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仙이 노니는 단양의 名山 道樂山 (도락산)*

 

 

 

*단양의 名山인 道樂山 (도락산)은 小白山과 월악산 사이에 걸터앉아 있는 바위산이다. "깨달음을 얻는 데는 나름대로

길이 있어야 하고. 거기에는 또 한 즐거움이 따라야 한다"는 뜻에서 우암 송시열 先生이 직접 이름을 붙인

山으로 현재 산의 一部가 月岳山 國立公園에 속해있다. 산을 끼고 北으로는 사인암이 西쪽으로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등 丹陽八境 중 4景이 인접해 있어 주변의 아름다운 景觀과 암릉 산행의 묘미를 즐길 수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상선암 주차장~상선암~철계단~거북바위~상선봉~제봉~형봉~신선봉~내궁기 갈림길~도락산~신선봉~

채운봉~검봉~큰 선바위~시밋골~상선암주차장* [ 산행거리 7. 15km - 5시간 40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지점인 국립공원 도락산 상선 주차장*

 

 

*상선암 마을 가산 2리 마을 소개 碑*

 

 

*마을에서 제봉 방향으로 오른다*

 

 

 

 

 

 

 

 

 

 

 

*바위 조망 쉼터*

 

 

*조망 쉼터에서 보는 풍경*

 

 

*등짐을 진 거북바위 (平生 무거운 등짐을 지고 살았을 나무)*

 

 

*상선암봉 (635m)*

 

 

*용두산 방향 풍경*

 

 

*名品 松 쉼터*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라임님*

 

 

*스마트님과 나~*

 

 

*암반 위에 자리한 희귀 松*

 

 

*제봉을 오르는 그늘진 곳에는 잔설이 남아있다*

 

 

 

 

 

 

 

 

 

 

 

*제봉 (818m)*

 

 

 

 

 

 

 

 

 

 

 

 

 

 

*登山路의 주변의 선바위*

 

 

 

 

 

 

 

 

*전망바위*

 

 

*전망바위에서 보는 올라온 능선*

 

 

*소백산 연화봉 방향*

 

 

*월악산 방향*

 

 

*午後에 하산할 채운봉 방향*

 

 

 

 

 

*형봉 정상*

 

 

*2018년 1월 7일 산행 때 형봉 認證사진*

 

 

 

 

 

*형봉의 기암*

 

 

*형봉아래 신선봉. 채운봉. 갈림길 삼거리*

 

 

*갈림길에서 신선봉. 도락산 정상으로 산행을 進行한다*

 

 

 

 

 

 

 

 

*神仙峰 頂上*

 

 

 

 

 

 

 

 

 

 

 

 

 

 

*채운봉과 검봉 방향*

 

 

*악어바위*

 

 

 

 

 

 

 

 

 

 

 

 

 

 

 

 

 

 

 

 

*신선봉에서 소백산 연화봉을 배경으로*

 

 

 

 

 

 

 

 

 

 

 

 

 

 

*신선봉 정상의 바위 웅덩이*

 

 

 

 

 

*신선봉 악어머리 바위*

 

 

 

 

 

 

 

 

 

 

 

 

 

 

*신선봉에서 사진 놀이를 마치고 도락산 정상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돌아본 신선봉 암릉*

 

 

*도락산 정상 3백 m 前 내궁기 갈림길 삼거리*

 

 

 

 

 

 

 

 

*道樂山 (도락산) 頂上*

 

 

 

 

 

 

 

 

 

 

 

 

 

 

*도락산 山行記는 사진의 量이 많아 1~2部로 나누어 기록한다*

 

 

 

 

*금남 湖南正脈의 氣峰 장수. 長安山*

 

 

 

*長安山 (장안산)은 해발 1.237m로 白頭大幹이 뻗어 全國의 8대 종산 중 가장 광활한 위치를 차지한 금남호남정맥의

기봉인 湖南의 종산으로 산 東쪽 능선에는 드넓은 억새밭이 펼쳐져 있다. 1986년 군립공원에 지정된 산이다* 

 

*산행코스 : 무룡고개~억새군락~전망데크~장안산~중봉~하봉~당동 갈림길~덕천고개~범연동

[ 산행거리 8. 85km - 4시간 07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지점인 무룡고개 들머리*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라임님*

