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季節이 아름다운 길. 괴산 산막이 옛길* 

 

 

 

 

 

 

 

 

 

*산행코스 : 산막이옛길 입구~고인돌 쉼터~노루샘~등잔봉 갈림길~등잔봉~이정표~한반도 전망대~천장봉~

삼성봉 갈림길~신령 참나무~산막이마을~삼신바위~연하협구름다리~삼신바위~수월정~산막이 나루터~

앉은뱅이 약수터~호랑이굴~연화담~산막이 옛길 입구 [ 산행거리 11. 80km - 5시간 08분 ( 운동시간 ) ]

 

 

*괴산 산막이 옛길은 산행과 트레킹을 구분하여 할 수 있는 곳이기에 산행과 트레킹을 區分하여 포스팅한다*

 

 

*산막이 옛길 碑*

 

 

 

 

 

*오늘 산행 출발지점인 산막이 옛길 入口*

 

 

 

 

 

*고인돌 쉼터*

 

 

 

 

 

*소원성취 의자와 연리목*

 

 

*소원성취 의자*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갈참나무 연리목*

 

 

 

 

 

 

 

 

 

 

 

 

 

 

 

 

 

 

 

 

*소나무 출렁다리*

 

 

 

 

 

 

 

 

*등잔봉 갈림길*

 

 

*등잔봉으로 올라간다*

 

 

 

 

 

*하늘말나리*

 

 

 

 

 

*松林 숲길*

 

 

 

 

 

 

 

 

 

 

 

 

 

 

*험한 길과 편안한 길 갈림길*

 

 

*힘들고 험한 길로 올라간다*

 

 

*거리는 짧지만 험한 등산로의 연속이다*

 

 

*조금 돌아가긴 하지만 편안길을 권하고 싶다*

 

 

*등잔봉 前 만나는 지점*

 

 

*燈盞峰은 옛날 한양으로 과거 보려 간 아들의 壯元 級第를 위해 등잔불을 켜놓고 100일 기도를 올렸다고 하며

지금도 그 효험이 있다 하여 子息들을 위해 精誠을 드리는 사람들이 발길이 잦은 봉우리라고 한다*

 

 

 

 

 

 

 

 

 

 

 

*등잔봉 전망대*

 

 

*내려다보는 한반도 地形*

 

 

*장마철 홍수를 대비하여 댐의 물을 방류하여 한반도 지형 풍경이 별로다*

 

 

*천장봉으로 가는 陵線 登山路는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평탄한 길을 걷는다*

 

 

*능선 조망터에서 보는 산막이(괴산) 댐*

 

 

 

 

 

 

 

 

 

 

 

 

 

 

 

 

 

*한반도 전망대. 표지판 투명 보호판으로 되어 있어 빛을 반사하여 사진이 이렇게 찍힌다*

 

 

*등잔봉에서 보는 풍경과는 다른 한반도 지형이다*

 

 

 

 

 

*천장봉 前 산막이 마을과 진달래 동산 갈림길*

 

 

*천장봉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천장봉은 하늘아래 펼쳐진 自然景觀이 울창한 老松과 더불어 장관을 이뤄 그 風光明媚 (풍광명미)의

수려함이 하늘도 감탄하여 숨겨놓은 봉우리하여 天藏峰 (천장봉)이라 부른다고 한다*

 

 

 

 

 

 

 

 

*개미집*

 

 

*노루발*

 

 

*神靈 참나무*

 

 

 

 

 

 

 

 

*건너편 아가봉과 옥녀봉 방향*

 

 

*산막이 (괴산)댐*

 

 

*산막이 마을로 내려간다*

 

 

 

 

 

*산막이 마을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치고. 산막이 옛길 트레킹을 시작한다* 

 

 

 

 

 

*산막이 마을로 하산하여 보는 지금껏 걸어온 천장봉과 등잔봉*

 

 

 

*白頭大幹 첩첩 산중에 숨은 우뚝한 "山" 단양 兀山*

 

 

 

*단양 兀山은 白頭大幹 산기슭 첩첩山中 한가운데 자리한 우뚝할 兀字를 山 이름으로 택한 兀山 (858m) 단양과 예천를

경계를 이루는 백두대간 主陵線에서 北으로 조금 벗어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능선에 자리한 巨大한 바위는

岩壁 등반 코스이며. 해산굴. 해골바위. 히프바위등 奇妙한 形狀을 한 바위들과 山頂 능선에서 막힘없이 펼쳐진 소백산

연화봉. 황정산. 도락산. 금수산. 제비봉 등 주변의 산들의 멋진 풍경과 바위길의 스릴감을 느낄수 있는 산이다*

 

