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님의산길여행

*인왕산* (나홀로) 본문

나의 산행 이야기

*인왕산* (나홀로)

산님~* 2019. 12. 26. 11:50

 

 

 

 *왕기가 서린땅 인왕산(仁王山)*

 

 

 

 

 

 

*인왕산(仁王山)은 높이 338m,의 산전체가 화강암으로 된 암반이 노출되어 있으며 기묘한

형상의 바위들이 곳곳에 솟아 있어 조선시대부터 명산으로 알려져 왔으며 산의 서쪽

기슭에 있는 중이 장삼을 입은 듯한 선바위(민속자료 제4호)는 예로부터 이곳에서 소원을

빌면 그소원이 이루어졌다고 하여 유명하고 군사적인 이유로 한때 출입이 통제되었으나

지금은 사직공원.무악재등에서 성곽을 따라 정상에 이르는 등산로가 개방되어 있다*

 

 

 

*산행코스 : 무악현대apt~인왕사 일주문~국사당~선바위~마애불~산수유전망대~범바위~

                매바위~성곽길~인왕산~기차바위~성덕사 [산행거리 : 5.61km - 3시간25분]

 

 

 

 

 

*인왕사 일주문앞 인왕산 등산로 안내도*

 

 

 

 

 

*3호선 독립문역 1번출구로 나와 무악재 현대apt을 지나 도착한 인왕사*

 

 

 

 

 

*인왕사 일주문

 

 

 

 

 

 

 

 

 

 

 

 

 

 

 

 

 

 

 

 

 

 

*국사당 (중요민속자료 제28호)*

이사당은 조선시대에 나라에서 남산을 신격화한 목멱대왕(木覓大王)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며 목멱신사로 불렸다고 한다.일반 백성들은 이곳에서 제사를 지낼수 없었고 나중에

굿당으로 변하였는데. 헌종 대 학자 이규경 (李圭景1788~?)이 지은 五洲衍文長箋散稿

(오주연문장전산고)란 책에는 국사당이란 명칭과 함께 현존하는 무신도의 기록이 있다*

 

 

 

 

*선바위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졔4호)*

 

                            

 

 

 

 

 

 

 

 

*선바위 형상이 마치 중이 장삼을 입고 서 있는것 같아서 禪(선)자를 따서 선바위라 

부른다 하며 조선 태조와 무학대사의 상이라는 전설, 또는 이성계 부부의 상이라는

 전설도 있고. 인간이 죽어서 석불이 되었다는 인간의 화신으로 설화되고 있으며

여기에 빌면 소원성취를 할수있다 하여 오랜전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뒤편에서 본 선(禪)바위*

 

 

 

 

 

*모자바위*

 

 

 

 

 

*해골바위*

 

 

 

 

 

 

 

 

 

 

 

*고래등바위*

 

 

 

 

 

 

 

 

 

 

 

 

 

 

 

 

 

*인왕산에는 마애불이 몇 군데 있다고 하는데 그중 선바위 아래에 있는 마애불 좌상이다 *

 

 

 

 

 

*마애불옆의 암릉으로 올라간다*

 

 

 

 

 

*암릉의 바위에 수많은 이름,글씨가 새겨진 흔적들이 흐릿하지만 지금도 남아있다*

 

 

 

 

 

 

 

 

 

 

 

*당겨서 찍은 고래등바위*

 

 

 

 

 

*데크 전망대*

 

 

 

 

 

*전망데크 본 건너편의 안산*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당겨찍은 부처(얼굴)바위*

 

 

 

 

 

 

 

 

 

 

 

 

 

 

 

 

 

 

 

 

 

 

 

*산수유 전망대*

 

 

 

 

 

 

 

 

 

 

       *경복궁 왼쪽에 자리한 인왕산은 예로부터 황제가 태어날 명당이 있다는 말들이 돌았다.

        땅의 기운이 센곳이라 무속신앙에서 섬기는 여러신을 모신 신당들이 있어.바위에 이

쓰고 굿을 하는 행위가 지금도 행해지고 있는듯 그흔적이 흉물 스럽게 보인다*

 

 

 

 

 

 

 

 

 

 

 

 

 

 

 

 

   *당겨서 찍은 부처(얼굴)바위*

 

 

 

 

 

 

 

 

 

 

 

*고래등 바위와 부처(얼굴)바위*

 

 

 

 

 

 

 

 

 

 

 

 

 

 

 

 

 

*해골바위와 한양도성의 성곽*

 

 

 

 

 

 

 

 

 

 

 

*기암사이로 보이는 약수터*

 

 

 

 

 

*또다른 모습의 모자바위 뒤에 까만색은 달팽이바위다*

 

 

 

 

 

 

 

 

 

 

 

*모자바위 아래를 지나서 성곽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인왕산 정상방향*

 

 

 

 

 

 

 

 

 

 

 

*당겨서 찍은 매바위*

 

 

 

 

 

*목책을 넘어서 가까히 닥아가 찍은 매바위인데. 고릴라 모습 같기도 하다*

 

 

 

 

 

 

 

 

 

 

 

 

 

 

 

 

 

 

 

 

 

 

 

*당겨서 찍은 청기와집*

 

 

 

 

 

 

 

 

 

 

 

 

 

 

 

 

 

*인왕산 정상*

 

 

 

 

 

 

 

 

 

 

 

 

 

 

 

 

 

 

 

 

 

 

 

 

 

 

 

 

 

*산행을 이어갈 기차바위 방향*

 

 

 

 

 

 

 

 

 

 

 

 

 

 

 

 

 

 

 

 

 

 

 

 

 

 

 

 

 

*기차바위로 가는 등산로의 기암*

 

 

 

 

 

 

 

 

 

 

 

 

 

 

 

 

 

 

 

 

 

 

 

 

 

 

 

 

 

*기차바위의 기암*

 

 

 

 

 

 

 

 

 

 

 

*기차바위에서 당겨 찍은 북한산*

 

 

 

 

 

 

 

 

 

 

 

 

 

 

 

 

 

 

 

 

 

 

 

 

 

 

 

 

 

*홍제동 방향으로 하산하는 갈림길*

 

 

 

 

 

 

 

 

 

 

 

*기차바위를 아래에서 찍어볼 생각으로 홍제동 방향으로 잠시 내려간다*

 

 

 

 

 

*가려진 나무사이로 들어난 기차바위를 담고 다시 갈림길로 올라온다*

 

 

 

 

 

*홍지문 방향으로...*

 

 

 

 

 

*군부대시설이 있는 갈림길에서 부암동(성덕사) 방향으로 하산..*

 

 

 

 

 

 

 

 

 

 

 

*성덕사를 지나 부암동 주민센터 방향으로 하산 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부암동 주민센터에서 bus 한 정거장 거리에 있는 윤동주 시인 언덕으로..*

 

 

 

 

 

*윤동주 문학관*

 

 

 

 

 

 

 

 

 

 

 

*윤동주 시인의 언덕으로 올라가 본다....*

 

 

 

 

 

 

 

 

 

 

 

*윤동주 시인의 대표작 서시 碑*

 

 

 

 

 

 

 

 

 

 

 

 

 

 

 

 

 

 

 

 

 

 

 

*윤동주 시인 언덕에서 본 북악산의 모습*

 

 

 

 

 

 

 

 

 

 

 

   *1968년1월21일 북한 무장 공비 김신조 등 31명이 청와대 기습 당시 총격전에

   지휘관으로 순직한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경무관 像*

 

 

 

 

 

  *인왕산과 북악산 중간의 한양도성 城門에 하나인 창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