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武王이 꿈꾼 百濟의 마지막 王都 익산*

 

 

*國立 益山 博物館은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文化遺産을 체계적으로 保存. 연구. 전시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문을 연 우리나라 13번째 국립박물관입니다. 세계문화유산 익산 미륵사지의

景觀과 自然스럽게 조화를 이루며 高都 익산을 대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彌勒寺址 출토 치미 특별전 포스터*

 

 

*박물관 로비*

 

 

*미륵사지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기록 특별전이 2024년 10월 22부터~2025년 5월 25일까지 열린다* 

 

 

 

 

 

 

 

 

*미륵사지 아래 치미*

 

 

*치미 제작 과정*

 

 

 

 

 

*치미의 保存 수복 연구 과정*

 

 

 

 

 

 

 

 

 

 

 

 

 

 

 

 

 

 

 

 

 

 

 

 

 

 

 

 

 

 

 

 

 

 

 

 

 

 

*百濟 王宮 貌形圖*

 

 

*益山은 일찍이 고조선 準王 (준왕)의 새로운 터전이었고 마한의 中心地였으며. 7세기 초 百濟의 副興을 꿈꾼 武王이

부여 (사비)를 떠나 익산에 새로운 首都를 세우고자 하였던 곳으로. 왕궁리 유적. 백제 1 탑. 1 금당. 가람배치의

완성 제석사지. 백제 마지막 王陵으로 주목받는 雙陵등 武王이 꿈꾼 백제의 未來가 문화로 완성되어 남아 있는 곳이다* 

                   

 

*백제 石佛 미소 1안*

 

 

*미소 제3안*

 

 

 

 

 

 

 

 

 

 

 

 

 

 

*대왕릉의 돌방*

 

 

 

 

 

 

 

 

 

 

 

 

 

 

*百濟 官人 공간의 집기*

 

 

 

 

 

*백제의 山城과 遺跡地圖*

 

 

 

 

 

 

 

 

 

 

 

 

 

 

 

 

 

 

 

 

 

 

 

*益山 彌勒寺址 모형도*

 

 

 

 

 

*미륵사 鴟尾 (치미)*

 

 

 

 

 

 

 

 

 

 

 

 

 

 

*미륵사지 석탑*

 

 

 

 

 

 

 

 

 

 

 

 

 

 

 

 

 

 

 

 

 

 

 

*金銅香爐*

 

 

*靑銅 보살손*

 

 

 

 

 

 

 

 

*십자무늬 靑銅의기*

 

 

 

 

 

 

 

 

 

 

 

 

 

 

 

 

 

 

 

 

 

 

 

 

 

 

 

 

 

 

 

 

 

 

 

 

 

 

 

 

 

 

 

 

 

 

 

 

 

 

 

 

 

 

 

 

 

 

*유네스코 세계유산. 百濟 歷史 유적지구 익산 미륵사지*

 

 

 

*익산 彌勒寺址 (미륵사지) 全景*

 

 

*익산 미륵사지 설명판*

 

 

*미륵사지 안내도 및 百濟 歷史遺積地區 해설문*

 

 

*백제역사유적지구 안내판*

 

 

 

 

 

*유네스코 世界 遺産 백제역사지구 지정 碑*

 

 

 

 

 

*어린이 박물관*

 

 

 

 

 

*彌勒寺址 西院 全景 (미륵사지 서원 전경)*

 

 

*미륵사지 石塔 (國寶 제11호)

 

 

 

 

 

*미륵사지 석탑과 서원 당간지주*

 

 

 

 

 

*미륵사지 東院 전경*

 

 

*미륵사지 東院 九層石塔 (동원 구층 석탑)*

 

 

 

  

 

*동원 구층 석탑과 당간지주*

 

 

 

 

 

 

 

 

 

 

 

 

 

 

 

 

*회랑 터 (回廊址)*

 

 

 

 

 

*石燈 下段石*

 

 

 

 

 

*東院 金堂址 (동원 금당 터)*

 

 

