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수도 쪽빛바다의 전망이 아름다운 남해 응봉산&설흘산*  

 

 

*雪屹山 (482m)은 남해 앵강만 西南쪽에 있는 산으로 頂上에는 조선시대 때 설치한 烽燧臺 (봉수대)가 아직도 남아있으며.

남해 錦山과 돌산도에 있는 봉수대와 서로 연락을 하였다고 한다. 정상부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한려수도

전망이 뛰어나며. 日出을 보는 景觀이 멋진 곳이다. 설흘산 산행의 백미는 산행초입부터 응봉산까지 이어지는 바위길이다.

날카로운 암릉길을 쪽빛 남해바다를 보며 걷는 내내 시원한 조망을 즐길 수 있고. 산아래에는 CNN이 先定한

한국방문 시 꼭 가봐야 할 장소 50곳 중 3위에 올라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랭이 마을이 위치한 가천마을이 있다

 

 

*산행코스 : 선구마을~동굴~옥녀봉(171m)~첨봉(422m)~426봉~응봉산~365봉~가천마을 갈림길~

설흘산~조망바위~가처천마을 주차장* [ 산행거리 6. 53km - 3시간 10분 ( 운동시간 ) ]

 

*남해 선구마을 팽나무 祭壇에서 시산제를 지내고 응봉산~설흘산 연계산행을 시작한다*

 

 

*선구마을 팽나무 祭壇*

 

 

 

 

 

*선구마을에서 보는 사촌마을과 바다풍경*

 

 

*등산로 옆 동굴*

 

 

*옥녀봉*

 

 

*암릉 시작지점에서 보는 南海 한려수도의 아름다운 풍광* 

 

 

*어전골 마을과 관미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 님*

 

 

*스마트님*

 

 

 

 

 

 

 

 

 

 

 

 

 

 

 

 

 

 

 

 

*첨봉의 절벽길*

 

 

 

 

 

*암릉아래 항촌 마을과 바다 건너 여수방향의 풍경*

 

 

*항촌마을*

 

 

 

 

 

 

 

 

 

 

 

 

 

 

 

 

 

 

 

 

*첨봉 암능선에서 보는 풍경*

 

 

 

 

 

*첨봉 바위 능선과 바다 건너 여수방향 풍경*

 

 

*관미봉과 장등산*

 

 

 

 

 

*첨봉 (낙뢰산)*

 

 

 

 

 

 

 

 

 

 

 

 

 

 

*산행을 이어갈 응봉산 방향의 바위 능선길*

 

 

 

 

 

 

 

 

 

 

 

 

 

 

*지나온 尖峰 (첨봉)*

 

 

 

 

 

 

 

 

*첨봉과 암릉길*

 

 

 

 

 

 

 

 

*여수 돌산도 바다 풍경*

 

 

 

 

 

 

 

 

*350봉*

 

 

 

 

 

*응봉산 頂上*

 

 

 

 

 

 

 

 

*응봉산 정상에서 보는 산행을 進行할 설흘산 방향*

 

 

*조망바위에서 보는 설흘산*

 

 

*응봉산을 내려와 설흘산 방향은 등산로는 한동안 평탄한 길를 걷는다*

 

 

*가천마을 갈림길 삼거리*

 

 

*돌탑 장승*

 

 

 

 

 

*가천마을. 홍현리 갈림길 사거리*

 

 

*男海 雪屹山 봉수대 알림판*

 

 

*남해 설흘산 烽燧臺*

 

 

 

 

 

*설흘산 정상*

 

 

 

 

 

*頂上에 함께있던 회원님들과~*

 

 

*雪屹山 (설흘산) 頂上에서 보는 응봉산*

 

 

*당겨서 찍은 응봉산*

 

 

 

 

 

*하산지점인 가천마을*

 

 

*남해 상주면의 금산과 노도 방향*

 

 

 

 

 

 

 

 

 

 

 

*전망바위에서 보는 응봉산*

 

 

 

 

 

*전망터에서 보는 남해 금산과 노도*

 

 

*당겨서 찍은 보리암이 있는 錦山*

 

 

 

 

 

 

 

 

*하산길 너덜바위지대*

 

 

 

 

 

*조금 前 내려온 설흘산 정상부*

 

 

 

 

 

 

 

 

*CNN이 선정한 한국방문 시 꼭 가봐야 할 곳 50곳 중 3위에 선정되었다는 다랭이 마을*

 

 

*가천 다랭이 마을*

 

 

*가천마을 주차장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소원을 이뤄주는 永世不忘의 名山. 남해 錦山*

 

 

 

*南海 錦山(681m)은 한려해상 國立公園의 유일한 山岳공원으로 온통 奇岩怪石들로 뒤덮인 38景이 절경을 이루고 있는 산이다.