 

*미노리 사방댐~전망바위~515봉~밧줄구간~553봉~개껌바위~떡바위~전망바위~해산굴~719봉~암릉~올산~

암릉우회길~전망바위~사방댐* [ 산행거리 8.18km - 5시간 10분 ( 운동시간 ) ]

 

 

*대강면 미노리 사방댐 완공 碑이 세워진 지점에서 오늘 산행을 시작한다*

 

 

*올산 등산 안내도*

 

 

*하늘나리*

 

 

 

 

 

*사방댐 바로 아래 계곡의 징검다리 건넌다*

 

 

*515봉 능선에서 보는 황정산 방향 풍경*

 

 

*능선에서 조금 비켜난 곳의 전망바위*

 

 

*전망바위에서 보는 건너편 단양의 名山 황정산과 그 너머 도락산도 고개를 내밀고 있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스마트님*

 

 

 

 

 

 

 

 

 

 

 

 

 

 

 

 

 

*버섯바위. UFO.이름을 가진 바위*

 

 

*바위길 로프구간*

 

  

 

 

 

 

 

 

 

 

 

 

 

 

 

 

 

*소백산 연화봉. 도솔봉. 묘적봉이 조망되는 전망바위*

 

 

*커다란 바위 구덩이에 자리 잡은 나무. 3년에 보다 더~자란듯 하다*

 

 

*바위위로 뿌리를 들어 낸 名品 松. 산아래 마을에 있다면 天然記念物 지정 감이다*

 

 

 

 

 

*바위와 소나무 틈사이를 네발로 기어 오르듯 하여 올라온 개껌바위*

 

 

 

 

 

 

 

 

*개껌 바위 암릉에서 보는 지나온 능선*

 

 

 

 

 

*떡바위*

 

 

*올려다 보며 담은사진*

 

 

*위에서 내려다 보며 현주님이 담은사진*

 

 

 

 

 

 

 

 

 

 

 

 

 

 

 

 

 

 

 

 

*떡바위에서 보는 산행을 진행할 715봉과 올산 정상 방향*

 

 

*건너편 황정산 방향*

 

 

 

 

 

 

 

 

 

 

 

*황정산 방향*

 

 

*석골산 방향*

 

 

*소백산 연화봉 방향*

 

 

 

 

 

 

 

 

 

 

 

*해산굴 (산부인과) 로 내려가는 길*

 

 

*떡바위 아래 해산굴은 등산로 따라 무심코 걸으면 그냥 지나치기 쉬운 곳이다. 주변 잘 살펴보면서 가야 한다*

 

 

 

 

 

 

 

 

 

 

 

 

 

 

 

 

 

 

 

 

 

 

 

 

 

 

*719봉을 내려가는 위험한 바위길 로프가 있지만 주의해야 한다*

 

 

 

 

 

 

 

 

 

 

 

 

 

 

 

 

 

*719봉 전망바위*

 

 

*산행을 進行할 兀山 頂上방향*

 

 

*수리봉과 석화봉. 황정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로프구간*

 

 

 

 

 

 

 

 

*719봉을 내려와서 안부의 이정표*

 

 

*정상 봉우리를 오르며 전망바위에서 보는 산행을 시작한 미노리 방향*

 

 

*719봉 지나온 능선 너머로 용두산과 제비봉이 보인다고 하는데~~*

 

 

*당겨서 찍은 떡바위와 석골산*

 

 

 

 

 

 

 

 

 

 

 

 

 

 

 

 

 

 

 

 

 

 

 

 

 

 

 

 

 

*岩峰과 岩峰 사이를 연결하는 木橋*

 

 

 

 

 

 

 

 

 

 

 

 

 

*두 岩峰 연결하는 다리가 만들어지기 前에는 로프를 잡고 올라 왔었다*

 

 

 

 

 

 

 

 

 

 

 

 

 

 

 

 

 

*兀山 頂上*

 

 

*해골바위*

 

 

 

 

 

 

 

 

 

 

 

 

 

 

 

 

 

 

 

 

 

 

 

 

 

 

 

 

 

 

 

 

 

 

 

*2% 부족한 히프 바위* 

 

 

 

 

 

 

 

 

*히프바위 하단의 바위가 진짜 해골바위가 아닌가 싶다*

 

 

*兀山 頂上 (858m)*

 

 

 

 

 

 

 

 

 