 

 

*샘터 갈림길*

 

 

 

 

 

 

 

 

*억새군락 전망데크에서 보는 장안산 정상방향*

 

 

 

 

 

 

 

 

 

 

 

 

 

 

*잠시後 장안산 정상*

 

 

*지나온 능선길*

 

 

 

 

 

*장안산 정상*

 

 

 

 

 

 

*하산 지점인 장연동 방향*

 

 

 

 

 

 

 

 

 

 

 

 

 

 

 

 

 

*라임 님*

 

 

*스마트 님*

 

 

*현주님*

 

 

 

 

 

 

 

 

 

 

 

*중봉 능선에서 보는 백암산*

 

 

 

 

 

 

 

 

 

 

 

 

 

 

*하봉정상*

 

 

 

 

 

 

 

 

 

 

 

*하봉 아래 삼거마을 갈림길*

 

 

 

 

 

 

 

 

*덕천고개 쉼터*

 

 

*덕천암 갈림길*

 

 

 

 

 

 

 

 

 

 

 

 

 

 

 

 

 

*장안산 범연동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백제인의 꿈과 땀이 밴 歷史의 현장 정림사지 박물관 *

 

 

 

 

 

 

 

 

 

 

 

 

*박물관 로비*

 

 

*백제불교의 유래와 전파도*

 

 

 

 

 

* infinite (인피니티) 룸*

 

 

*정림사지 출토 유물 조명 진열장*

 

 

*벼루*

 

 

*소형 소조상*

 

 

*定林寺址 복원 모형*

 

 

 

 

 

*太平八年茂辰定林大藏當初 (태평 8년 무진정림사대장당초)라 쓰인 명문 기와*

 

 

*조소상과 연꽃무늬 瓦當( 와당)*

 

 

 

 

 

 

 

 

 

 

 

*조소상 片*

 

 

 

 

 

 

 

 

*정림사지 五層石塔의 축소 모형*

 

 

*백제의 와당과 아적 기단을 연출로 제작한 모형* 

 

 

 

 

 

 

 

 

*정림사지에서 출토된 연꽃무늬 수막새*

 

 

 

 

 

 

 

 

 

 

 

*정림사지 복원모형* 

 

 

 

 

 

 

 

 

 

 

 

 

 

 

 

 

 

 

 

 

 

 

 

 

 

 

 

 

 

*극락정토를 형상화한 미디어 아트의 연못과 연꽃*

 

 

 

 

 

 

 

 

 

 

 

 

 

 

 

 

 

*佛敎나라 사비시대 백제 6명의 왕들의 불교發展을 위한 업적을 대화 형식의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공간*

 

 

 

 

 

*박물관 2층 보부상 유품 전시관*

 

 

*補負商의 有來의 관한 글*

 

 

 

 

 

 

 

 

*봉도기*

 

 

 

 

 

 

 

 

 

 

 

 

 

 

 

 

 

 

 

*세계유산 백제歷史 유적지구 定林寺址(정림사지)*

 

 

 

 

 

 

 

 

 

 

 

 

*정림사지 입구와 문화해설사 집*

 

 

 

 

 

 

 

 

 

 

 

 

 

 

*정림사지 內 박물관 건물*

 

 

 

 

 

 

 

 

 

 

 

 

 

 

 

 

 

*부여 정림사지 全景*

 

 

 

 

 

 

 

 

*定林寺址 五層 石塔*

 

 

 

 

 

 

 

 

 

 

 

 

 

 

*정림사지 金堂址*

 

 

*金堂址에 관한 해설글판*

 

 

 

 

 

 

 

 

*定林寺址 石佛坐像 寶物 제108호*

 

 

 

 

 

 

 

 

 

 

 

 

 

 

 

 

 

*정림사지 언덕에 위치한 동서장군석과 명혜공주태실비* 

 

 

 

 

 

*東西將軍石 (동서장군석)*

 

 

*明惠公主胎室碑 (명혜공주태실비) 명혜공주는 조선 18대 현종 "재위 1659~1674"의 둘째 딸이다*

 

 

 

 

 

*부여 林川大橋碑 (임천대교비)*

 

 

 

 

 

*충주호 악어봉 전망대 탐방로* 

 

