

   

    

*산행코스 : 신정리 거북바위 주차장~임도~육각정~697봉 갈림길~로프 구간~애기 업은 바위~석문~

암릉~묘봉~암릉 (860봉)~상학봉~비로봉~석문바위~토끼봉~707봉~안부~반석~신정리 주차장*

[산행거리 11. 92km - 5시간 27분 ( 운동시간 ) ]

 

*오늘의 산행 시작 지점인 신정리 묘봉 코스*

 

 

*우측 묘봉. 애기 업은 바위. 방향으로*

 

 

*능선을 타고 애기 업은 바위를 오르는 갈림길 이정표*

 

 

*임도 끝 지점인 육각정 쉼터*

 

 

 

 

 

*육각정에서 올라 오는 등산로과 능선을 타고 오는 등산로와 합류하는 지점*

 

 

*능선 합류 지점부터 로프 길이 시작된다*

 

 

 

 

 

 

 

 

*가파르고 위험한 로프 구간도 있지만. 이런 곳에 로프까지 하는 구간도 있다* 

 

 

*공깃돌 바위*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물개 바위*

 

 

*바위길 로프 구간* 

 

 

 

 

 

*첫 조망 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능선*

 

 

*매봉과 미남봉 방향*

 

 

 

 

 

 

 

 

*애기 업은 바위 하단부* 

 

 

*바위 위에 바위가 업혀있는 모습을 하고 있어 애기 업은 바위라 이름 짓어진 듯하다* 

 

 

*애기 업은 바위 오르는 직벽 로프 구간*

 

 

*바위 거대하여 로프 길이가 몇십 미터는 족히 된다*  

 

 

*애기 업은 바위*

 

 

*충북 알프스 최고의 조망터. 애기 업은 바위에서 보는 묘봉. 상학봉과 오름길 능선*

 

 

*문장대. 관음봉. 방향*

 

 

 

 

 

 

 

 

 

 

 

 

 

 

 

 

 

*기암*

 

 

 

 

 

 

 

 

*석문 바위*

 

 

 

 

 

*지나온 봉우리와 능선*

 

 

*좌측 묘봉과 우측 865봉*

 

 

 

 

 

 

 

 

 

 

 

*조금 전 걸었던 좌측 애기 업은 바위봉에서 이어진 암봉들*

 

 

 

 

 

 

 

 

 

 

 

 

 

 

*묘봉에서 860봉. 상학봉. 토끼봉. 산행을 이어갈 봉우리들*

 

 

*관음봉. 문장대. 방향*

 

 

 

 

 

 

 

 

 

 

 

*백악산. 가령산. 방향*

 

 

 

 

 

*조금 전 내려온 묘봉*

 

 

*암릉 (860봉) 애기 업은 바위. 신정리. 갈림길*

 

 

*함박꽃*

 

 

*일반 등산객들이 다니지 않는 좁은 석문 통과하여~*

 

 

*로프가 있는 직벽을 오르면~*

 

 

*주변의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조망 바위가 있다*

 

 

*낙영산. 가령산. 백악산. 멀리 대야산 까지 조망된다*

 

 

 

 

 

 

 

 

 

 

 

 

 

 

 

 

 

 

 

 

 

 

 

 

 

 

 

 

 

 

 

 

*기암*

 

 

 

 

 

*스핑크스 바위*

 

 

 

 

 

*묘봉 .상학봉. 산행기 2부에서 계속된다*

 

 

 

*기암과 고봉.自然景觀이 빼어난 한국의 八景 속리산*

 

 

*俗離山은 높이 1058.4m의 山으로 한국 八景 가운데의 하나로 소금강산. 구봉산. 광명산 등으로도 불린다. 산세가

험하고 웅장하며 기암 고봉과 울창한 樹林. 깊고 수려한 계곡과 폭포 등의 뛰어난 自然 景觀과 법주사를 비롯한

수많은 文化遺跡 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이 一帶 1969년에는 국민 관광지로 1970년에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다.

