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百 年의 老松과 岩陵이 어우러진 신선봉&白頭大幹. 마패봉* 

 

 

 

*신선봉(967m)은 괴산군과 충주시에 걸쳐있는 산으로 山이 높고 산세가 아름다운 산이지만 주변의 월악산. 주흘산.

조령산과 같은 有名한 산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는 산이지만. 신선봉에서 마패봉으로 이어진 主陵線에서

조망되는 월악산과 주흘산. 부봉. 白頭大幹 구간 중 가장 풍광이 멋진 조령산~신선암봉~깃대봉구간이 한눈에 조망되며.

수백 년이 됨직한 老松들이 뿌리를 내린 바위와 어우러진 풍경은 결코 주변의 유명산에 떨어지지 않는 산이다*

  

 

*산행코스 : 괴산 조령산 자연휴양림~너덜바위지대~뽀족봉 갈림길~신선봉~암릉구간~로프구간~마패봉~전망바위~

로프구간~조령 3 관문~조령산 자연휴양림* [ 산행거리 5. 61km - 4시간 48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지점인 괴산 鳥嶺山 자연 휴양림 매표소*

 

 

*휴양림 표지석 左측에 신선봉 방향 이정목을 非探防 구간으로 지정하면서 제거를 한 상태이다*

 

 

*제거되지 않은 이정목*

 

 

*이구간이 비탐방 구간으로 지정된 이유는 아마도 산행 시작지점부터 主陵線에 오를 때까지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너덜 바위지대라 사고의 위험 예방차원에서 지정한 듯싶다*

 

 

*얼어붙은 폭포*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스마트님*

 

 

 

 

 

 

 

 

 

 

 

 

 

 

 

 

 

 

 

*주능선까지 올라가야 할 길도 까마득하고~*

 

 

*올라온 길도 돌아보고 싶지 않을 만큼 대단하다*

 

 

*뽀족봉. 연어봉. 신선봉 갈림길 주능선 도착. 신선봉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연어봉. 뾰족봉 방향의 암봉*

 

 

*조망바위*

 

 

*조망바위에서 보는 봉우리*

 

 

*신선봉으로 오르는 칼바위길*

 

 

 

 

 

 

 

 

 

 

 

*신선봉 직전 로프구간*

 

 

 

 

 

 

 

 

 

 

 

 

 

*현주님의 특별한 정상 인증*

 

 

 

 

 

 

 

 

 

 

 

 

 

 

 

 

 

 

 

 

 

 

 

*신선봉에서 보는 월악산 방향의 全景*

 

 

*당겨서 찍은 월악산과 북바위산* 

 

 

*조령산과 신선암봉 방향*

 

 

 

 

 

*신선봉을 내려와 마패봉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오늘 산행 코스 중 난이도가 가장 높은 직벽 로프구간*

 

 

 

 

 

 

 

 

 

 

 

 

 

 

*내려온 신선봉*

 

 

 

 

 

 

 

 

*고사리마을과 저수지*

 

 

*등산로의 명품 松*

 

 

 

 

 

 

 

 

 

 

 

 

 

 

 

 

 

 

 

 

 

 

 

 

 

 

 

 

 

 

 

 

 

 

 

*전망바위에서 보는 월악산의 멋진 풍경*

 

 

 

 

 

 

 

 

 

 

 

 

 

 

 

 

 

 

 

 

 

 

 

 

 

 

 

 

 

 

 

 

 

 

 

*마패봉에서 조령 3 관문 하산길 最高의 전망바위에서 보는 풍경*

 

 

 

 

 

 

 

 

*조망바위에서 보는 마패봉. 깃대봉. 신선암봉. 조령산으로 이어진 白頭大幹*

 

 

*주흘산과 부봉 방향*

 

 

 

 

 

*마패봉에서 조령 3 관문 하산길의 위험한 로프구간*

 

 

 

 

 

 

 

 

 

 

 

 

 

 

 

 

 

 

 

 

*조령산성*

 

 

 

 

 

*嶺南第三聞 (영남제삼문)*

 

 

*鳥嶺聞*

 

 

 

 

 

 

 

 