 

*악어봉 전망대는 충주호를 내려다 보는 風景이 악어때가 물속으로 기어가는 모습으로 사진작가 이광주님의

사진으로 알려져 악어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악어봉은 非法定 탐방로 였으나. 충주시와 환경청과

月岳山 國立公園의 협의로 2024년 9월 법적 허용범위 內에서 탐방 편의시설을 갖춘 後 개방된 탐방로이다*

 

 

*악어봉 탐방로는 왕복 1.8km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거리는 짧지만 경사가

가파른 바위길 구간이 있어 등산화를 착용하고 오르는 것이 안전하다* 

 

*악어봉 주차장에서 건너편 악어봉으로 오르는 악어 형상의 육교* 

 

 

 

 

 

 

 

 

*육교를 건너서 곧바로 나무 계단길을 오른다*

 

 

 

 

 

*악어봉 정상을 오를 때까지 가파른 오름길은 계속된다*

 

 

 

 

 

 

 

 

*松林 숲 쉼터*

 

 

*오늘 함께 온 여행팀 멤버님들*

 

 

 

 

 

 

 

 

 

 

 

*악어봉을 오름길에서 보는 월악산*

 

 

 

 

 

*악어봉에서 보는 충주호*

 

 

 

 

 

 

 

 

 

 

 

 

 

 

 

 

 

 

 

 

 

 

 

 

 

 

 

 

 

*포토존*

 

 

*게으른 악어 충주호 포토존 * 

 

 

 

 

*덕유산 동엽령 눈꽃 산행*

 

 

 

*동엽령은 덕유산 능선에 위치해 있으며. 동엽령 西쪽 방향인 안성탐방지원센터에서 7개의 폭포가 연이어 있는

칠연 폭포에서 有來 된 칠연계곡을 따라 산을 오르게 되는데. 주변의 울창한 松林과 기암괴석 사이를

헤집고 흘려가는 계곡과 칠연폭포. 용추폭포. 명제소. 문덕소. 도술담  등의 아름다운 비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산행코스 :안성탐방지원센터~용추계곡~칠연폭포 쉼터~동업령~칠연폭포쉼터~칠연의총~안성탐방지원센터*

     [ 산행거리 9. 39km - 4시간 01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지점인 덕유산 안성탐방지원센터*

 

 

*덕유산은 토요일과 밤사이 많은 눈이 내려 곤돌라를 이용한 설천봉과 백련사에서 오르는 향적봉. 코스가 열려있고

     안성탐방소에서는 동엽령까지만 산행이 가능하다고 하여 동엽령에서 돌아오는 원점회귀 산행을 한다*   

 

 

 

 

 

*칠연폭포 삼거리 쉼터. 칠연폭포는 冬節期 출입금지된 상태이다*

 

 

 

 

 

 

 

 

 

 

 

 

 

 

 

 

 

*계단에 쌓인 눈의 높이가 상당하다*

 

 

*1천 高地에 올라서자 새하얀 눈꽃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계단이 보이지 않을 만큼 눈이 쌓여있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스마트님*

 

 

 

 

 

 

 

 

 

 

 

 

 

 

 

 

 

 

 

 

 

 

 

 

 

 

 

 

 

 

 

 

*동엽령*

 

 

 

 

 

 

 

 

 

 

 

 

 

 

 

 

 

*동엽령 긴급재난 안전쉼터*

# 국립공원 직원이 향적봉. 남덕유산 방향 산행을 막고 있다# 

 

 

 

 

 

 

 

 

 

 

 

 

 

 

*동엽령에서 보는 무룡산 방향*

 

 

 

 

 

 

 

 

*중봉과 향적봉 방향*

 

 

 

 

 

*국립공원 직원분께 허락을 얻어 조망이 좋은 능선에서~멋진 사진을 남긴다* 

 

 

 

 

 

 

 

 

 

 

 

 

 

 

*안성탐방지원센터에서 올라온 길을 되돌아 내려간다*

 

 

 

 

 

 

 

 

 

 

 

 

 

 

 

 

 

 

 

 

 

 

 

 

 

 

 

 

 

 

 

 

 

 

 

 

 

 

 

 

 

 

 

 

 

 

 

 

 

 

 

 

 

 

 

 