 

 

*산행코스 : 법주사 주차장~법주사~세조길~목욕 소~세심정~상환암~갈림길~천왕봉~헬기장~석문~비로봉~

입석대~신선대~경업대~금강휴게소~법주사~주차장* [산행거리 18. 43km - 6시간 39분 (운동시간) ]

 

 

 

 

 

 

 

 

 

 

 

*석문*

 

 

 

 

 

 

 

 

 

 

 

 

 

 

 

 

 

*지나온 천왕봉 방향*

 

 

 

 

 

 

 

 

*고릴라 바위*

 

 

 

 

 

 

 

 

 

 

 

 

 

 

 

 

 

 

 

 

*조망바위에서 보는 산행을 진행할 신선대 방향*

 

 

 

 

 

 

 

 

 

 

 

 

 

 

 

 

 

 

 

 

*비로봉의 거대한 얹친바위*

 

 

*비로봉에서 보는 입석대*

 

 

*속리산 동릉 능선*

 

 

 

 

 

*입석대. 碑石처럼 우뚝 선 巨大한 바위는 임경업 장군이 7年 修道 끝에 세운 것이라 전해진다* 

 

 

*조금 전에 올랐던 비로봉과 지나온 능선*

 

 

 

 

 

 

 

 

 

 

 

 

 

 

 

 

 

 

 

 

 

 

 

 

 

 

 

 

 

*동릉의 기암* 

 

 

 

 

 

*3개월 前. 산행했던 칠형제봉의 암릉*

 

 

 

 

 

 

 

 

*입석대 방향에서 보는 신선대 암릉*

 

 

*지나온 입석대와 비로봉*

 

 

*경업대. 법주사. 갈림길. 신선대를 들렸다가 이곳으로 돌아와 경업대.로 산행을 이어간다*

 

 

 

 

 

 

 

 

*신선대*

 

 

 

 

 

 

 

 

 

 

 

*선선대에서 보는 문장대 방향*

 

 

 

 

 

*칠형제봉의 마지막 봉우리인 청법대*

 

 

*신선 대을 들렸다가 지난 9월 29일 칠형제봉을 산행하면서 문장대는 다녀왔길래 오늘은 경업대로 방향으로 하산한다*

 

 

 

 

 

 

 

 

 

 

 

*경업대 암릉*

 

 

*경업대 상단부의 기암*

 

 

 

 

 

 

*경업대 정상의 天合萬壽臺 (천합 만수대)라는 岩刻 글자 새겨져 있다.

나름 되로 글귀를 풀이해보면 하늘과 마음이 합하면 만수를 누린다는 뜻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경업대에서 보는 암릉*

 

 

 

 

 

 

 

 

 

 

 

*내려와 올려다보는 경업대 암릉*

 

 

 

 

 

*경업대 전망대에서 보는 입석대*

 

 

 

 

 

 

 

 

 

 

 

 

 

 

 

 

 

 

 

 

 

 

 

 

 

 

 

 

 

*국립공원 한가운데 민간인이 운영하는 금강골 휴게소*

 

 

 

 

 

 

 

 

*흔들바위*

 

 

*관음암 갈림길*

 

 

*상고암 가는 길*

 

 

 

 

 

*특이한 무늬를 새겨 놓은 듯한 바위*

 

 

*비로산장*

 

 

 

 

 

*오전에 올라갔던 천왕봉 상환암 방향 갈림길 삼거리*

 

 

 

 

 

 

 

 

 

 

 

*피부병을 심하게 앓던 세조가 월광 태자의 조언을 듣고 목욕을 하고 종기가 깨끗하게 나았는 전설이 있는 목욕 소* 

 

 

*조선의 7대 왕 세조가 복천암에 거주하고 있던 신미대사를 만나기 위해 직접 걸었다는

속리산 길을 2016년 9월 처음 복원하여 세조길이라 이름 지었다 한다*

 

 

 

 

 

 

 

 

 

*俗離實記碑閣 (속리 실기 비각)*

 

 

*법주사 천왕문*

 

 

*천년 고찰 법주사. 553년 신라 진흥왕 때 의신 조사가 창건하였으며 2018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일주문을 나오면서 속리산 산행을 종료한다*

 

 

 

 

*白頭大幹 장엄한 산줄기의 岩峰 岩陵. 경관이 빼어난 속리산*

 

 

*俗離山은 1970년 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예로부터 제2금강 또는 소금강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빼어나다.

