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의 사상과 정기가 서린 山. 白岳山 ( 북악산) *

 

 

 

 

*白岳山 은 1968년 1. 21 사태 이후 북악산 지역이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出入이 제한되었던 것이 白岳山

일원 전면 개방 계획에 따라 2006년 숙정문과 삼청터~촛대바위까지 2020년 11월 1일부터 청와대 뒤편 

  북악산 北측면 區間이 54년 만에 全面 開訪으로 안산에서 인왕산. 백악산과 북한산으로 이어지는 코스가 완성되었다*                     

 

*산행코스 : 인왕산 코스~ 윤동주 문학관~창의문~돌고래 쉼터~백악쉼터~백악산~1.21 사태소나무~청운대~

청운대 쉼터~만세동방~청와대 전망대~백악정~칠궁 안내소* [ 산행거리 7. 49km - 4시간 17분) ] 

 

 

*인왕산을 내려와 부암동에서 윤동주 詩人의 언덕으로 간다* 

 

 

*서울의 夜景 조망지점*

 

 

*詩人 尹東柱 零魂의 터*  #중국에 있는 詩人의 묘소의 흙을 가져다 이곳에 뿌렸다고 한다#

 

 

*서시 詩碑*

 

 

*슬픈 族屬 (족속) 詩. 1938년 9월 作.* 

 

 

*長安煙雨 (장안연우). 봄을 재촉하는 이슬비가 내리는 날에 白岳山 (北岳山) 西쪽 기슭에

올라가 서울 長安을 내려다본 全景을 그린 그림이다*

 

*詩人의 언덕에서 보는 잠시 後 산행할 백악산(북악산)*

 

 

 

 

 

*윤동주 文學館*

 

 

*文學館 내부는 촬영이 禁止되어 사진을 찍지 못하였다*

 

 

 

 

 

*최규식 경무관 동상. 1. 21 사태 당시 종로경찰서장으로 재직하면서 북한 무장공비와 총격전으로 순국* 

 

 

*정종수 경사 흉상. 1.21 사태당시 최규식 경무관 함께 순국*

 

 

 

 

 

*창의문으로 올라간다*

 

 

 

 

 

*彰義門 (창의문)*

 

 

 

 

 

*창의문을 돌아보고 북악산으로 올라간다*

 

 

*都城길을 오르며 보는 창의문*

 

 

 

 

 

*창의문 안내소*

 

 

*사진의 한양都城 성곽길은 백악산(북악산) 일원 全面 開訪 계획에 따라 2006년 4월 1일 1차적으로 개방된 코스이다*

 

 

 

 

 

*돌고래 쉼터*

 

 

*북악산을 오르며 보는 오전에 산행한 인왕산*

 

 

 

 

 

*백악마루*

 

 

*현주님*

 

 

 

 

 

 

 

 

 

 

 

 

 

 

*15발의 총탄 자국 남아있는 소나무*

 

 

 

 

 

 

 

 

*도성벽에 새겨놓은 刻字城石*

 

 

 

 

 

 

 

 

*靑雲臺*

 

 

 

 

 

 

 

 

*청운대에서 보는 백악산 (북악산) 정상*

 

 

 

 

 

 

 

 

*백악산 眺望 名所*

 

 

 

 

 

*청운대 쉼터*

 

 

*청운대 쉼터 삼거리에서 만세동방 방향으로 내려간다*

 

 

*청운대 쉼터에서 만세동방. 청와대 전망대로 내려가는 등산로는 2020년 11월 1일부터 54년 만에 開訪된 길이다*

 

 

萬世東方聖壽南極 (만세동방 성수남극) 岩刻 세겨져 있는 약수터*

 

 

 

 

 

 

 

 

 

 

 

*만세동방. 성수남극에 대한 설명 글*

 

 

*삼청쉼터. 삼청안내소 갈림길*

 

 

*백악정. 청와대 전망대 방향으로 간다*

 

 

*청와대 전망대에서 보는 청와대와 경복궁*

 

 

 

 

 

 

 

 

*백악산 出入통제 시설*

 

 

*백악정*

 

 

*백악정아래 청와대 담장*

 

 

*백악정에서 칠궁 안내소 방향으로 내려간다*

 

 

