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으로 씨를 뿌리는 만주바람꽃*

 

 

 

*바람꽃의 종류는 바람을 유난히 좋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표종 바람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는 여름꽃이지만

만주바람꽃은 4~6월 피는 뽐꽃으로 꽃샘추위가 끝날 때쯤이면 꽃을 피우는 강인한 들꽃이다*

 

 

*植物 이름 앞에 地名이 들어가면 대부분 그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 식물을 의미한다. 만주바람꽃은 만주에서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中部地方에서도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엽질이 많은 陽地쪽에 자란다*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로 뿌리는 육질이며. 작은 잎은 긴 타원형에 끝이 세 갈래로 찢어졌다.

4월~5월에 자줏빛을 띈 흰꽃을 피우며. 꽃잎 모양이 꿩의 발자국과 모양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현호색*

 

 

 

*아산. 현충사 梅花. 홍매화 (紅梅花)*

 

 

 

 

 

 

*2025年 현충사 紅梅花는 例年에 비하면 10日 정도 늦게 開花를 했다. 개화 後 꽃샘추위로冷害까지 입어.

화사한 꽃 분홍색은 많이 퇴색된 상태가 되어있어 홍매화를 보는 것도 이 번주가 마지막일 듯하다* 

 

 

 

 

 

 

 

 

 

 

 

 

 

 

 

 

 

*이 사진과 아래 사진 5장은  2023년 현충사 홍매화 사진이다*

 

 

 

 

 

 

 

 

 

 

 

 

 

 

 

 

 

 

 

 

 

 

 

 

 

 

 

 

 

 

 

 

*충무공 生家의 장독대와 梅花*

 

 

 

 

 

 

 

 

 

 

 

 

 

 

*현충사 內의 다른 젊은 한 구루의 紅梅花 이제 開花 준비중이다*

 

 

 

 

 

 

 

 

*봄의 전령사 변산 바람꽃*

 

 

*변산 바람꽃은 바람이 잘 부는 곳에 자라는 들풀이라 주로 산이나 숲에 많이 자란다. 변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변산지역 외에도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되어 있다*

 

 

*변산 바람꽃의 꽃말은 덧없는 사랑. 기다림이다*

 

 

 

 

 

 

 

 

 

 

 

 

 

 

 

 

 

 

 

 

 

 

 

 

 

 

 

 

 

 

 

 

 

 

 

 

 

 

 

 

 

 

 

 

 

 

 

 

 

 

 

 

 

 

 

 

 

 

 

*분홍 노루귀*

 

 

*노루귀는 털이 돋은 잎이 나오는 모습이 노루의 귀와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꽃말은 인내이다*

 

 

*開花後 오랜 시간이 지나 빛이 바랜 노루귀*

 

 

 

 

 

 

 

 

 

 

 

*흰 노루귀*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은 꽃잎의 모양이 꿩의 발자국 모양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의무릇. 꽃말은 一片丹心 (일편단심)이다*

 

 

 

 

*현호색*

 

 

 

*광덕산에서 만난 野生花. 피나물. 앵초*

\

 

 

*피나물은 미나리 아재과목 양귀비과 피나물 속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연한 잎과 줄기를 자르면

피(血)와 비슷한 赤黃色 유액이 나와 피나물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피나물*

 

 

 

 

 

 

 

 

 

 

 

 

 

 

 

 

 

 

 

 

 

 

 

 

 

 

 

 

 

 

 

 

 

 

 

 

 

 

*피나물과 앵초*

 

 

 

 

 

*벌깨덩굴*

 

 

 

 

 

*나도 개감채*

 

 

*백합과 여러 해 살이 植物로 볕이 잘 드는 곳에 자생하며. 꽃말은 나도 백합이다*

 

 

*남산제비꽃*

 

 

*천남성은 死藥의 재료로 이용되었을 정도로 毒性이 있는 식물로 藥用으로 사용되며. 꽃말은  보호. 비밀. 현혹이다 *

 

 

*화려하고 귀족 느낌의 꽃. 앵초(櫻草)* 

 

 

 

 

 

 

*櫻草 (앵초)는 앵초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로 山地의 계곡 주변 습지 自然 상태에서 3~4월 연분홍색 꽃을 피우며.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인기가 많고. 꽃말은 "행복의 열쇠" "어린 시절의 슬픔등 여러 개가 있다* 

 

 

 

 

 

 

 

 

 

 

 

*앵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되어 있으며.