*문경새재 관리소에서 고사리마을까지의 세재길 구간 안내도*

 

 

*백두대간 조령 碑*

 

 

 

 

 

*문경 과거길*

 

 

 

 

 

*아침 산행을 시작했던 휴양림으로 원점회귀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白頭大幹 이만봉 산행 & 야생화 탐사*

 

 

*二萬峰은 괴산군 연풍면과 경북 문경시 가은읍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白華山과 羲陽山 사이 白頭大幹길에

우뚝 솟아있다. 희양산 (999m)과 시루봉 (914m) 이만봉이 正 三角形을 이루고 백두대간이 백화산을

지나면서 南쪽으로 뇌정산을 맺어놓고 이만봉. 시루봉을 지나 희양산으로 이어진다. 이만봉이란 산 이름은

옛날 임진왜란 이곳 산골짜기로 2만여 가구가 피난을 들어와 붙여진 이름이라는 傳說과 이만호라는

이름을 가진 兄弟가 이 산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생긴 이름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고 한다*

  

 

산행코스 : 분지 저수지~시루봉 갈림길~희양산 갈림길~963봉~도막 갈림길~용바위~마당바위~이만봉~마당바위~

용바위~도막 갈림길~희양산 갈림길~시루봉 갈림길~분지 저수지 [산행거리 7.93km - 4시간 49분 (운동시간) ]

 

 

*중부 내륙고속도로 아래 시루봉 방향 이정표*

 

 

*분지 저수지 아래 분지천*

 

 

*분지 저수지 제방*

 

 

 

 

 

 

 

 

*저수지에서 보는 조령산 줄기*

 

 

 

 

 

*시루봉 갈림길*

 

 

*말나리*

 

 

*오늘은 산행보다는 야생화 탐사에 중점을 두고 산행을 한다*

 

 

 

 

 

*속단*

 

 

 

 

 

 

 

 

*山水菊*

 

 

 

 

 

 

 

 

 

 

 

 

 

 

 

 

 

*좀꿩의다리*

 

 

*백두대간 희양산. 구왕봉 갈림길*

 

 

 

 

 

*오늘 처음 만난 솔나리*

 

 

*분지리 (도막) 갈림길*

 

 

*조망 바위에서 보는 희양산*

 

 

 

 

 

*이만봉으로 이어지는 햇볕이 잘 드는 바위길에 솔나리와 병아리난초가 자생하고 있지만.

탐방시기가 늦어 꽃은 지고 씨방이 맺혀가는 꽃들만이 있어 아쉬움이 크다*   

  

 

*병아리난초*

 

 

*지난번 탐사 때 찍은 병아리난초*

 

 

 

 

 

 

*용바위*

 

 

 

 

*조령산. 신선봉. 부봉. 방향*

 

 

 

 

 

 

 

 

 

 

 

 

 

 

 

 

 

 

 

 

*일월비비추. 꽃말: 신비한 사랑*

 

 

*당겨서 찍은 신선암봉과 부봉*

 

 

*주흘산과 주흘 영봉* 

 

 

 

 

 

*산행을 진행할 이만봉*

 

 

*좌측. 곰틀봉과 우측. 이만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써니 님*

 

 

 

 

 

*로프구간*

 

 

 

 

 

*참배암차스기 (토단삼)*

 

 

 

 

 

 

 

 

 

 

 

*솔나리와 은분취*

 

 

*산앵도나무 열매*

 

 

 

 

 

*병아리난초*

 

 

*여로*

 

 

*큰까치수염*

 

 

*산꿩의다리*

 

 

 

 

 

 

 

 

*큰까치수염*

 

 

 

 

 

 

 

 

*병조희풀*

 

 

 

 

 

 

 

 

 

 

 

*써니 님*

 

 

 

 

 

 

 

 

 

 

 

 

 

 

 

 

 

 

 

 

 

 

 

 

 

 

 

 

 

 

 

 

 

 

 

 

 

 

 

 

 

 

 

 

 

 

 

 

 

 

 

 

 

*용바위*

 

 

*회목나무꽃*

 

 

 

 

 

*山水菊*

 

 

*말나리*

 

 

*시루봉 갈림길*

 