地質은 중생대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頂上에서는 남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넓은 바다를 한눈에 굽어 볼 수 있어

삼남지방의 경승명산지로 손꼽히며 우리나라 三代 기도처인 보리암. 쌍홍문. 사선대. 음성굴. 상사암. 등 볼거리가 많은 산이다*

 

 

*산행코스 : 금산탐방지원센터~도선바위~쌍홍문~보리암~화엄봉~헬기장~금산정상~헬기장~단군성전~상사바위~

헬기장~부소암~석각(거북바위)~두모계곡입구* [ 산행거리 7. 04km - 3시간 45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의 시작지점인 상주리 금산탐방지원센터*

 

 

 

 

 

 

 

 

 

 

 

*도선바위.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라임님*

 

 

*한려해상국립공원內 멸종위기 植物 도감*

 

 

*보리암을 오르는 돌계단길*

 

 

*靑泉先心이라 글이 새겨진 장승*

 

 

*四仙臺 (사선대) 금산 제16景*

#東西南北에 흩어져 있는 네 신선이 이 岩峰 에서 모여 놀았다 하여 사선대라 부른다# 

 

 

*雙虹門 (쌍홍문) 錦山 제15景* #금산의 관문이며. 옛날에 天兩門 (천양문)이라 불러왔으나

신라중기 원효대사가 두 개의 굴이 쌍무지개가 같다고 하여 쌍홍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쌍홍문*

 

 

 

 

 

 

 

 

 

 

 

 

 

 

*보리암에서 보는 左측부터 상사바위. 제석봉. 일월봉. 화엄봉*

 

 

 

 

 

 

 

 

 

 

 

 

 

 

*보리암 三層 石塔*

 

 

*금산 보리암은 강화도 보문사. 낙산사 홍련암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기도처의 한 곳이다*

 

 

 

 

 

 

 

 

*화엄봉과 일월봉*

 

 

 

 

 

 

 

 

*보리암에서 보는 相思바위*

 

 

 

 

 

 

 

 

 

 

 

*華嚴峰 (화엄봉) 바위 모양이 화엄의 華 자를 닮았다 하여 화엄봉이라 하며. 원효대사가

이 바위에서 화엄경을 읽었다 하여 화엄봉이라는 說이 있다* 

 

 

 

 

 

*줄사철나무*

 

 

 

 

 

*정상. 보리암 갈림길*

 

 

 

 

 

 

 

 

*mtom 회원들*

 

 

 

 

 

 

 

 

 

 

 

 

 

 

 

 

 

 

 

 

 

 

 

 

 

 

*오늘 함께 산행하는 빨강망토. 까칠이. 한비치님*

 

 

 

 

 

 

 

 

 

 

 

 

 

 

 

 

 

 

 

 

 

 

 

*오랜만에 산행에 참여한 파란 키위 동생*

 

 

 

 

 

 

 

 

 

 

 

 

 

 

 

 

 

 

 

 

*단군성전 弘益門*

 

 

 

 

 

 

 

 

*단군성전. 보리암. 상사바위. 부소암. 갈림길인 헬기장* 

 

 

 

 

 

*상사바위에서 보는 제석봉. 일월봉. 화엄봉과 보리암*

 

 

 

 

 

 

 

 

*상주면 소재지 방향*

 

 

*相思岩에서 보는 암릉과 남해바다*

 

 

*左.부터 한비치. 까칠이. 빨강망토님*

 

 

 

 

 

 

 

 

*조망 바위에서 보는 상사바위*

 

 

 

 

 

 

*당겨서 찍은 제석봉*

 

 

 

 

 

*조망 바위에서 보는 보리암*

 

 

 

 

 

 

 

 

 

 

 

*부소암. 금산 제34景*

 

 

 

 

 

*중국 진사황의 아들 부소가 이곳에서 머물고 살다 갔다는 傳說이 있다*

 

 

 

 

 

 

 

 

 

 

 

 

 

 

*조망데크에서 보는 남해 바다와 우측 여수방향*

 

 

 

 

 

 

 

 

 

 

 

*南海 良阿里 石刻 (남해 양아리 석각) 거북바위라 불리는 이 바위에 새겨진 文字는 徐巿過此로 (서불이 이곳을 지나다). 傳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진시황제가 시종 서불에게 不老草를 구해 오라고 하여. 서불이 이곳까지 오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徐福像이 있는 두모계곡 입구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