 

 

 

 

 

 

*講堂址 (강당 터)*

 

 

 

 

 

*北僧房址 (북승방 터)*

 

 

 

 

 

 

 

 

 

 

 

 

 

 

 

 

 

*西院 金堂址 (서원 금당 터)*

 

 

 

 

 

 

 

 

 

 

 

 

 

 

 

 

 

 

 

 

 

 

 

 

 

 

*연못*

 

 

 

 

 

 

 

 

 

 

 

*미륵사지 연도별 복원 과정표*

 

 

 

 

 

 

 

 

 

 

 

*관악산. 삿갓승군. 夫婦바위. 버섯바위. 능선코스*

 

 

*관악산 버섯바위 능선은 자운암 능선과 팔봉능선 사이에 있는 암릉 능선으로 삿갓승군. 夫婦바위. ET바위등 멋진 바위들이

줄지어 서 있으며. 주변의 삼성산과 팔봉능선 자운암능선 조망하며 암릉 산행의 스릴감을 즐길 수 있는 코스이다*     

 

 

*산행코스:서울대 건설환경연구소~자운암 갈림길~연주샘~연주샘 계곡~제3 깔딱 고개~소머리바위~삿갓승군~부부바위~ET바위~

암릉구간 버섯바위 능선~버섯바위~연주샘 갈림길~서울대 건설환경연구소* [산행거리 5. 55km-3시간 44분 (운동시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앞 관악산 등산로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자운암능선 갈림길에서 학바위 능선 방향으로~*

 

 

*연주샘 계곡의 얼어붙은 폭포*

 

 

*갈림길에서 연주샘 방향 계곡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관악산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종류 알림판* 

 

 

 

 

 

*연주샘 위치도*

 

 

*연주샘 계곡은 지난번 폭설로 부러진 소나무들이 등산로를 막고 있다*

 

 

 

 

 

 

 

 

 

 

 

 

 

 

*그늘진 곳에 녹지 못하고 남아 있는 雪*

 

 

*깔딱 고개를 오르는 등산로도 계단을 설치해 놓았다* 

 

 

*연주암 갈림길 제3 깔딱 고개 위치도*

 

 

*갈림길에서 관악산 頂山 조망터로 올라가 본다*

 

 

*KBS 송신탑과 소머리 바위 암봉*

 

 

*관악산 정상과 기상 관측소. 연주암 방향*

 

 

*연주암 石塔과 청계산 방향 풍경*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한 달 前 관악산 산행 때 정상을 다녀왔기에 오늘은 정상 認證은 하지 않는다*

 

 

*조망터를 내려와 소머리 바위봉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소머리 바위봉 오름길의 名品 松*

 

 

*소머리 바위*

 

 

 

 

 

 

 

 

*소머리 바위봉에서 학바위 능선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학바위 능선길 진입로는 표시가 없다. 소머리 바위봉을 내려와 KBS 송신탑 前 능선 안부에서 右측 길로 가야 한다* 

 

 

*조망터에서 보는 잠시 後 올라가 볼 삿갓승군*

 

 

*삿갓승군 위치도*

 

 

당겨서 찍은 팔봉능선*

 

 

*삿갓승군 상단 조망터*

 

 

 

 

 

*삿갓승군*

 

 

 

 

 

*삿갓승군 바위는 각기 다른 모습을 한 巨大한 바위들이 무리 지어 있는데. 삿갓을 쓴 僧軍 (승군)을 뜻한다*

 

 

*삿갓승군 奇岩*

 

 

 

 

 

 

 

 

 

 

 

 

 

 

 

 

 

 

 

 

 

 

 

 

 

 

 

 

 

*삿갓승군 바위에서 보는 학바위능선 국기대와 삼성산*

 

 

*당겨서 찍은 학바위 능선 국기봉*

 

 

*팔봉능선과 멀리 안양 수리산방향*

 

 

 

 

 

 

 

 

 

 

 

 

 

 

*夫婦바위*

 

 

 

 

 