 

 

 

 

*분지 저수지*

 

 

 

 

 

 

 

 

*산행을 시작했던 분지 저수지로 내려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기암괴석 암봉이 빼어난 조령산. 촛대바위. 신선암봉

 

 

 

 

 

*조령산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해발고도 1026m의 한강과 낙동강을 가르는 분수령이 되고 있는 산이다. 조령산에서 남쪽의 백화산 사이의 고개가 이화령. 북쪽의 미패봉 사이의 고개가 조령이고 그곳에 문경 서재라 불리는 조령 제3관문(조령관)이 위치한다. 이를 통해 연남 지방과 중부지방이 연결되어

교통의  요지였을 뿐 아니라. 험난 지세를 이용할 수 있어 군사상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현재 이 일대는 문경새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령산의 주능선 상에는 정상 북쪽으로 신선암봉과 치마바위봉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암봉과 암벽지대가 많으며. 능선 서편으로는 수옥폭포와 용송 골. 절골. 심기골 등 아름다운 계곡이 발달되어 있다.

 

 

 

 

 

*산행코스 : 절골~기도원~암릉지대~전망바위~촛대바위~헬기장~조령산~절골 갈림길~마당바위 갈림길~슬랩 구간

신선암봉~공깃돌 바위~갈림길~청암사~마당바위폭포~사방댐~절골* [산행거리 : 10.49km - 5시간 57분 (운동시간) ]

 

 

 

 

 

*이번주도 전국적으로 펴진 바이러스로 인적이 드문 곳으로 산행지를 정하여 기현님과 동행하여 다녀온다*

 

 

 

 

 

*선선 암봉. 조령산. 갈림길 이정표 촛대바위 방향은 묘지 뒤편이다*

 

 

 

 

 

*시그널이 많이 달린 쪽으로 올라간다*

 

 

 

 

 

 

 

 

 

 

 

 

 

 

 

 

 

*조망이 트인 곳에서 내려다본 산행 출발지인 신풍리(절골) 마을*

 

 

 

 

 

 

 

 

 

 

 

*암벽 훈련장*

 

 

 

 

 

 

 

 

 

 

 

*선바위*

 

 

 

 

 

*선바위가 나오면서 본격적인 암릉구간이 시작된다*

 

 

 

 

 

 

 

 

 

 

 

 

 

 

 

 

 

*전망바위를 내려오는 함께 산행하는 기현님*

 

 

 

 

 

 

 

 

 

 

 

*암릉과 암릉 사이의 협곡*

 

 

 

 

 

 

 

 

 

 

 

*위험한 암릉 구간이라 로프 구간이 많이 있다*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방향의 로프를 잘라 놓아서 우회하여 올라와 본 바위 뒷모습* 

 

 

 

 

 

 

 

 

 

 

 

 

 

 

 

 

 

*조령산 정상을 찍고 이어서 산행을 진행할 신선암봉*

 

 

 

 

 

*전망 바위에 본 촛대바위*

 

 

 

 

 

 

 

 

 

 

 

*전망바위를 내려오는 직벽 로프 구간*

 

 

 

 

 

 

 

 

 

 

 

 

 

 

 

 

 

 

 

 

 

 

 

*촛대바위를 올라오는 로프 구간*

 

 

 

 

 

*촛대바위의 산악인 추모비*

 

 

 

 

 

*촛대바위*

 

 

 

 

 

 

 

 

 

 

 

 

 

 

 

 

 

 

 

 

 

 

 

*촛대바위 암릉 능선 등록에는 이러한 로프 구간 여러 군데 있다* 

 

 

 

 

 

 

 

 

 

 

 

*이화령에서 올라오는 등로와 합류되는 지점*

 

 

 

 

 

*정상으로 향하는 백두대간 주능선은 1000 고지가 넘어서 전날 내린 잔설이 남아 있다*

 

 

 

 

 

*조령산 정상*

 

 

 

 

 

 

 

 

 

 

 

*기현님*

 

 

 

 

 

 

 

 

 

 

 

 

 

 

 

 

 

 

 

 

 

 

 

 

 

 

 

 

 

 

 

 

 

 

