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향 안동 여행 6부*

*고려와 安東.  歷史 이야기가 있는 太師廟*

 

 

 

*안동 太師廟는 고려 태조가 後三國을 統一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삼태사. 즉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정필「張貞弼」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건립 당시에는 삼공신 묘 (三功臣廟)라 하였는데.

1613년 (광해군 5) 중건과 더불어 이름을 태사묘 (太師廟)라 개칭하였다. 936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고려 태조와

후백제의 견훤이 병산전투를 할 때 삼태 사는 안동 사람들과 함께 고려를 도와 전쟁에서 승리를 이끌고

후삼국을 통일하는데 세운 공로를 인정받아하며 태사라는 직위를 하사 받고. 세 姓氏 의 시조가 되었으며 당시

고창군 (古昌郡)을 부로 승격 안동으로 바꾸었다. 이로서 안동은 유서 깊은 역사적인 도시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고 태사묘의 선비 정신은 후세에 길이 남아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숭고한 뜻을 전해주고 있다*

  

 

 

 

 

*태사묘 출입 대문인 2층 樓閣인 경모로 (景慕樓)*

 

 

 

 

 

 

 

 

*숭보당 (崇報堂). 삼태사 후손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중요한 회합을 갖는 공간이다* 

 

 

 

 

 

*숭보당과 安東 金氏 화수회 사무실로 쓰고 있는 동재*

 

 

*보물제 451號인 보물각 (寶物閣)

 

 

 

 

 

 

 

 

*여지금대*

 

 

 

 

 

*공민왕이 친필로 쓴 교지 (보물제 451-11호)*

 

 

*寶物閣 보관되어 있던 공민왕의 하사품인 모란 금대. 옥관자. 등 12種 22店의 유물*

 

 

 

 

 

*三太師의 위패가 모셔진 태사묘 사당*

 

 

 

 

 

 

 

 

*태사묘 해설사의 부재로 사당으로 들어갈 수 없어 담장 밖에서 찍은 삼태사 碑* 

 

 

*안동 도산서원이 天地人을 뜻하는 삼태극 문양을 하고 있지만~ 태사묘의 세 개의 대문은

陰陽을 상징하는 이태극 문양을 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안묘당 (安廟堂)은 任辰倭亂때 삼태사의 위패를 지킨 안금이 (安今伊)이와 병산 대첩 때 견훤의 군사에게

고삼 술이라는 毒酒을 빛이 후백제 군을 만취시켜. 三公臣軍이 승리할 수 있도록 도운 안중

할머니의 위패가 모셔진 곳이다. 조선 선조 임진왜란 때. 墓職이 안금이가 삼태사의 위패를 길안면 국란계곡

동굴로 모셔가 봉향하였다가 평란 후 환안 하였다. 이에 안묘당을 지어 안중 할머니는 달리는  

白馬를 그려 戰勝을 상징하고. 안금이는 위패로 모시고 삼태사공 향사 시에 마련된 음식으로 잔을 올리며 그들에

功을 기리고 있다고 한다. 그 당시 유교 사회인 조선에서 조상의 위패란 목숨과도 같은 것이었다.

임진왜란 시 선조가 백성을 버리고 의주로 몽진을 할 시에도 종묘와 사직의 위패는 다 모셔 갔을 정도였다*

 

 

*전사청 (典祀廳). 제사를 지낼 때의 용품을 보관하는 곳으로 보인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 월영교*  (0) 2020.09.02
*논산 : 명재고택. 배롱나무 꽃* (2020. 8. 25)  (0) 2020.08.31
*안동 묵계종택*  (0) 2020.08.28
*안동 묵계서원. 배롱나무.만휴정 카페*  (0) 2020.08.28
*안동 : 만휴정*  (0) 2020.08.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