일본에서는 앵초 自生地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만큼 귀염 받는 꽃이다*

 

 

 

 

 

 

 

 

 

 

 

 

 

 

 

 

 

 

 

 

 

 

 

 

 

 

 

 

 

 

 

 

 

* 이름과는 달리 화사하고 아름다운 봄꽃 깽깽이풀 *

 

 

*깽깽이 풀은 이름만 들으면 볼품없을 것 같지만. 이른 봄 햇빛이 드는 숲 따뜻한 곳에

무리 지어 피어 있는 모습을 보면 누구나 감탄할 정도로 꽃이 아름답다. 키는 작지만 올망졸망 모여서 나고

가늘고 긴 꽃대에 보라색 꽃을 피우며. 연잎처럼 생긴 잎을 가지고 있다*     

 

 

*깽깽이 풀은 매자나무과 多年草로 토황련. 조선황련. 이라고도 부르며. 꽃말은 安心하세요 다*

 

 

 

 

 

 

 

 

*깽깽이풀 말린 뿌리(모황련)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아주 쓰기 때문에 입에서 "깽깽" 신음소리가 절로

나올 정도에서 이 같은 이름이 붙였다는 견해가 있는데. 이름에 정확한 유래는 알 수가 없다고 한다*

 

 

 

 

 

 

 

 

 

 

 

 

 

 

 

 

 

 

 

 

 

 

 

 

 

 

 

 

 

 

 

 

 

 

 

 

 

 

 

 

 

 

 

 

 

* 稀貴種 植物. 노랑 미치광이 풀 * 

 

 

 

*미치광이풀은 毒性을 지니고 있어 잘못 먹으면 미치광이가 된다고 하여 "미치광이" 풀로 알려져 있다.

꽃은 鍾모양을 하고 있으며. 길이는 2cm 지름2cm 정도이다.

자주색 풀은 흔히 볼 수 있지만. 노란색은 좀처럼 보기 어려운 稀貴種 식물이다*  

 

 

 

 

 

 

 

 

 

 

 

 

 

 

 

 

 

 

 

 

 

 

 

*자주색 미치광이 풀*

 

 

 

 

'내가만난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광덕산 : 앵초 * (2023. 04. 23)  (0) 2023.04.26
*깽깽이 풀* (2023. 04. 02)  (0) 2023.04.06
*만주 바람 꽃* (2023. 04. 02)  (0) 2023.04.02
*아산 : 현충사 홍매화* (2023. 03. 14)  (0) 2023.03.15
*변산 바람꽃*  (0) 2023.03.06

 

 

* 천안 광덕산. 만주바람꽃. 꿩의바람꽃 *

 

 

 

*바람꽃은 바람을 유난히 좋아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표종인 바람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는 여름 꽃이지만.

만주바람꽃은 4~5월 피는 봄꽃으로 꽃샘추위가 끝날 때쯤이면 꽃을 피우는 강인한 들꽃이다.

 

 

*식물 이름 앞에 地名이 들어가면 대부분 그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 植物을 의미한다. 만주바람꽃은 만주에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중부 지방에서도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엽질이 많은 양지쪽에서 자란다*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肉質 (육질)이며 작은 잎은 긴 타원형에 끝이 세 갈래로 찢어진다.

4~5월에 자줏빛을 띈 흰꽃을 피우며. 꽃잎 모양이 꿩의 발자국과 모양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제비꽃*

 

 

*현호색*

 

 

*족두리 풀*

 

 

*오색딱따구리*

 

'내가만난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깽깽이 풀* (2023. 04. 02)  (0) 2023.04.06
*노랑 미치광이 풀*  (0) 2023.04.03
*아산 : 현충사 홍매화* (2023. 03. 14)  (0) 2023.03.15
*변산 바람꽃*  (0) 2023.03.06
* 오산 : 물향기 수목원 * (2022. 09. 03)  (0) 2022.09.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