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 김정희의 知慧. 학문. 업적을 만나볼 수 있는 추사 기념관*

 

 

 

*추사 선생은 70平生에 벼루 열 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기념관 앞 추사선생의 세한도*

 

 

 

*기년관 외벽의 歲寒圖그림*

 

*선생의 추사 書體를 음. 양각한 우물 井자 모양 조형물 (조각가 정홍규作)*

 

 

 

 

 

 

 

*추사선생의 연보*

 

 

 

 

 

 

 

 

 

*靑蓮詩境 (청연시경木版)*

 

 

 

*선생의 귀양살이의 고통과 슬픔이 藝術로 승화되었다고 한다* 

 

 

 

 

 

*청련시경 木板*

 

 

 

 

 

 

 

*선생의 묘*

 

 

 

 

 

*추사의 진한 묵향이 머무는 추사故宅*

 

 

 

 

*秋史 金正喜 先生은 조선왕조 후기의 실학자이며. 대표적인 書藝家이다. 1786년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서

이조판서 김노경의 아들로 태어나. 伯父 김노영에게 入養되었다. 벼슬은 兵曹判書와 成均官 대사성을

지냈다. 또한 선생은 단순한 藝術家에 그치지 않고 사대사조의 舊文化 체계를 탈피하여 新 지식의 기수로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받아들여 新 文化 전개를 가능하게 한 실학자인 동시에 先覺者이기도 하다*

 

*고택 앞 잔디 밭 秋史先生學藝術碑 (추사선생학예술비)*

 

 

*추사古宅의 솟을대문*

 

 

*추사고택*

 

 

*사랑채*

 

 

*사랑채 댓돌 앞에 세워진 해시계 받침용으로 쓰인 石年(석년)이란 글자가 새겨진 돌기둥*

 

 

*"차를 끓이는 화로가 있는 방"이라는 뜻의 竹爐之室 (죽로지실)이라 글씨가 걸려있는 사랑채*

 

 

*无量壽*

 

 

*추사선생이 유배지에서 自身의 비통한 心情을 진지하고 절실하게 담았다는 歲寒圖 (세한도) 國寶 제180호*

 

 

*안채*

 

 

*秋史影室 (추사영실)*

 

 

*추사영정*

 

 

 

 

 

 

 

 

*예산 용궁리 白松 (천년기념물 제106호)*

 

 

 

 

 

*이 白松은 김정희가 25세 때에 靑나라 연경을 다녀오면서 가져온 씨앗을 高祖父 김흥경의 묘소 앞에 심은것으로 傳한다.

원래 밑에서부터 세 가지로 자란 아름다운 모양이었으나 두가지는 말라 죽었고 지금은 한가지만 남아 있다.

 

*백송은 어릴 때는 껍질이 담회색이었다가 40년이 지나야 큰 껍질 조각이 떨어지며

특유의 빛깔이 나타난다. 흰색을 좋아하던 朝鮮 사람들은 백송을 귀하게 여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번식이 어려워 몇 그루밖에 없는 熹貴한 나무이다.

 

 

*덕숭산. 수덕사 산행을 마치고 귀갓길에 秋史古宅 종가 유물 특별기획전이 전시되고 있는

추사기념관과 천연기념물 제106호 용궁리 白松. 화순옹주 홍문. 백송 공원등을 둘려본다*

                                    

                      

                                   

 

 

 

 

 

 

 

 

 

 

 

 

 

 

 

*추사기념관 옆의 서예. 탁본 등 체험을 할수있는 체험관*

 

                                             

 

 

 

 

 

 

 

 

 

 

 

 

 

 

 

 

 

 

 

 

 

*추사고택*

 

                                                                                              

 

 

 

 

 

 

 

 

 

*秋史 金正喜 선생 生家 고택 사랑채와 안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朝鮮 後記의 실학자이며 대표적인 서예가였던 추사 김정희의 생가인 추사고택은 

추사의 贈祖夫인 칠성 김한신이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랑채 댓돌 앞에 세워진 해시계 받침용으로 쓰인 석년 (石年)이라는 글자가 세겨진 돌기둥*

 

 

                                

 

 

*무량수*

 

 

                                                                                                     

 

 

*죽로지실 차를 끓이는 죽로(곁이 뜨겹지 않게 대나무로 감 싸만 든 화로)가 있는 방이란 뜻이라고 하며

추사 선생이 친구인 초의 (草衣) 선사에게 써준 茶室의 이름이라 한다*

 

                                                                                           

 

 

 

*유복양수 (有福量壽) 많은 복과 한없는 수면이란 뜻으로 풀이되는 글이다*

 

 

                                                 

 

 

*선생이 유배지에서 자신의 비통한 심정을 진지하고 절실하게 담았다는 세한도 (歲寒圖) (국보 제180호)*

 

      

 

 

 

 

 

 

 

 

 

*右. 대팽 두부 과감채 : 가장 맛있는 음식은 두부와 오이 생강과 나물이며~

左. 고회 부처 아녀 손 : 가장 훌륭한 모임은 아내와 남편과 아이와 손자~*

 

                                                                    

 

 

 

*만수무강 (萬壽無康)*

 

 

                                                                                     

 

 

 

 

 

 

 

 

*전형적인 사대부 형태 가옥으로 사랑채와 안채가 떨어져 있다*

                                              

 

 

 

 

*안채*

 

                                                                                                           

 

 

 

 

 

 

 

 

 

 

 

 

 

 

 

*추사영실*

 

                                                                                                  

 

 

 

*완당 영정* (김정희 선생의 호. 추사.완당.예당.등)

 

 

                                                                                                      

 

 

 

 

 

 

 

 

 

 

 

 

 

 

 

 

 

 

 

 

*석정 (石井) 이 집안 사람들이 때때로 사용했다는 우물*

 

 

                                                                   

 

 

 

 

 

 

 

 

 

 

 

 

 

 

 

 

 

 

 

 

 

 

 

 

 

 

 

 

 

 

 

 

 

 

 

 

 

 

 

 

 

 

 

 

 

 

 

 

 

 

 

 

 

 

 

 

*기념관 2층의 종가 유물 특별기획전은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어서 찍지 못하였다*

 

                                               

 

 

 

 

 

 

 

 

 

 

 

 

 

 

 

 

 

 

 

 

 

 

 

 

 

 

 

 

 

 

 

 

 

 

 

 

 

 

 

 

 

 

 

 

 

 

                                                     

 

 

 

 

*추사고택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화순옹주 홍문*

 

                                                             

 

 

 

*영조의 둘째 딸이자 추사 김정희 선생의 증조모인 화순옹주의 열녀문*

 

                                                 

 

 

 

 

 

 

 

 

 

 

 

 

 

 

 

*백송공원*

 

                                                                                                          

 

 

 

 

 

 

 

 

 

 

 

 

 

 

 

 

 

 

 

 

 

 

 

 

 

 

 

 

 

 

 

 

 

 

 

 

 

 

 

 

 

 

 

 

 

 

 

 

 

 

 

 

 

 

 

 

 

 

 

 

 

 

 

 

 

 

 

 

 

 

 

 

 

 

 

 

 

 

 

 

 

 

 

                                                     

 

 

 

*추사고택에서 6백여 미터 거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106호인 용궁리 백송*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