 

 

 

 

 

*털중나리*

 

 

 

 

 

*해골바위가 있는 암릉에서 보았던 巨大한 岩峰은 오르지 못하고 우회해서 간다*

 

 

*가까이 닦아가 올려다 보니  광각 렌즈에도 잡히지 않는 어마 어마한 바위이다*

 

 

 

 

 

*조망바위*

 

 

 

 

 

*조망바위에서 올려다 보는 올산 정상과 우회한 암봉 방향*

 

 

*午前에 걸었던 719봉과 해산굴. 떡바위 능선*

 

 

 

 

 

 

 

 

 

 

 

 

 

 

*꼬리 진달래*

 

 

 

 

 

 

 

 

 

 

 

*쥐방울 꽃*

 

 

*하산 後 계곡에서 돌을 들쳐보니 요렇게 이쁜 녀석이~~* 

 

 

 

 

 

*아침에 담지 못했던 거북바위*

 

 

 

 

 

 

*몸과 마음으로 傳通 文化를 체험할  있는 외암 민속관* 

 

 

 

*巍巖 民俗館은 上流. 中流. 서민층 家屋12동을 주축으로 朝鮮時代 신분별 住居空間을 재현하고 있으며.

住居用具. 부엌살림류. 농기구류. 기타 소품류 등 각종 생활공예품을 전시하고 있다*

 

 

 

 

 

*民俗館 입구의 장승*

 

 

*물레방아*

 

 

*외암민속마을 활성화 차원에서 새로이 植栽한 소나무들*

 

 

*전통 그네 시설이 있는 松林 쉼터*

 

 

 

 

 

**最近에 새로이 세운 장승*

 

 

 

 

 

*외암 民俗館*

 

 

*民俗館의 전시된 農器具類들*

 

 

*上流層 家屋*

 

 

*朝鮮時代의 전형적인 상류층 家屋 모습*

 

 

*사랑채*

 

 

 

 

 

*사랑방*

 

 

*문간채는 머슴. 하인들이 기거하던 공간이다*

 

 

 

 

 

*祠堂 (위패당)*

 

 

 

 

 

*상류층 가옥의 안채*

 

 

 

 

 

*안방*

 

 

*부엌*

 

 

*장독대*

 

 

 

 

 

*상류층 家屋의 傳統 婚禮式場*

 

 

 

 

 

 

 

 

*中流䁬 家屋*

 

 

 

 

 

 

 

 

*안방*

 

 

 

 

 

*부엌*

 

 

 

 

 

*중류층 집의 장독대*

 

 

*곳간채 (倉庫. 창고)*

 

 

 

 

 

 

 

 

 

 

 

*平民層 家屋*

 

 

 

 

 

*단출한 살림의 평민층 안방*

 

 

 

 

 

*사랑방*

 

 

*평민층 가옥의 부엌*

 

 

 

 

 

*서민층 家屋*

 

 

 

 

 

*돗자리 짜는 틀*

 

 

*부엌*

 

 

 

 

 

 

 

*살아있는 民俗 博物館 아산 외암마을*

 

 

 

*국가민속文化材로 지정된 牙山 외암마을은 아산 시내에서 남쪽으로 8km 떨어진 설화산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의 외암마을은 朝鮮 선조 때부터 예안 李氏 정착하면서 예안이 씨 집성촌이 되었고. 그 후 後孫들이

번창하여 많은 人材를 배출하면서 양반촌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성리학의 大學者인 巍巖 (외암) 李柬 (이간) 先生이

마을에 살면서 널리 알려졌으며. 마을이름도 李柬 (이간) 선생의 鎬인 외암에서 따온 것으로 전해진다*

 

 

 

 

 

*입장요금은 어른 2.000원. 어린이. 청소년. 군인 1.000원 단체 1.600원이며. 경로 65세 이상. 6세 이하 무료이다*

 

 

 

 

 

 

 

 

 

 

 

 

 

 

*마을 앞 연못에 핀 연꽃과 마을 풍경*

 

 

*설화산과 외암마을*

 

 

 

 

 

 

 

 

*마을 앞 연꽃을 본 후 능소화 開花 상황이 궁금하여 초가집 돌담길로 발길을 옮긴다* 

 

 

 

 

 

*每年 이 맘 때에 이곳으로 능소화를 보려 왔었는데. 어찌 된 일인지 능소화가 없다* 

 

 

*2022년 6월 이곳에서 찍은 능소화*

 

 