 

 

 

 

 

 

 

 

 

*칠연계곡*

 

 

 

 

 

 

 

 

 

 

 

*문덕소*

 

 

 

 

 

*七淵義塚 (칠연의총)*

 

 

 

 

 

 

 

 

 

 

 

*산행을 시작했던 안성탐방지원센터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완도의 가보고 싶은 섬(島) happy birth island. 생일도*

 

 

 

*生日島는 해발 483m의 白雲山과 금곡 해수욕장을 낀 동백숲과 용출 갯돌밭이 장관을 이루는 섬이다. 생일도란

地名은 처음에는 산일도. 산유도라 불리다가 住民들의 본 성이 착하고. 어질어 갓 태어난 아기와 같다 하여

날생(生)과 날 일(日) 字를 붙여 生日島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또 하나의 有來는 예로부터 험한 바다에서 조난

사고와 해적들 횡포가 심해 이름을 새로 짓고 새로 태어나라는 뜻에서 생일도라 불렸다는 說이 있는 섬이다* 

 

 

*산행코스 :용출마을~돌탑지대~금머리 갯길~금곡해수욕장~일출공원~백운산~학서암 갈림길~생일松~서성항*

[산행거리 10. 36km - 3시간 45분  (운동시간 ) ]

 

 

*완도 당목항에서 오전 8시 20분 완농 페리 5호에 승선하여 생일도로 간다* 

 

 

*船上에서 보는 당목항 방향*

 

 

*섬 주변의 전복 양식장*

 

 

 

 

 

*당목항을 출발한 지 20여분 만에 도착한 생일도 서성港*

 

 

*서성항의 케이크 조형물*

 

 

*서성항에서 마을버스를 10만에 도착한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용출마을 몽돌해변*

 

 

 

 

 

 

 

 

 

 

 

*포토존*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생일도 名品 2길 구간의 용출 갯돌밭은 생일도 名物 중의 하나 손꼽히는 곳이다*

 

 

*돌이 많으니 돌탑도 많이 쌓았다*

 

 

 

 

 

*돌담길과 돌탑이 함께 있는 길*

 

 

 

 

 

 

 

 

 

 

 

 

 

 

 

 

 

*돌탑이 가장 많이 있는 곳*

 

 

 

 

 

 

 

 

 

 

 

*軍 海岸 초소가 있던 곳의 쉼터*

 

 

 

 

 

*용출봉 갈림길*

 

 

*송곳 바위가 있는 해안*

 

 

 

 

 

*금곡 해수욕장 부근의 리조트*

 

 

 

 

 

 

 

 

 

 

 

*금곡해수욕장에서 백운산을 오르는 길은 林道를 걸어서 올라야 하며. 季節 포토존을 시설이 있다*

 

 

 

 

 

 

 

 

*태마공원의 봄 계절의 포토존

 

 

*태마공원 전망대. 수평선에  가득낀 海霧로 주변의 섬들이 보이질 않는다*

 

 

 

 

 

*白雲山 정상*

 

 

 

 

 

 

 

 

*백운산 頂上에서 보는 서성항 全景*

 

 

 

 

 

 

 

 

*오늘 산행 구간 중 풍경이 가장 멋진 곳이다*

 

 

 

 

 

 

 

 

 

 

 

*조망 바위에서 내려다 보는 생일도 앞 多島海 全景* 

 

 

 

 

 

 

 

 

 

 

 

 

 

 

 

 

 

*학서암 갈림길*

 

 

 

 

 

*마을앞 느티나무 쉼터*

 

 

*지게차 운전석의 견공* 

 

 

*海松 보호수*

 

 

 

 

 

 

 

 

 

 

 

*오늘 산행의 종점인 서성항으로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서성항에서 보는 주변 섬과 풍경*

 

 

*당목항을 나갈 여객선이 들어온다. 오후 2시 20분 승선하여 당목항으로 돌아온다*

 

 

 

*충남 山의 最高峰. 서대산에 雪花* 

 

 

 

*西臺山은 노령산맥에 속하는 山으로 충남의 山中 最高峰이다. 主陵線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웅장하고 巨大한