*손가락 바위*

 

 

 

 

 

*손가락 바위 조망터에서 보는 관악산 정상*

 

 

*左측. 관악산 정상과 右측. KBS 송신탑과 내려온 바위능선* 

 

 

*학바위 능선과 버섯바위 능선 갈림길의 ET바위*

 

 

 

 

 

 

 

 

*ET바위에서 보는 하산길인 버섯바위 능선과 右측 자운암 능선*

 

 

*ET바위에서 버섯능선으로 내려가는 最高 난이도의 바위절벽길*

 

 

*名品 松 쉼터*

 

 

 

 

 

 

 

 

*버섯바위 능선 암릉구간*

 

 

*버섯바위 능선에서 뷰~가 제일로  멋진곳*

 

 

 

 

 

 

 

 

 

 

 

 

 

 

*가면바위*

 

 

 

 

 

*가면바위 암봉을 내려오는 눈이 남아있는 바위길*

 

 

 

 

 

 

 

 

 

 

 

*암릉길에서 보는 삼성산 全景*

 

 

 

 

 

 

 

 

 

 

 

 

 

 

 

 

 

 

 

 

*버섯능선과 마주 보고 있는 자운암 능선*

 

 

 

 

 

 

 

 

 

 

 

 

 

 

 

 

 

 

 

 

 

 

 

*버섯바위*

 

 

 

 

 

 

 

 

 

 

 

*버섯바위 능선 위치도*

 

 

 

 

 

*산행을 시작했던 서울대 건설환경 연구소로 원점회귀 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관광단지 보관*

 

 

 

 

 

 

 

 

*죽방렴 조형물*

 

 

*남해 죽방렴 관광단지 안내도*

 

 

*귀요미 조형물 포토죤*

 

 

 

 

 

 

 

 

*지족해엽의 知足港*

 

 

*竹防廉 (죽방렴) 어촌 작업장*

 

 

 

 

 

*죽방렴 홍보관*

 

 

 

 

 

*지족해협 소개판*

 

 

 

 

 

*남해안에 서식하는 어류*

 

 

 

 

 

*죽방렴의 歷史*

 

 

*竹防廉 형태에 관한 글*

 

 

 

 

 

 

 

 

 

 

 

*石防廉 (석방렴)에 관한 글*

 

 

 

 

 

*죽방렴 멸치잡이 체험*

 

 

*죽방 특산물 판매점*

 

 

*죽방렴 홍보관 앞 知足港*

 

 

 

 

 

*식사를 하려 온 죽방횟집 식당*

 

 

*한려수도 쪽빛바다의 전망이 아름다운 남해 응봉산&설흘산*  

 

 

*雪屹山 (482m)은 남해 앵강만 西南쪽에 있는 산으로 頂上에는 조선시대 때 설치한 烽燧臺 (봉수대)가 아직도 남아있으며.

남해 錦山과 돌산도에 있는 봉수대와 서로 연락을 하였다고 한다. 정상부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한려수도

전망이 뛰어나며. 日出을 보는 景觀이 멋진 곳이다. 설흘산 산행의 백미는 산행초입부터 응봉산까지 이어지는 바위길이다.

날카로운 암릉길을 쪽빛 남해바다를 보며 걷는 내내 시원한 조망을 즐길 수 있고. 산아래에는 CNN이 先定한

한국방문 시 꼭 가봐야 할 장소 50곳 중 3위에 올라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랭이 마을이 위치한 가천마을이 있다

 

 

*산행코스 : 선구마을~동굴~옥녀봉(171m)~첨봉(422m)~426봉~응봉산~365봉~가천마을 갈림길~

설흘산~조망바위~가처천마을 주차장* [ 산행거리 6. 53km - 3시간 10분 ( 운동시간 ) ]

 

*남해 선구마을 팽나무 祭壇에서 시산제를 지내고 응봉산~설흘산 연계산행을 시작한다*

 

 

*선구마을 팽나무 祭壇*

 

 

 

 

 