총면적 274.766㎢에 달하는 속리산 국립공원은 충북과 경북의 여러 지역에 걸쳐 바위로 이루어진 산으로

주요 봉우리인 天王峰과 비로봉. 문장대는 白頭大幹의 장엄한 산줄기를 잇고 있어 岩峰과 岩陵이 잘 발달되어 있다.

南쪽의 천왕봉 (1.058m)을 中心으로 비로봉. 문장대. 관음봉. 등 8개의 봉우리가 활처럼 휘어져 뻗어있다* 

 

 

*산행코스 : 법주사 주차장~법주사~세조길~목욕 소~세심정~상환암~갈림길~천왕봉~헬기장~석문~비로봉~

입석대~신선대~경업대~금강 휴게소~법주사~주차장* [산행거리 18. 43km - 6시간 39분 (운동시간) ]

 

 

*법주사 일주문*

 

 

*세조길. 1450년경 조선의 7대 왕이었던 세조가 직접 속리산을 왕래하던 길이다*

 

 

*법주사 뒤편의 수정봉*

 

 

 

 

 

 

 

 

 

 

 

*세조가 목욕을 하고 피부병이 나았다는 목욕 소*

 

 

 

 

 

 

 

 

 

 

 

*세심정 절구통*

 

 

 

 

 

 

 

 

 

 

 

*경업대. 천왕봉. 갈림길. 우측 천왕봉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상환암*

 

 

 

 

 

*上歡庵 重創碑*

 

 

*상환암 위쪽 岩刻 바위. 글자는 흐릿하여 알아볼 수 없다*

 

 

 

 

 

 

 

 

 

 

 

*상환 석문 내부*

 

 

 

 

 

*상환 석문*

 

 

 

 

 

 

 

 

 

 

 

*조망바위에서 보는 비로봉*

 

 

*신선대와 입석대*

 

 

 

 

 

 

 

 

*묘봉과 상학봉 방향*

 

 

 

 

 

*써니 님*

 

 

*현주님*

 

 

*나~*

 

 

 

 

 

 

 

 

 

 

 

 

 

 

*상고암 갈림길*

 

 

 

 

 

 

 

 

 

 

 

 

 

 

*천왕봉. 문장대. 갈림길*

 

 

 

 

 

*장각폭포 갈림길*

 

 

*전망바위에서 보는 문경 방향. 날씨가 좋아 멀리 백두대간 장성봉. 희양산까지 조망된다*

 

 

*속리산의 멋진 암봉과 암릉 群*

 

 

 

 

 

*좌측부터 관음봉. 가운데 문장대. 청법대. 신선대. 입석대*

 

 

 

 

 

 

 

 

 

 

 

 

 

 

 

 

 

*천왕봉에서 당겨 찍은 관음봉과 문장대*

 

 

*문장대~관음봉~묘봉~상학봉으로 이어진 충북 알프스로 불리는 능선*

 

 

 

 

 

 

 

 

 

 

 

 

 

 

 

 

 

 

 

 

 

 

 

 

 

 

 

 

 

 

 

 

*속리산 동릉 줄기*

 

 

 

 

 

 

 

 

 

 

 

 

 

 

 

 

 

 

 

 

 

 

 

 

 

 

 

 

 

*속리산 산행기는 2부로 이어진다*

 

 

 

 

 

*치악산~비로봉~사다리병창*

 

 

 

 

 

 

*한반도 중부지방 내륙산간에 위치한 치악산은 1984년 우리나라 1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주봉인 비로봉(1288m)을 중심으로 횡성군,원주시와 접하고있다.