 

 

 

 

 

 

 

 

 

 

 

 

 

 

 

 

 

 

 

 

 

 

 

 

 

 

 

 

 

 

 

*예전과는 많이 달라진 백두대간길 나무 계단길로 말끔히 단장되어 있다*

 

 

 

 

 

*당겨 찍은 신선암봉*

 

 

 

 

 

 

 

 

 

 

 

 

 

 

 

 

 

 

 

 

 

 

 

*괴산 방향 절골. 문경 방향 마당바위 갈림길 이정표* 

 

 

 

 

 

*신선암봉 가는 길도 나무 계단길로 바뀌었다*

 

 

 

 

 

 

 

 

 

 

 

 

 

 

 

 

 

 

 

 

 

 

 

 

 

 

 

 

 

 

 

 

 

 

 

*소머리 모양 바위*

 

 

 

 

 

*백두대간 구간 중 가장 뛰어난 풍광이 자랑거리인 조령산 백두대간 구간*

 

 

 

 

 

*조령산 백두대간 구간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이다*

 

 

 

 

 

*깃대봉으로 향하는 중간 봉인 915봉*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 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 에이르는 한반도 중심 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르며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포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 인식 체계입니다*

 

 

 

 

 

*주흘산 방향*

 

 

 

 

 

 

 

 

 

 

 

 

 

 

 

 

 

 

 

 

 

 

 

 

 

 

 

 

 

 

 

 

 

 

 

 

 

 

 

 

 

 

 

 

 

 

 

 

 

 

 

 

 

 

 

 

 

 

 

*찌찌 바위*

 

 

 

 

 

 

 

 

 

 

 

 

 

 

 

 

 

 

 

 

 

 

 

*돌아본 조령산~지금껏 걸어온 산길*

 

 

 

 

 

*잠시 후 하산길의 공깃돌 바위* 

 

 

 

 

 

 

 

 

 

 

 

*오늘 함께 산행하는 기현님*

 

 

 

 

 

 

 

 

 

 

 

 

 

 

 

 

 

 

 

 

 

 

 

 

 

 

 

 

 

 

 

 

 

 

 

*오늘은 원점회귀 산행이라 한 섬지기. 신풍리 방향으로 하산한다*

 

 

 

 

 

 

 

 

 

 

 

 

 

 

 

 

 

 

 

 

 

 

 

 

 

 

 

 

 

 

 

 

 

 

 

 

 

 

 

 

 

 

 

 

 

 

 

 

 

 

 

 

 

*공깃돌 바위*

 

 

 

 

 

*내려온 신선암봉*

 

 

 

 

 

 

 

 

 

 

 

 

 

 

 

 

 

*오늘은 사진을 담아줄 산행 파트너 기현님이 있어 평소보다는 인물사진이 푸짐하다*

 

 

 

 

 

 

 

 

 

 

 

 

 

 

 

 

 

 

 

 

 

 

 

 

 

 

 

 

 

*비가 내린 후라 미세 먼지가 없는 날씨라 멀리 월악산 영봉까지 조망된다*

 

 

 

 

 

 

 

 

 

 

 

 

 

 

 

 

 

*한 섬지기 갈림길 이정표*

 

 

 

 

 

*명품 松의 氣받는 기현님*

 

 

 

 

 

 

 

 

 

 

 

*청암사는 사진으로 만 남기고...*

 

 

 

 

 

 

 

 

 

 

 

*양(羊) 바위*

 

 

 

 

 

*양 바위 암릉의 로프 구간*

 

 

 

 

 

 

 

 

 

 

 

 

 

 

 

 

 

 

 

 

 

 

 

*마당바위 폭포*

 

 

 

 

 

 

 

 

 

 

 

 

 

 

 

 

 

 

 

 

 

 

 

 

 

 

 

 

 

*절골 폭포*

 

 

 

 

 

 

 

 

 

 

 

*겨울 철이지만 수량이 많아 마치 여름철 폭포를 보는 것 같다* 

 

 

 

 

 

 

 

 

 

 

 

 

 

 

 

 

 

 

 

 

 

 

 

 

 

 

 

 

 

*에바다 기도원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