*선구마을에서 보는 사촌마을과 바다풍경*

 

 

*등산로 옆 동굴*

 

 

*옥녀봉*

 

 

*암릉 시작지점에서 보는 南海 한려수도의 아름다운 풍광* 

 

 

*어전골 마을과 관미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 님*

 

 

*스마트님*

 

 

 

 

 

 

 

 

 

 

 

 

 

 

 

 

 

 

 

 

*첨봉의 절벽길*

 

 

 

 

 

*암릉아래 항촌 마을과 바다 건너 여수방향의 풍경*

 

 

*항촌마을*

 

 

 

 

 

 

 

 

 

 

 

 

 

 

 

 

 

 

 

 

*첨봉 암능선에서 보는 풍경*

 

 

 

 

 

*첨봉 바위 능선과 바다 건너 여수방향 풍경*

 

 

*관미봉과 장등산*

 

 

 

 

 

*첨봉 (낙뢰산)*

 

 

 

 

 

 

 

 

 

 

 

 

 

 

*산행을 이어갈 응봉산 방향의 바위 능선길*

 

 

 

 

 

 

 

 

 

 

 

 

 

 

*지나온 尖峰 (첨봉)*

 

 

 

 

 

 

 

 

*첨봉과 암릉길*

 

 

 

 

 

 

 

 

*여수 돌산도 바다 풍경*

 

 

 

 

 

 

 

 

*350봉*

 

 

 

 

 

*응봉산 頂上*

 

 

 

 

 

 

 

 

*응봉산 정상에서 보는 산행을 進行할 설흘산 방향*

 

 

*조망바위에서 보는 설흘산*

 

 

*응봉산을 내려와 설흘산 방향은 등산로는 한동안 평탄한 길를 걷는다*

 

 

*가천마을 갈림길 삼거리*

 

 

*돌탑 장승*

 

 

 

 

 

*가천마을. 홍현리 갈림길 사거리*

 

 

*男海 雪屹山 봉수대 알림판*

 

 

*남해 설흘산 烽燧臺*

 

 

 

 

 

*설흘산 정상*

 

 

 

 

 

*頂上에 함께있던 회원님들과~*

 

 

*雪屹山 (설흘산) 頂上에서 보는 응봉산*

 

 

*당겨서 찍은 응봉산*

 

 

 

 

 

*하산지점인 가천마을*

 

 

*남해 상주면의 금산과 노도 방향*

 

 

 

 

 

 

 

 

 

 

 

*전망바위에서 보는 응봉산*

 

 

 

 

 

*전망터에서 보는 남해 금산과 노도*

 

 

*당겨서 찍은 보리암이 있는 錦山*

 

 

 

 

 

 

 

 

*하산길 너덜바위지대*

 

 

 

 

 

*조금 前 내려온 설흘산 정상부*

 

 

 

 

 

 

 

 

*CNN이 선정한 한국방문 시 꼭 가봐야 할 곳 50곳 중 3위에 선정되었다는 다랭이 마을*

 

 

*가천 다랭이 마을*

 

 

*가천마을 주차장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문경. 시루봉(876m)~연엽산(791m) 연계산행*

 

 

 

*蓮葉山 (연엽산 791m)은 문경시 농암면에 위치한 산으로. 특별히 내세울 것 없는 그 져 평범한 산이다. 山의 頂上이

연잎처럼 생겼다 하여 연엽산으로 불리고 있으며. 대야산과 조항산 줄기를 타고 온 白頭大幹이 청화산에

     이르려 東쪽으로 곁가지를 쳐 장군봉. 시루봉 바위를 솟구치고. 또다시 동쪽으로 陵線 줄기의 최고봉이 연엽산이다*     

 

*산행코스 : 농암면 청화마을~반송~속리산 둘레길~비치재~716.7봉~암봉 (840m)~시루봉~암봉(850m)~로프구간~

헬기장~암봉~연엽산~능선 청화마을* [ 산행거리 9. 01km - 6시간 36분 ( 운동시간 ) ]

