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으로 씨를 뿌리는 만주바람꽃*

 

 

 

*바람꽃의 종류는 바람을 유난히 좋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표종 바람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는 여름꽃이지만

만주바람꽃은 4~6월 피는 뽐꽃으로 꽃샘추위가 끝날 때쯤이면 꽃을 피우는 강인한 들꽃이다*

 

 

*植物 이름 앞에 地名이 들어가면 대부분 그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 식물을 의미한다. 만주바람꽃은 만주에서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中部地方에서도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엽질이 많은 陽地쪽에 자란다*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로 뿌리는 육질이며. 작은 잎은 긴 타원형에 끝이 세 갈래로 찢어졌다.

4월~5월에 자줏빛을 띈 흰꽃을 피우며. 꽃잎 모양이 꿩의 발자국과 모양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현호색*

 

 

 

*아산. 현충사 梅花. 홍매화 (紅梅花)*

 

 

 

 

 

 

*2025年 현충사 紅梅花는 例年에 비하면 10日 정도 늦게 開花를 했다. 개화 後 꽃샘추위로冷害까지 입어.

화사한 꽃 분홍색은 많이 퇴색된 상태가 되어있어 홍매화를 보는 것도 이 번주가 마지막일 듯하다* 

 

 

 

 

 

 

 

 

 

 

 

 

 

 

 

 

 

*이 사진과 아래 사진 5장은  2023년 현충사 홍매화 사진이다*

 

 

 

 

 

 

 

 

 

 

 

 

 

 

 

 

 

 

 

 

 

 

 

 

 

 

 

 

 

 

 

 

*충무공 生家의 장독대와 梅花*

 

 

 

 

 

 

 

 

 

 

 

 

 

 

*현충사 內의 다른 젊은 한 구루의 紅梅花 이제 開花 준비중이다*

 

 

 

 

 

 

 

 

 

*거대한 암장과 奇岩 怪石의 전시장. 양주 사패산(賜牌山)* 

 

 

 

*賜牌山 (사패산)은 北漢山 國立公園 도봉산지구 양주시 장흥면에 위치한 한북정맥의 산으로 높이는 552m이며. 東쪽으로

수락산. 西南쪽으로 도봉산을 끼고 안골계곡과 회룡계곡. 故刹 회룡사를 안 고도는 自然 景觀이 수려한 산이다.

山의 이름은 朝鮮 선조의 여섯째 딸인 貞徽翁主 (정휘옹주)가 유정량에게 시집갈 때. 宣祖 (선조)가 하사한 산이라 하여

사패산으로 불리었다는 說과 산아래 마패를 제작하는 곳이 있어 地名이 遺來되었다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범골통제소~선바위~1보루~2보루~범골능선~사패능선~사패산~남근석바위~성불사~

타래사~안골폭포~백인굴~호암사~범골통제소* [ 산행거리 9.11km - 4시간 29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범골통제소 입구* 

 

 

*범골 통제소*

 

 

*호암사를 향해 걷다가 선바위를 보기 위해 계곡을 건너서 능선으로 합류한다* 

 

 

*선바위 아래 암릉 바위*

 

 

*선바위 (일명:반쪽바위)*

 

 

*방향을 바꾸어 보는 선바위와 물개바위*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라임 님*

 

 

*스마트님*

 

 

 

 

 

 

 

 

*물개바위*

 

 

 

 

 

*선바위에서 보는 잠시 後 오를 1보루*

 

 

 

 

 

*선바위를 지나서 잠시 평탄한 산길을 걷는다*

 

 

*1보루를 오르는 로프 암릉길이 시작된다*

 

 

 

*로프를 잡고 가재걸음으로 지나가야 하는 직벽 바위길*

 

*參禪 (참선) 바위*

 

 

 

 

 

 

 

 

 

 

 

 

 

 

*1보루의 奇岩*

 

 

 

 

 

*거북 바위*

 

 

 

 

 

*1보루 頂上*

 

 

 

 

 