*아산 외암민속마을 內에서 능소화가 가장 많이 피는 곳이었는데. 아쉬움이 크다*

 

 

 

 

 

*마을 가운데 자리한 樹齡 약 640年의 느티나무 保護樹*

 

 

*외암마을 內에는 총 6.3km의 自然石 돌담장이 保存중이며. 돌담으로 연결된 골목길 및

주변의 울창한 樹林이 마을경관을 더욱 고풍스럽게 하고 있다*

 

 

 

 

 

 

 

 

 

 

 

*능소화는 金藤花(금등화).양반꽃으로 불리며. 꽃말은 女性. 명예이다. 開花시기는 7월부터 본격적으로

9월까지 계속 피고 지고를 반복하며. 요즘에는 기온이 높아져 이르게 6월에도 핀다*

 

 

 

 

 

 

 

 

 

 

 

 

 

 

 

 

 

*photo zone인 이곳에도 능소화가 보이질 않는다*

 

 

 

 

 

 

 

 

 

 

 

 

 

 

 

 

 

 

 

 

 

 

 

 

 

 

 

 

 

 

 

 

*연자방아*

 

 

*외암마을 참판댁*

 

 

 

 

 

*아산 외암마을에는 忠淸지방 고유 격식을 갖춘 반가의 古宅과 草家. 돌담. 정원이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참판댁 안채*

 

 

 

 

 

 

 

 

*巍巖 宗孫宅 (외암 종손댁)*

#이 家屋은 李柬 (이간) 선생의 종손이 살고 있어 종손댁이라 불린다#

 

 

*종손댁 대문에 걸린 메모*

 

 

*외암 이간 祠堂*

 

 

 

 

 

 

 

 

 

 

 

 

 

 

*敎授宅 (교수댁)*

#교수댁은 조선 시대 末에 武科에 급제한 後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한 李聖烈이

살던 집이며. 훗날 성균관 교수를 지낸 李用龜가 이 집에 살았다고 해서 교수댁이라 불린다#

 

 

*디딜방아*

 

 

 

 

 

 

 

 

 

 

 

 

 

 

 

 

 

 

 

 

*監察宅 (감찰댁)*

#감찰댁은 朝鮮 後記에 지어진 木造 家屋이다. 택호의 유래는 알 수없지만 아마도 주인의 官職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健齋古宅 (건재고택)*

 

 

 

 

 

 

 

 

 

 

 

 

 

 

 

 

 

*건재古宅은 충청지방의 대표적인 반가로 건재(이욱렬)호를 따서 건재고택이란 택호가 붙었으며.

행정자치부 "庭園 100選"에 선정된 정원으로 李柬 先生이 태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고택內 亭子*

 

 

 

 

 

 

 

 

 

 

 

 

 

 

*아산 외암민속마을은 2020~2021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 選定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되었다*

 

 

 

 

*공주: 忠臣 문극겸 先生 祠堂 叩諫院址(고간원지)* 

 

 

 

*叩諫院址 (고간원지)는 高麗 時代 의종. 명종 대의 忠臣 文克謙 (문극겸 1122~1189)先生 을 모신 祠堂으로 그 일대에는

叩諫院을 비롯하여 문숙공신도비. 재실. 墓所 등이 있으며. 정확한 建立 年代는 알 수 없지만 祖鮮 太宗의

명으로 고간원을 세웠다고 한다. 문극겸 선생은 방탕한 生活을 하는 의종과 부정부패를 일삼는 신하들을 바로잡기 위해

간언을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고향인 남평현 (現 전남 나주)으로 落鄕 중 公州의 유구역을 지날 때

고향으로 내려가는 마음을 유구 역사의 벽에 詩로 써놓았고 이後 그 詩가 그림으로 그려졌으며. 간신거국도 (諫臣去國圖)

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現在 이곳 공주 유구읍 추계리에는 문극겸 先生의 後孫들이 居住하고 있다*

 

 

*고간원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 51호*

 

 

 

 

 

*文克謙 神道碑*

#신도비는 임금이나 高官의 벼슬을 지낸 분의 무덤 앞이나 묘지로 가는 길목에 세워 事跡을 알리는 碑다#

 

 

 

 

 

*後孫의 功積碑*

 

 

*충숙공 문극겸의 頌德碑 (송덕비)*

 

 

*忠肅公 文克謙 先生에 관한 글*

 

 

*2022년 7월의 公州 歷史人物로 선정 자료. (출처.大田日報)*

 

 

*叩揀院 亭閣. 안에는 중수사실을 기록한 현판이 걸려있다*

 