 

*시루봉에서 보는 850 암봉과 白頭大幹 청화산과 조항산. 둔덕산*

 

 

*연엽산으로 이어진 능선과 조항산과 둔덕산. 대야산 방향*

 

 

*조금 前 내려온 시루봉 정상*

 

 

*850m 岩峰*

 

 

*암봉에서 보는 산행을 이어갈 봉우리들*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 님*

 

 

*현주님*

 

 

*스마트님*

 

 

 

 

 

*850m 암봉에서 보는 잠시 後 오를 암봉과 장군봉 청화산으로 이어진 능선* 

 

 

 

 

 

*850봉을 내려오는 위험한 바위길*

 

 

 

 

 

 

 

 

*눈 속에 묻혀있는 로프를 찾아서 내려온 로프구간*

 

 

*조금 前 내려온 850m 암봉 로프구간*

 

 

 

 

 

 

 

 

 

 

 

 

 

 

*로프도 없는 바위절벽 구간*

 

 

 

 

 

*내려온 암봉*

 

 

*청화산 갈림길 직전 봉우리*

 

 

*이정목이 없는 청화산 갈림길 삼거리에서 연엽산 방향으로 산행을 進行한다*

 

 

 

 

 

*오늘 산행 중 눈이 가장 많이 쌓여있는 구간 허벅지까지 빠진다*

 

 

*암봉 조망터에서 보는 산행을 진행할 연엽산 방향*

 

 

*암봉을 내려오는 로프구간*

 

 

 

 

 

 

 

 

 

 

 

 

 

 

*우회하여 내려온 암봉*

 

 

*육산으로 보였던 연엽산으로 가는 등산로는 숲으로 가려진 바위길이 대부분이다*

 

 

 

 

 

 

 

 

 

 

 

 

 

 

*헬기장*

 

 

*등산객들이 많이 다니지 않아 등산로는 잡목이 우거져 있다*

 

 

 

 

 

 

 

 

*겉으로 보기에 육산으로 보였던 연엽산으로 가는 능선길은 거칠고 험하며 수 차례 오르 내림을 반복한다*  

 

 

 

 

 

 

 

 

*청화마을 갈림길 삼거리. 이곳에서 150m 전방에 있는 연엽산을 다녀와 하산한다*

 

 

 

 

 

*눈 속에 묻혀서 끝만 보이는 정상석을 찾아서 손으로 눈을 치우고 認證을 한다*

 

 

*아담한 정상석이 눈에 파묻혀 더욱 작게 보인다*

 

 

 

 

 

 

 

 

 

 

 

 

 

 

 

 

 

 

 

 

 

 

 

*연엽산에서 청화마을로 하산하는 능선길도 등산로가 잘 보이지 않을 만큼 잡목이 우거져 있다*

 

 

 

 

 

 

 

 

*하산길 능선의 고사목* 

 

 

 

 

 

 

 

 

 

 

 

 

 

 

 

 

 

*산행을 시작했던 청화마을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문경 最高의 百頭大幹 조망터. 시루봉 (876m)*

 

 

 

*문경 시루봉 (876.2m)은 어느 곳에서 보든지 좀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어서 금방 알아볼 수가 있다. 頂上 부분의

岩壁이 튀어나와서 떡시루같이 생겨서 시루봉이란 말도 있다. 시루봉 정은 장엄한 암벽으로 되어 있어

주변의 대두대간 속리산에서 청화산. 조항산. 대야산으로 이어진 白頭大幹과 줄기의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농암면 청화마을~반송~속리산 둘레길~비치재~716.7봉~암봉 (840m)~시루봉~암봉 (850m)~로프구간~

헬기장~암봉~연엽산~능선~청화마을* [ 산행거리 9. 01km - 6시간 36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문경시 농암면 청화리 마을*

 

 

*시루봉. 연엽산 등산 안내도*

 

 

 

 

 

*天然記念物 제292호 화산리 盤松*

#반송은 소나무의 한 品種으로 땅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줄기가 갈라져서 원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없고 全體적으로 우산의 모습을 하고 있는 소나무이다#