*1보루의 名物 콘드르 바위*

 

 

*안데스 콘드르( Andean Condor)는 南美의 하늘을 지배하는 巨大한 새로 세계에서 가장 큰 날개 폭을 가진 새다* 

 

 

 

 

 

 

 

 

 

 

 

 

 

 

*1보루 정상에서 보는 지나온 선바위*

 

 

*콘드르 바위와 산아래 호암사와 백인窟*

 

 

*산행을 進行할 2보루 방향*

 

 

 

 

 

 

 

 

 

 

 

 

 

 

 

 

 

 

 

 

 

 

 

*잠시 後 오를 2보루*

 

 

 

 

 

*1보루에서 2보루 가는 길도 잠시 평탄한 길을 걷는다*

 

 

*2보루를 오르는 바위길*

 

 

 

 

 

*거대한 바위군을 이룬 2보루*

 

 

 

 

 

*2보루를 오르는 좁은 바위틈 길 배낭을 두고 오른다*

 

 

*2보루 정상에서 보는 사패산 정상 방향*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名品 松*

 

 

 

 

 

 

 

 

 

 

 

 

 

 

 

 

 

 

 

 

*2보루 돌탑*

 

 

 

 

 

*2보루를 내려오는 바위틈 길*

 

 

 

 

 

 

 

 

*범골능선 합류지점*

 

 

 

 

 

*범골능선 위치도*

 

 

 

 

 

*조망 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1보루와 2보루*

 

 

*석굴암*

 

 

 

 

 

 

 

 

 

 

 

*사패능선 합류지점*

 

 

사패능선 조망 바위에서 보는 사패산과 삿갓바위*

 

 

*사패산 정상*

 

 

*삿갓 바위*

 

 

*원각사 갈림길*

 

 

 

 

 

*안골입구 갈림길. 이곳에서 사패산 정상을 다녀와 안골 방향으로 하산한다*

 

 

 

 

 

 

 

 

 

 

 

*사패산 (552m) 頂上*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삿갓 바위*

 

 

 

 

 

*안골 방향으로 내려간다*

 

 

*삿갓 바위*

 

 

*잠시 後 내려갈 男根石이 있는 암릉*

 

 

 

 

 

*남근석*

 

 

*방향을 바꾸어 본 남근석*

 

 

 

 

 

 

 

 

*뒤편에서 본 남근석*

 

 

 

 

 

 

 

 

*성불사 뒤편 암릉에서 보는 조금 前 내려온 남근석 암봉*

 

 

*성불사 새바위*

 

 

 

 

 

 

 

 

*사패능선 오름길 입구*

 

 

 

 

 

*안골계곡*

 

 

 

 

 

*陀來寺*

 

 

 

 

 

 

 

 

*안골 폭포 위치도*

 

 

*밤골 통제소 아래에 주차해 놓은 차량을 회수하기 위해 안골길을 호암사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사패산 갈림길 삼거리*

 

 

*갈림길에서 호암사로 하산한다*

 

 

*백인 窟. 예전엔 들어가서 사진을 찍고 했었는데. 지금은 禁줄을 설치해 놓았다*

 

 

*2017년 산행 때 백인굴 사진*

 

 

*虎岩寺 (호암사)*

 

 

*호암사 일주문을 지나 밤골 통제소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봄의 전령사 변산 바람꽃*

 

 

*변산 바람꽃은 바람이 잘 부는 곳에 자라는 들풀이라 주로 산이나 숲에 많이 자란다. 변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변산지역 외에도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되어 있다*

 

 

*변산 바람꽃의 꽃말은 덧없는 사랑. 기다림이다*

 

 

 

 

 

 

 

 

 

 

 

 

 

 

 

 

 

 

 

 

 

 

 

 

 

 

 

 

 

 

 

 

 

 

 

 

 

 

 

 

 

 

 

 

 

 

 

 

 

 

 

 

 

 

 

 

 

 

 

*분홍 노루귀*

 

 