 

 

 

 

*고간원 齋室의 外三門*

#齋室은 무덤이나 祠堂 옆에 祭祀를 지내려고 지은 집이다# 

 

 

*慕先門*

 

 

 

 

 

 

 

 

 

 

 

*叩揀精舍 (고간정사)*

 

 

 

 

 

 

 

 

*忠肅公影堂 (충숙공영당)*

 

 

*忠肅公 文克謙 影像. (검색이 허용된 사이트에서 옮겨온 사진)*

 

 

 

 

 

*金岡齋 (금강재)*

 

 

 

 

 

*충숙공 문극겸 묘지*

 

 

 

 

 

 

 

 

 

* 공주 : 유구. 수국 정원. 꽃축제 *

 

 

 

*"유구 색동수국정원"은 유구 관광 100만 명 시대를 꿈꾸는 유구 읍민들의 熱情으로 유구 생태河川에 조성하였다.

水菊의 수는 물인데. 學名은 hydranea (하이드랜지어)로 라틴어로 "물을 담는 그릇"이라는 뜻이다.

中國에서는 "비단에 수를 놓은 둥근 공처럼 피는 꽃이란 의미로 繡毬花로 불리우며. 꽃색이 변한다 하여 七變花.

八仙花로도 불리웠는대. 이는 옛날 새색시가 입었던 색동저고리의 비단 색감과도 같이 多樣하고

신비스러운 꽃 색감을 가지고 있어. 색동비단 生産地 유구읍 (維鳩邑)을 상징하는 대표 꽃이 되었다고 한다*

 

 

*색동수국정원 안내도*

 

 

 

 

 

*마을 주민들이 운영하는 마켓*

 

 

*지난주 축제는 끝이 났지만 수국상태가 좋아 많은 관광객들이 모여들고 있다* 

 

 

 

 

 

*유구 색동수국정원은 維鳩川 1km 구간에 水菊 약 22種. 16.000本을 심어 중부권 最大 수국정원이며.

에나멜수국. 목수국 등 多養한 수국을 볼 수 있으며 포토죤 곳곳에서 人生샷 촬영도 할 수 있다*

 

 

 

 

 

 

 

 

*지난해와 달리 많은 포토죤을 시설해 놓았다* 

 

 

 

 

 

 

 

 

 

 

 

 

 

 

 

 

 

*維鳩川에 새로이 시설한 浮橋*

 

 

*유구천에도 浮橋를 설치하여 포토죤을 만들어 놓았다*

 

 

 

 

 

 

 

 

 

 

 

 

 

 

 

 

 

 

 

 

*코끼리 마늘밭*

 

 

 

 

 

 

 

 

*하트 꽃밭*

 

 

 

 

 

 

 

 

 

 

 

 

 

 

 

 

 

*유구천 제방길의 마을마켓*

 

 

*축제장에 빠질 수 없는 각설이 공연단. 가장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다*

 

 

*제방길 양쪽으로 수국을 심고 가꾸어 놓은 꽃길*

 

 

 

 

 

 

 

 

*유구천 징검다리*

 

 

 

 

 

 

*天上의 花園. 평창 靑玉山 육백마지기. 샤스타데이지*

 

 

 

*靑玉山 (1.255.7m)은 옛날부터 "곤드레" 나물과 더불어 청옥이라는 산체가 自生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凌線이 비교적 평탄한 地形으로. 그 面的이 볍씨 6백 말을 뿌릴 수 있을 만큼이나 넓은 평원이라 하여 육백마지기라

     불리어졌고. 샤스타데이지가 滿開하는 6~7월이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평창의 名所로 손꼽히는 곳이다*    

 

 

*산행코스 : 한치재~육백마지기(샤스타데이지군락)~청옥산~갈림길~청옥수 약수터~지동리*

[ 산행거리 7. 87km - 2시간 50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은 고흥 쑥섬으로 水菊을 보려 갈 예정이었으나. 장마 전선이 북상하여 많은 비예보가 있어.

비가 내리지 않는 곳으로 예보된 평창 청옥산으로 산행지를 변경하여 산행을 한다* 

 

 

*한치재에서 비포장 도로를 걸어서 육백마지기 샤스타데이지 군락지로 올라온다*

 

 

 

 

 

 

 

 

 

 

 

*포토 조형물*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엠투엠 女性 회원님들*

 

 

 

 

 

 

 

 

*山 陵線을 따라 설치된 풍력 발전시설과 어우러진 풍경이 天上의 花園이라 불릴 만큼 아름다운 곳이지만.