*백악정에서 보는 백악산 頂上*

 

 

 

 

 

*칠궁 안내소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白頭大幹 자락에 숨은 照望좋은 名山 道藏山 (도장산)*

 

 

*道藏山 (도장산 827.9m)은 경북 서북부 白頭大幹 자락에 숨은 名山으로 택리지에서 靑華山 (청화산)과

俗離山 (속리산) 사이에 景致좋고 사람 살기 그만인 복지 있다. 는 문구가 있으며 속리산. 시루봉

전체를 한눈에 照望 할 수 있고. 전통寺刹 심원사와 폭포. 그리고 쌍용계곡의 秘境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산행코스 : 용추교주차장~쌍용폭포갈림길~706봉~전망바위~795봉~도장산~갈림길~724봉~헬기장 (742m)~

암릉~심원사~심원 폭포~쌍용 폭포~용추교 주차장* [ 산행거리 9. 18km - 4시간 57분 ( 운동시간 ) ]

 

 

*용추교 소형 주차장의 도장산 登山 안내도*

 

 

*쌍용계곡의 등로의 기암*

 

 

 

 

 

 

 

 

 

 

 

 

 

 

*쌍용계곡*

 

 

*오랜 가뭄으로 쌍용 계곡의 물은 그리 많지 않다*

 

 

 

 

 

*쌍용 폭포와 계곡은 산행 후 둘려 보기로 하고 심원사 방향으로 올라간다*

 

 

 

 

 

 

 

 

*706봉을 오르며 보는 헬기장이 있는 하산할 능선의 742봉*

 

 

 

 

 

*742봉 넘어로 속리산이 조망된다*

 

 

*백악산도뚜렸하게 보이고~*

 

 

*시루봉과 연엽산* 

 

 

*당겨서 찍은 시루봉*

 

 

*잔대*

 

 

*참취*

 

 

 

 

 

*고도를 높이자 속리산 조금더 보인다*

 

 

 

 

 

*795봉을 오르는 바위구간*

 

 

 

 

 

 

 

 

*지나온 795봉*

 

 

*좌측 백두대간 청화산. 가운데 시루봉. 우측 연엽산*

 

 

 

 

 

 

 

 

 

 

 

 

 

 

 

 

 

 

 

 

*도장산 정상에서 당겨서 찍은 속리산 문장대와 칠형제봉*

 

 

*속리산 정상인 천왕봉과 입석대. 신선대*

 

 

*백악산*

 

 

*원추리*

 

 

 

 

 

*우복 동천 갈림길에서 헬기장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우복 동천 하산 능선*

 

 

 

 

 

 

 

 

 

 

 

 

 

 

 

 

 

 

 

 

 

 

 

 

 

 

 

 

 

 

 

 

 

 

 

*산행을 진행할 헬기장 봉우리*

 

 

 

 

 

*속리산과 상주 화북면 소제지*

 

 

*오늘 걸어온 706봉. 795봉과 도장산 정상*

 

 

*도장산 정상과 지나온 724봉*

 

 

*헬기장*

 

 

*헬기장에서 심원사 방향으로 내려간다*

 

 

 

 

 

 

 

 

 

 

 

*암릉 조망터에서 보는 청화산과 시루봉 

 

 

 

 

 

 

 

 

 

 

 

 

 

 

*심원사 갈림길*

 

 

*심원사*

 

 

 

 

 

 

 

 

*심원 폭포*

 

 

 

 

 

 

 

 

 

 

 

 

 

 

 

 

 

 

 

 

 

 

 

 

 

 

 

 

 

 

 

 

*쌍용 폭포*

 

 

 

 

 

 

 

 

 

 

 

 

 

 

 

 

 

*산행을 시작했던 용추교 주차장으로 돌아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秋夕 年休의 첫날 예전부터 꼭 한 번 가봐야겠다고 맘에 두고 있던 백악산 대왕 폭포와

공주 폭포 코스를 다음 주 주말에 예정되어 있는 설악산 산행을 대비하는 훈련

차원의 산행으로 해안이 동생과 대방골을 들머리로 시작하는 백악산 코스로 산행을~*

 

                       

 

                                                   

 

 