 

 

 

 

 

*盤松이 자리한 곳에서 속리산 둘레길을 걸어서 산행을 시작한다*

 

 

*마을 앞 비치재 방향 이정목*

 

 

*산소 앞 이정목에서 비치재 방향으로~* 

 

 

*豫前에 약사암으로 불리었다는 암자* 

 

 

*사진에 보이는 佛像 뒤편으로 등산로가 있다*

 

 

 

 

 

*비치재 방향으로 걸으며 보는 시루봉*

 

 

*비치재를 경유하여 시루봉을 오르는 등산로이지만. 속리산 둘레길이기도 하다* 

 

 

*등산로에 녹지 않고 남아 있는 눈*

 

 

*비치재로 오르는 가파른 등산로는 나무계단은 눈에 덮여 보이질 않고 발목이 빠질 만큼 쌓여있다* 

 

 

 

 

 

 

 

 

 

 

 

*속리산 둘레길 쌍곡계곡 갈림길*

 

 

 

 

 

*비치재*

 

 

 

 

*광정마을 갈림길에서 시루봉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716.7m 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스마트. 현주. 라임님*

 

 

*능선 등산로에는 무릎이 빠질 만큼 눈이 쌓여있다*  

 

 

*잠시 後 오를 암봉( 840m)*

 

 

 

 

 

 

 

 

 

 

 

 

 

 

 

 

 

 

 

 

*840m 암봉*

 

 

 

 

 

*암봉을 오르자 시루봉이 눈앞에 다가와 있다*

 

 

*당겨서 찍은 시루봉*

 

 

*오후에 오를 연엽산도 당겨보고~*

 

 

*시루봉을 背景으로~*

 

 

 

 

 

 

 

 

 

 

 

 

 

 

 

 

 

*시루봉 암벽*

 

 

 

 

 

시루봉 암벽으로 오르면서 돌아본 지나온 암능선*

 

 

 

 

 

 

 

 

 

 

 

 

 

 

 

 

 

*비치재에서 걸어온 능선과 멀리 도장산 방향*

 

 

*백두대간 청화산 방향*

 

 

 

 

 

*시루봉 정상*

 

 

 

 

 

 

 

 

*시루봉 정상 (876m)*

 

 

 

 

 

 

 

 

 

 

 

 

 

 

 

 

 

*시루봉 頂上에서 보는 白頭大幹 조항산. 둔덕산. 대야산 방향 풍경*

 

 

*청화산과 시루봉에서 백두대간 줄기로 이어진 능선*

 

 

 

 

 

 

 

 

 

 

 

 

 

 

 *850m조망 암봉*

 

 

 

*白頭大幹에 숨겨진 岩凌과 岩峰의 名山. 문경 황장산 (黃腸山)* 

 

 

 

*黃腸山은 월악산 國立公園 동남단에 있는 산으로. 경북 문경시와 제천시에 걸쳐 있고. 白頭大幹 대미산~황장산~

벌재~소백산으로 이어지는 길목에 위치해 있는 멋진 암릉의 바위 산으로. 도락산. 황정산. 소백산등

名山들을 조망할 수 있다. 황장산이란 이름은 궁궐이나 왕실의 장례용 棺으로 쓰던 金剛松 (황장목)을 함부로

베지 못하게 하고. 키우던 산을 이르던 말로 황장봉산 (黃腸封山)에서 유래되어 이름 지어졌다 한다* 

 

 

*산행코스 : 생달리~안생달~와인동굴~작은 차갓재~전망대~능선갈림길~맷등바위~황장산~감투봉 갈림길~

계단길~너덜바위지대~계곡탐방로~안생달~생달리* [ 산행거리 7. 05km - 4 시간 36분 ( 운동시간 ) ]

 

 

*문경시 동로면 생달리 (월악산 국립공원 표지판) 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생달리 주차장 앞 全景*

 

 