금방이라 비가 쏟아질 듯한 흐린 날씨로 멋진 풍광을 볼 수 없어 아쉬움이 크다*  

 

 

 

 

 

*하트 포토 조형물*

 

 

 

 

 

 

 

 

 

 

 

 

 

 

 

 

 

 

 

 

 

 

 

*육백마지기 능선 전망데크의 수호랑 반다비 조형물*

 

 

 

 

 

 

 

 

*샤스타데이지군락을 돌아보고 청옥산 頂上으로 올라간다*

 

 

*예전의 청옥산 정상*

 

 

 

 

 

 

 

 

 

 

 

*靑玉山 (1.255.7m) 정상*

 

 

 

 

 

 

 

 

*지동리 방향으로 하산한다*

 

 

*용수골 갈림길. 지동리방향 하산길은 표시가 없다. 우측으로 난 흐릿한 길로 내려간다*

 

 

 

 

 

*등산객들이 많이 다니지 않아 나무와 숲을 헤치고 걸어야 하는 등산로를 한동안 내려오자 이정목이 나온다*   

 

 

*노루오줌*

 

 

 

 

 

 

 

 

*청옥수 약수터*

 

 

 

 

 

 

 

 

 

 

 

*지동리 마을 풍경*

 

 

 

 

 

*지동리(별천지마을)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白日軒 宗宅과 푸른 숲 속의 예 스러운 마을. 숫골* 

 

 

 

*논산시 상월면 酒谷里 마을은 朝鮮時代에는 酒幕里로 동주막. 서주막등 이를 합쳐 술골(酒谷)로 불려 오다가

1914年 지금의 上月面 주곡리로 되었다. 마을에는 淸州 楊氏 始祖 충헌공의 祠堂과 1705年에 武科에

及第하여 정주목사. 형조참판. 兵曹判書등 官職을 지낸 이 마을 出身 李森장군의 古宅 (英祖가 下賜)이 있다*

 

*상월면 주곡리 691번 지방도로변 주곡리(숫골) 입구* 

 

 

*마을 어귀의 장승*

 

 

 

 

 

*주곡리 마을 장승 관한 안내문*

 

 

*雄谷亭 (웅곡정)*

 

 

*정자 안에 걸린 雄谷亭 創建에 관한 글*

 

 

*정자에서 보는 마을과 생태공원 풍경*

 

 

 

 

 

 

 

 

 

 

 

*마을 앞 생태공원의 연못*

 

 

*지난해 7월 7~8일. 이곳에서 제2회 주곡리 연꽃 축제도 열렸다고 합니다*

 

 

*연못 포토죤 의자*

 

 

 

 

 

 

 

 

 

 

 

*마을길에 주민들이 가꾸어 놓은 낮달맞이꽃*  

 

 

 

 

 

*마을길 주변에 잘 꾸며 놓은 꽃밭*

 

 

 

 

 

 

 

 

*白日軒 李森將軍 宗宅 (백일헌 이삼장군 종택)*

 

 

 

 

 

*백일헌 종택은 朝鮮時代의 武人인 李森장군의 宗家가 대대로 살아온 집이라고 한다* 

 

 

 

 

 

 

 

 

*백일헌 종택은 현재 보수 공사를 하고 있는 중이다*

 

 

*종택內 화단*

 

 

*장독대*

 

 

 

 

 

*본채 뒤편 祠堂*

 

 

 

 

 

 

 

 

 

 

 

*마을 주민들의 그림 솜씨를 타일로 제작하여 붙여놓은 家屋 담장 미술관* 

 

 

 

 

 

 

 

 

*마을회관 앞 주곡리 안내도*

 

 

*마을 풍경*

 

 

 

 

 

 

 

 

*마을 안쪽에 있는 忠憲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194호)* 

 

 

 

 

 

 

 

 

 

 

 

*忠憲祠 (충헌사)는 淸州 楊氏 始祖인 충헌공 楊起를 모신 祠堂이다. 楊起 (양기)는 원나라의 정승으로

高麗末에 노국공주를 모시고. 우리나라에 왔다가 귀화하여 공민왕을 모신 人物이다*

 

 

*충헌사 敬慕堂 (경모당)*

 

 

 

 

 

 

 

 

 

 

 

 

 

 

*忠憲祠*

 

 

 

 

 

*충헌사 앞 樹齡 300年의 왕버들 보호수*

 

 

 

 

 

*家屋 주변을 꽃으로 단장한 예쁜 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