*노루귀는 털이 돋은 잎이 나오는 모습이 노루의 귀와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꽃말은 인내이다*

 

 

*開花後 오랜 시간이 지나 빛이 바랜 노루귀*

 

 

 

 

 

 

 

 

 

 

 

*흰 노루귀*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은 꽃잎의 모양이 꿩의 발자국 모양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의무릇. 꽃말은 一片丹心 (일편단심)이다*

 

 

 

 

*현호색*

 

 

*바다를 품고 하늘을 꿈꾸다. 해운대 장산 (莊山)*

 

 

*부산 莊山 (장산 634m)은 東 南海를 바라보며. 가파르게 우뚝 솟은 해운대의 鎭山이다. 장산 이름의 遺來는 "거칠다"라는

의미와 거친 복숭아 가 생산되는 나무가 많아 장산이라 하였다는 說과. 삼한시대에 莊山國이 있었다는 說이 있어.

장산이라 하였다. 태백산 끝자락에서 그 精氣를 이어받은 달음산에서 장산~금련산~황령산~봉래산으로 이르는 금련산맥에서

가장 높이 치솟아 위풍을 자랑하고 있으며. 약 6천2백만 년~7천4백만 년 前에 火山 폭발로 만들어진 산이라 한다*

 

 

*산행코스 : 대천공원~이정표~갈림길~옥녀봉~중봉~너덜지대~선바위~상어이빨바위~합장바위~(舊) 장산~장상頂上~장상頂上~

갈림길~계단데크~체육공원~양운폭포~대천공원 (원점회귀)* [ 산행거리 9. 34km - 3시간 55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장산 구립공원 (대천공원)*

 

 

*장산 생태 숲 안내도*

 

 

 

 

 

*대천공원 湖水 데크를 잠시 걸어서~*

 

 

*숲길로 오른다*

 

 

*장산 체육공원 갈림길에서 옥녀봉 방향으로 산행을 進行한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안부 쉼터에서 중봉 방향으로~*

 

 

*장산 중봉 (403m)*

 

 

*장산 정상을  直登하는 계단길에서 左측 너덜바위 지대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너덜바위지대*

 

 

*너덜바위 지대에서 보는 부산시내*

 

 

 

 

 

*반송 갈림길에서 정상 방향으로 오른다*

 

 

 

 

 

*선바위 (將軍岩)*

 

 

 

 

 

 

 

 

 

 

 

*상어이빨바위*

 

 

 

 

 

 

 

 

*지나와서 보는 이빨바위*

 

 

*갈림길에서 합장바위를 보려 전망대로 내려간다*

 

 

*합장바위*

 

 

 

 

 

*성불사 임도 갈림길*

 

 

*군부대 內 頂上 開防 前. 정상석*

 

 

 

 

 

*장산 頂上 (634m)*

 

 

 

 

 

 

 

 

 

 

 

 

 

 

*해운대 東쪽 방향의 풍경 비가 오는 날씨에 海霧까지~~ 조망이 없다*  

 

 

 

 

 

*해운대 南쪽 방향은 조금 보인다*

 

 

 

 

 

 

 

 

*하산길에 옛 정상석에서 認證을 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관계로 짧은 코스를 선택하여 하산한다*

 

 

*데크 쉼터*

 

 

*정상을 오를 때 지나갔던 갈림길에서 대천공원으로 ~*

 

 

*편백나무 숲*

 

 

 

 

 

*대천공원 방향으로~*

 

 

 

 

 

*체육공원 하산길 계곡의 폭포*

 

 

 

 

 

*체육공원*

 

 

*양운폭포*

 

 

 

 

 

 

 

 

*이산표석*

 

 

 

 

 

 

 

 

*대천공원 조형물*

 

 

*아침 산행을 시작했던 대천공원으로 원점 회귀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산행 後 일정으로 해운대와 동백섬을 돌아보려 왔다*

 

 

 

 

 

 

 

 

*동백섬과 조선호텔*

 

 