*생달리 마을에 중간에 있는 寺刹 스님이 안 계신 듯 문이 닫혀있다*

 

 

*大雄殿*

 

 

 

 

  

*황장산 공원지킴터*

 

 

*안생달마을 계곡탐방로 갈림길에서 와인동굴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작은 차갓재로 올라가면서 돌아다본 대미산 방향*

 

 

*등산로 주변에 白頭大幹 (백두대간) 출입금지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있다*

 

 

*와인동굴 CaVe 카페*

 

 

 

 

 

 

 

 

 

 

 

*작은 차갓재로 오르는 등산로에는 많은 눈이 쌓여있다*

 

 

 

 

 

 

 

 

*작은 차갓재*

 

 

 

 

 

*차갓재. 대미산. 방향으로 백두대간 구간은 稀貴種 野生花와 야생 동물 보호를 위해 出入을 禁止하고 있다*

 

 

*황장산 정상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전나무 숲 길*

 

 

 

 

 

*전망대*

 

 

*전망대에서 보는 白頭大幹 차갓재. 대미산 방향의 풍경* 

 

 

 

 

 

*당겨서 찍은 산행을 시작했던 생달리 마을*

 

 

 

 

 

 

 

 

 

 

 

*칼바위 능선길에는 철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눈길 산행에도 安全에는 별 문제가 없다* 

 

 

 

 

 

 

 

 

 

 

 

 

 

 

*능선에는 성인 키높이만큼이나 많은 눈이 쌓여 있다* 

 

 

*맷등바위 오름길 계단*

 

 

*맷등바위 오름길에서 보는 걸어온 능선과 대미산 방향 풍경*

 

 

 

 

 

*단양 도락산과 용두산 방향*

 

 

*작은 차갓재와 명전리방향*

 

 

 

 

 

*맷등바위 능선의 名品 松*

 

 

 

 

 

*바위와 어우러진 멋진 소나무*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현주님*

 

 

 

 

 

*맷등바위*

 

 

 

 

 

*名品 松 전망터*

 

 

명품 松 조망바위에서 보는 멋진 풍경. 좌측 용두산. 중앙 도락산. 右측 황정산* 

 

 

 

 

 

 

 

 

 

 

 

 

 

 

 

 

 

 

 

 

 

 

 

 

 

 

 

 

 

 

 

 

 

 

 

 

 

 

*황장산 最高의 조망터. 맷등바위에서 보는 풍경*

 

 

*도락산과 황정산. 너머로 소백산 연화봉이 조망된다*

 

 

 

 

 

 

 

 

 

 

 

 

 

 

*대미산 너머로 멀리 월악산까지 조망이 된다*

 

 

*당겨서 찍은 도락산과 황정산. 그리고 소백산 연화봉*

 

 

 

 

 

 

 

 

*황장산 頂上*

 

 

 

 

 

 

 

 

 

 

 

 

 

 

 

 

 

 

 

 

 

 

 

 

 

 

 

 

 

 

 

 

 

 

 

*감투봉 갈림길. 감투봉. 수리봉 방향은 철재 펜스를 설치해 놓았다*

 

 

*백두대간 대미산~벌재 구간 중 작은 차갓재에서~황장산~감투봉 갈림길까지만 개방되어 있다*

 

 

 

 

 

 

 

 

 

 

 

*감투봉 갈림길에서 계곡 탐방로 하산길은 사진에 보이는 계단길을 수 없이 걸어야 한다* 

 

 

 

 

 

 

 

 

 

 

 

 

 

 

 

 

 

 

 

 

*너덜 바위길 구간*

 

 

*시루떡 바위*

 

 

 

 

 

 

 

 

 

 

 

 

 

 

*계곡 탐방로 출입통제시설*

 

 

 

 

 

*하산하여 올려다보는 오늘 산행한 맷등바위와 황장산*

 

 

 

 

 

 

 

 

*안생달 마을에서 보는 황장산*

 

 

 

 

 

*산행을 시작했던 주차장으로 원점회귀 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