치악산은 남쪽에 남대봉 북쪽에 매화산등 1000m가 넘는 고봉들 사이에 가파른 계곡들이

 자리해 예로부터 산세가 뛰어나고 험난하기로 이름이 높은 산이다*

 

 

 

산행코스 : 부곡탐방센터~큰무레골~천사봉~헬기장~비로봉~사다리병창~세렴폭포~

           구룡사 ~구룡탐방센터* [산행거리:12,55km - 5시간02분 (운동시간) ]

 

 

 

 

 

*부곡리 마을에서 바라 본 치악산 향로봉 방향의 능선*

 

 

 

 

 

*부곡리를 출발하여 부곡탐방지원센터를 통과 하면서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곧은재 갈림길에서 비로봉,큰무레골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3년전 부곡코스 개방 직후에 다녀간적이 있는 코스라 산길이 눈에 선하다*

 

 

 

 

 

 

 

 

 

 

 

 

 

 

 

 

 

 

 

 

 

 

 

*이곳 부곡리코스는 최단시간에 비로봉을 오를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등로주변에

그져그런 바위덩어리 몇개만 있을뿐 볼거리가 별루 없다* 

 

 

 

 

 

 

 

 

 

 

 

 

 

 

 

 

 

*천사봉 아래의 나무계단길*

 

 

 

 

 

*산행을 시작한후 처음으로 조망이 터진 천사봉에서 본 치악산 정상인 비로봉 방향*

 

 

 

 

 

 

 

 

 

 

 

 

 

 

 

 

 

 

 

 

 

 

 

*등로의 선바위*

 

 

 

 

 

 

 

 

 

 

 

*두번째 조망이 트인 헬기장! 비로봉에 불탑이 눈에 들어온다* 

 

 

 

 

            *차령산맥에 솟아 있는 높이1288m의 치악산은 본래는 가을 단풍이 아름다워서

             적악산이라 불렀으나 뱀에게 잡힌꿩을 구해준 나그네가 그 꿩의 보은으로

                 위기에서 목숨을 건졌다는 전설에서 雉岳山의 이름이 유래한다*

 

 

 

 

 

 

 

 

 

 

 

 

 

 

 

 

          *오늘 함께 산행에 참여한 항구에 남자 상철님과...*

 

 

 

 

 

       *기현님...*

 

 

 

 

 

 

 

 

 

 

 

         *오늘 올라온 부곡리 코스의 능선..*

 

 

 

 

 

 

 

 

 

 

 

 

 

 

 

 

 

     *쥐넘이재,토끼봉,방향의 능선*

 

 

 

 

 

     *오늘은 사다리병창길로 하산을 한다*

 

 

 

 

 

 

 

 

 

 

 

 

 

 

 

 

 

 

 

 

 

 

 

 

 

 

 

 

 

         *말등바위 전망대에서...*

 

 

 

 

 

        *매화산으로 이어진 능선*

 

 

 

 

 

         *당겨서 찍은 비로봉에서~세렴폭포로 내려오는 계곡 하산길*

 

 

 

 

 

 

 

 

 

 

 

 

 

 

 

 

 

 

 

 

 

 

 

 

 

 

 

 

 

 

 

 

 

 

 

 

 

 

 

 

 

 

 

 

 

 

 

 

 

 

 

 

 

 

 

 

 

 

 

 

 

 

 

 

 

         *세렴폭포*

 

 

 

 

 

 

 

 

 

 

 

 

 

 

 

 

 

 

 

 

 

 

 

 

 

 

 

 

 

 

 

 

 

 

 

 

 

 

 

 

 

 

 

 

 

 

 

 

 

 

 

 

 

 

 

 

 

 

 

 

 

 

 

 

          *구룡사 대웅전*

 

 

 

 

*구룡사는 신라 문무왕 6년 (66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대웅전 자리에 9마리의

용이 살고 있는 연못을 메우고 사찰을 창건하여 구룡사(九龍寺)라 하였으나 조선 중기에

거북바위 설화와 관련하여 현재의 구룡사(龜龍寺)로 개칭하였다고 전해진다*

 

 

 

 

 

 

 

 

 

 

 

 

 

 

 

 

 

 

 

 

 

 

 

 

 

 

 

 

 

 

 

 

 

 

 

 

 

 

 

 

 

 

 

 

 

 

       *구룡사를 지나와 구룡사 매표소에 도착 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