*산행코스 : 사담리 웃대방래~전망바위~대왕봉~수안재 갈림길~덕봉(895m)~돔형 바위~백악산~돔형 바위~

807봉~수안재 삼거리~697봉~대왕 폭포~공주 폭포~대방골~중대방래* [산행거리 10.75km - 5시간 21분) ]

 

                                                                                                   

*괴산군 사담리 망개나무. (天然記捻物 제266號로 지정) 자생지인 대방골 입구*

 

                           

*지금이 송이버섯이 나는 철이라 주민들이 출입을 막고 있어. 폭포와 야생화 사진만 찍고

버섯은 채취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하고 출입 허락을 받고 대방골로 들어간다*

 

                         

*성현 농장과 인삼 밭을 지나서~* 

 

                                                        

*인삼밭을 지나 별장 같은 집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나도 송이풀*

                                                                                                        

 

*노루발 열매*

                                                                                                 

                            

*전날 까지 내린 비로 등록 주변엔 버섯들이 올라오고~*

 

                                                  

*예상은 하고 왔지만 등산객들이 거의 다니지 않는 곳이라 안내 표지판도 없고

등로도 흐릿하여 산행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능선을 따라 主 登山路를 찾아 오르는 중 조망바위에서 수안재에서 올라오는 등로의

침니 바위를 보면서 주 등산로가 주변에 있음을 직감한다* 

 

                                                 

*산부추 열매*

 

                                                                                                

*主 등산로와 합류하면서 대왕봉에 도착한다*

 

                                             

*대왕봉*

                                                 

                                                                        

*수안재 갈림길 삼거리*

 

                                                                                    

 

 

 

*바위가 많은 산이라 로프 구간도 여러 군데 있다*

                                       

 

 

 

 

*사진에 바위를 올라가면 덕봉이 있다. 대부분에 산객들은 덕봉이 있는 자체를 모르고 지나친다*

 

             

*오르기가 까다로운 바위를 올라가면~*

 

 

*덕봉*

 

 

*널찍한 바위의 덕봉 정상부*

                                                                          

 

*덕봉에서 보는 백악산 정상*

 

                                                                     

 

 

 

 

 

 

 

 

 

 

 

 

 

 

 

 

 

 

 

                                                                              

 

 

 

 

*예전엔 로프를 잡고 어럽게 올라야 했던 암릉을 계단 설치로 안전하게 오를 수 있고~* 

                         

 

*조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대왕봉*

                                                                     

 

*덕봉도 담고~*

                                                                                                                                                         

 

 

 

*통천문*

 

                                                                                               

*입석 초교 갈림길*

                                                            

 

 

                                                              

 

 

 

 

 

                                                         

 

 

 

 

 

 

 

 

 

 

 

 

 

*속리산 방향*

 

                                                                                            

 

 

 

 

 

 

 

 

 

 

 

 

 

 

 

*돔형 바위*

 

 

 

 

 

 

                                                              

 

 

 

 

 

 

 

 

 

 

*대왕봉에서 돌아본 덕봉과 백악산 정상*

 

                                                                                

 

 

 

*대왕 폭포를 향해 내려오며. 679봉에서 올려다 보는 조금 전 내려온 대왕봉*

                                                                

 

*낙영산도 당겨 찍고~*

 

                                                                                                   

 

 

 

 

 

 

 

 

 

*대왕폭포 상단*

 

                                                                  

*폭포 길이가 수십 미터는 족히 되는 폭포인데. 전날 비가 내려 내심 기대를 하고 갔는데 

비에 양이 적어 대왕 폭포란 이름과는 어울리지 않게 가는 물줄기에 실망한다*

 

                           

 

 

 

*위에서 내려다보는 공주 폭포*

 

 

*공주 폭포도 마찬가지고~*

                                                                

 

*2단 폭포로 이루어진 공주 폭포*

                                                                                                                                     

 

 

 

 

 

 

 

 

 

 

 

 

 

*오름길로 계획하고 산행을 시작했지만 등록을 놓쳐 오름길로 하산하는 결과가 나왔다*

                   

 

*소나무로 바뀌어 심어진 농장*

                                          

 

 

 

 

*대왕 폭포로 곧바로 가려면 사진의 다리를 건너서 곧바로 우측으로 난 길로 진입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