장군바위를 비롯하여. 신선바위. 북두칠성바위. 용바위등 기암의 절벽과 함께 山頂에서 조망되는

대전시가지와 옥천. 금산 일대의 멋진 풍경이 장관을 이루어. 암릉 산행을 즐기려는 산객들이 즐겨 찾는 산이다*

 

 

*산행코스 : 개덕사~조망바위~쉼터~갈림길~닭벼슬봉~옥녀탄금대~서대산~장군봉~석문~헬기장~칠성바위~사자바위~

신선봉~신선바위~로프구간~제비봉 갈림길~용바위~기상관리동~개덕사* ( 산행거리 6.46km - 4시간 27분 )*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개덕사*

 

 

*서대폭포*

 

 

 

 

 

*조망 바위에서 추부면 소재지 방향의 풍경*

 

 

*오름길 쉼터에서 보는 잠시 후에 오를 닭벼슬봉*

 

 

 

 

 

 

 

 

 

 

 

*갈림길에서 닭벼슬봉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닭벼슬봉에서 보는 頂上방향*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라임님*

 

 

*옥천 장령산 방향*

 

 

 

 

 

 

 

 

*라임 님*

 

 

*스마트님*

 

 

*현주님*

 

 

 

 

 

 

 

 

 

 

 

 

 

 

*조금 전 내려온 닭벼슬봉*

 

 

*조망바위에서 보는 닭벼슬봉의 암릉*

 

 

 

 

 

 

 

 

*옥녀탄금대*

 

 

 

 

 

*서대산 정상 바로 아래의 옥녀 탄금대의 샘 (泉)의 靈水 (령수)를 7번 이상 마시면

혼인길이 열리고 첫아들을 낳는다는 傳說이 있는 곳이다* 

 

 

*옥녀탄금대 窟의 致誠壇 (치성단)*

 

 

 

 

 

*정상에 핀 상고대 (서리꽃)*

 

 

 

 

 

 

 

 

*서대산 頂上*

 

 

 

 

 

 

 

 

 

 

 

 

 

 

*서대산 기상관측소*

 

 

 

 

 

 

 

 

 

 

 

 

 

 

*기상 관측소에서 보는 장군봉과 신선봉 방향 全景* 

 

 

 

 

 

 

 

 

 

 

 

 

 

 

 

 

 

 

 

 

*전망 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서대산 정상방향*

 

 

*잠시 후 오를 장군봉*

 

 

 

 

 

 

 

 

 

 

 

 

 

 

 

 

 

*장군봉에서 보는 서대산 정상*

 

 

 

 

 

 

 

 

 

 

 

 

 

 

*장군봉 (견우탄금대. 견우장연대) 한국전쟁 때 戰鬪 경찰이 새겼다는 說이 있는 태극기와 漢字 岩刻 있다. 

 

 

*태극기*

 

 

 

 

 

 

 

 

 

 

 

 

 

 

*장군봉 암봉*

 

 

 

 

 

*石門 바위*

 

 

 

 

 

 

 

 

*장군봉 석문 아래에서 점심을 먹는 동안 포근한 날씨에 상고대는 모두 떨어지고 없다*

 

 

 

 

 

 

 

 

*흥국사 갈림길*

 

 

*선바위*

 

 

*선바위를 돌아가 보면 바위가 두 개로 갈라져 있다*

 

 

 

 

 

 

 

 

*북두칠성 바위*

 

 

 

 

 

 

 

 

 

 

 

*신선봉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사자바위*

 

 

 

 

 

 

 

 

 

 

 

*사자바위의 다른 모습*

 

 

*사자 바위에서 보는 신선봉*

 

 

*잡목으로 우거진 신선봉은 조망이 없다*

 

 

 

 

 

*신선바위에서 보는 내려온 신선봉*

 

 

 

 

 

 

 

 

 

 

 

*신선바위*

 

 

 

 

 

*신선바위에서 올려다보는 신선봉*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로프구간*

 

 

 

 

 

*제비봉 갈림길 삼거리에서 용바위 방향으로 하산한다*

 

 

*마당바위 갈림길*

 

 

*西臺山 戰跡碑 (서대산 전적비)*

 

 

*용바위*

 

 

 

 

 

*하산하여 올려다보는 신선봉과 신선바위*

 

 

 

 

 

 

 

 

*산행을 시작했던 개덕사로 돌아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