*잠제등표*

#파도를 약화시키기 위해 물 밑에 만든 방파제로서 해운대해수욕장의 모래 有失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돌아와요 부산항 노래 碑*

 

 

*해운대 엘레지 노래 碑*

 

 

 

 

 

*비바람이 거세어져 동백섬 탐방은 취소하고 해운대 탐방 일정을 마친다*

 

 

 

 

*湖南正脈의 마지막 끝자락 광양 백운산*

 

 

*광양 白雲山은 높이 1.222.1m 小白山脈 末段部에 솟아 있으며. 山의 四面이 비교적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東쪽과 西쪽에서

東川과 西川이 발원하여 남해로 흘려 들며. 山頂에 오르면 웅장한 지리산과 산을 끼고 굽이굽이 흐르는 섬진강과

多島海에 흩어진 섬들이 눈에 들어온다. 6.25 전쟁 前.後 "백운산 살쾡이"로 불렸던 공산주의자 김선우 일당의 소굴이 있었고.

특히 일천高地에서 나는 고로쇠 약수가 유명하며. 형제봉. 도솔봉. 한재. 백운산. 백운사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산행코스 : 한재~신선봉~백운산~갈림길~매봉~외매봉 갈림길~쫓비산 갈림길~고사마을~관동마을*

[ 산행거리 11. 90km - 4시간 48분 ( 운동시간 ) ]

 

 

*오늘 광양 백운산 산행 시작지점인 한재*

 

 

 

 

 

 

 

 

 

 

 

*바람길 능선에는 눈이 쌓여있다*

 

 

*조망 바위에서 보는 中. 따리봉과 左. 도솔봉*

 

 

*따리봉과 右측 육백고지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엠투엠 山友님들*

 

 

*左측부터 현주님. 늘 푸른나무님. 라임님*

 

 

*스마트님과 나~*

 

 

 

 

 

*登路 주변의 奇岩*

 

 

 

 

 

 

 

 

 

 

 

 

 

 

 

 

 

 

 

 

 

 

 

*능선 전망바위에서 보는 산행을 進行할 신선봉과 백운산 방향*

 

 

 

 

 

*신선대 갈림길. 이곳에서 신선대를 올라갔다고 내려온다*

 

 

*3월에 남쪽지방인 광양에서 이런 눈꽃을 보는건 큰 幸運이다*

 

 

 

 

 

*신선대에서 보는 지나온 봉우리*

 

 

 

 

 

 

 

 

 

 

 

 

 

 

 

 

 

 

 

 

 

 

 

 

 

 

 

 

 

 

 

 

*진틀 갈림길*

 

 

 

 

 

*조망터에서 보는 백운산*

 

 

 

 

 

*정상아래 전망대의 백운산 알림판*

 

 

*南海 多島海 전망대*

 

 

*거북바위*

 

 

 

 

 

 

 

 

*백운산 頂上에서 보는 지나온 신선봉 방향*

 

 

 

 

 

*진틀 갈림길에서 매봉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1112.5봉*

 

 

 

 

 

*내회 갈림길*

 

 

 

 

 

 

 

 

 

 

 

*매봉*

 

 

 

 

 

 

 

 

 

 

 

 

 

 

*쫓비산 갈림길*

 

 

*고사마을로 하산한다*

 

 

 

 

 

*고사마을 느티나무*

 

 

 

 

 

 

 

 

*관동마을의 매화는 1%도 개화하지 않았다*

 

 

 

 

 

*관동마을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武王이 꿈꾼 百濟의 마지막 王都 익산*

 

 

*國立 益山 博物館은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文化遺産을 체계적으로 保存. 연구. 전시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문을 연 우리나라 13번째 국립박물관입니다. 세계문화유산 익산 미륵사지의

景觀과 自然스럽게 조화를 이루며 高都 익산을 대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彌勒寺址 출토 치미 특별전 포스터*

 

 

*박물관 로비*

 

 

*미륵사지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기록 특별전이 2024년 10월 22부터~2025년 5월 25일까지 열린다* 

 

 

 

 

 

 

 

 

*미륵사지 아래 치미*

 

 

*치미 제작 과정*

 

 

 

 

 

*치미의 保存 수복 연구 과정*

 

 

 

 

 

 

 

 

 

 

 

 

 

 

 

 

 

 

 

 

 

 

 

 

 

 

 

 

 

 

 

 

 

 

 

 

 

 

*百濟 王宮 貌形圖*

 

 

*益山은 일찍이 고조선 準王 (준왕)의 새로운 터전이었고 마한의 中心地였으며. 7세기 초 百濟의 副興을 꿈꾼 武王이

부여 (사비)를 떠나 익산에 새로운 首都를 세우고자 하였던 곳으로. 왕궁리 유적. 백제 1 탑. 1 금당. 가람배치의

완성 제석사지. 백제 마지막 王陵으로 주목받는 雙陵등 武王이 꿈꾼 백제의 未來가 문화로 완성되어 남아 있는 곳이다* 

                   

 

*백제 石佛 미소 1안*

 

 

*미소 제3안*

 

 

 

 

 

 

 

 

 

 

 

 

 

 

*대왕릉의 돌방*

 

 

 

 

 

 

 

 

 

 

 

 

 

 

*百濟 官人 공간의 집기*

 

 

 

 

 

*백제의 山城과 遺跡地圖*

 

 

 

 

 

 

 

 

 

 

 

 

 

 

 

 

 

 

 

 

 

 

 

*益山 彌勒寺址 모형도*

 

 

 

 

 

*미륵사 鴟尾 (치미)*

 

 

 

 

 

 

 

 

 

 

 

 

 

 

*미륵사지 석탑*

 

 

 

 

 

 

 

 

 

 

 

 

 

 

 

 

 

 

 

 

 

 

 

*金銅香爐*

 

 

*靑銅 보살손*

 

 

 

 

 

 

 

 

*십자무늬 靑銅의기*

 

 

 

 

 

 

 

 

 

 

 

 

 

 

 

 

 

 

 

 

 

 

 

 

 

 

 

 

 

 

 

 

 

 

 

 

 

 

 

 

 

 

 

 

 

 

 

 

 

 

 

 

 

 

 

 

 

 

*유네스코 세계유산. 百濟 歷史 유적지구 익산 미륵사지*

 

 

 

*익산 彌勒寺址 (미륵사지) 全景*

 

 

*익산 미륵사지 설명판*

 

 

*미륵사지 안내도 및 百濟 歷史遺積地區 해설문*

 

 

*백제역사유적지구 안내판*

 

 

 

 

 

*유네스코 世界 遺産 백제역사지구 지정 碑*

 

 

 

 

 

*어린이 박물관*

 

 

 

 

 

*彌勒寺址 西院 全景 (미륵사지 서원 전경)*

 

 

*미륵사지 石塔 (國寶 제11호)

 

 

 

 

 

*미륵사지 석탑과 서원 당간지주*

 

 

 

 

 

*미륵사지 東院 전경*

 

 

*미륵사지 東院 九層石塔 (동원 구층 석탑)*

 

 

 

  

 

*동원 구층 석탑과 당간지주*

 

 

 

 

 

 

 

 

 

 

 

 

 

 

 

 

*회랑 터 (回廊址)*

 

 

 

 

 

*石燈 下段石*

 

 

 

 

 

*東院 金堂址 (동원 금당 터)*

 

 

 

 

 

 

 

 

*講堂址 (강당 터)*

 

 

 

 

 

*北僧房址 (북승방 터)*

 

 

 

 

 

 

 

 

 

 

 

 

 

 

 

 

 

*西院 金堂址 (서원 금당 터)*

 

 

 

 

 

 

 

 

 

 

 

 

 

 

 

 

 

 

 

 

 

 

 

 

 

 

*연못*

 

 

 

 

 

 

 

 

 

 

 

*미륵사지 연도별 복원 과정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