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령산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해발고도 1026m의 한강과 낙동강을 가르는 분수령이 되고 있는 산이다. 조령산에서 남쪽의 백화산 사이의 고개가 이화령. 북쪽의 미패봉 사이의 고개가 조령이고 그곳에 문경 서재라 불리는 조령 제3관문(조령관)이 위치한다. 이를 통해 연남 지방과 중부지방이 연결되어
교통의 요지였을 뿐 아니라. 험난 지세를 이용할 수 있어 군사상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현재 이 일대는 문경새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령산의 주능선 상에는 정상 북쪽으로 신선암봉과 치마바위봉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암봉과 암벽지대가 많으며. 능선 서편으로는 수옥폭포와 용송 골. 절골. 심기골 등 아름다운 계곡이 발달되어 있다.
*산행코스 : 절골~기도원~암릉지대~전망바위~촛대바위~헬기장~조령산~절골 갈림길~마당바위 갈림길~슬랩 구간
*이번주도 전국적으로 펴진 바이러스로 인적이 드문 곳으로 산행지를 정하여 기현님과 동행하여 다녀온다*
*선선 암봉. 조령산. 갈림길 이정표 촛대바위 방향은 묘지 뒤편이다*
*시그널이 많이 달린 쪽으로 올라간다*
*조망이 트인 곳에서 내려다본 산행 출발지인 신풍리(절골) 마을*
*암벽 훈련장*
*선바위*
*선바위가 나오면서 본격적인 암릉구간이 시작된다*
*전망바위를 내려오는 함께 산행하는 기현님*
*암릉과 암릉 사이의 협곡*
*위험한 암릉 구간이라 로프 구간이 많이 있다*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방향의 로프를 잘라 놓아서 우회하여 올라와 본 바위 뒷모습*
*조령산 정상을 찍고 이어서 산행을 진행할 신선암봉*
*전망 바위에 본 촛대바위*
*전망바위를 내려오는 직벽 로프 구간*
*촛대바위를 올라오는 로프 구간*
*촛대바위의 산악인 추모비*
*촛대바위*
*촛대바위 암릉 능선 등록에는 이러한 로프 구간 여러 군데 있다*
*이화령에서 올라오는 등로와 합류되는 지점*
*정상으로 향하는 백두대간 주능선은 1000 고지가 넘어서 전날 내린 잔설이 남아 있다*
*조령산 정상*
*기현님*
*예전과는 많이 달라진 백두대간길 나무 계단길로 말끔히 단장되어 있다*
*당겨 찍은 신선암봉*
*괴산 방향 절골. 문경 방향 마당바위 갈림길 이정표*
*신선암봉 가는 길도 나무 계단길로 바뀌었다*
*소머리 모양 바위*
*백두대간 구간 중 가장 뛰어난 풍광이 자랑거리인 조령산 백두대간 구간*
*조령산 백두대간 구간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이다*
*깃대봉으로 향하는 중간 봉인 915봉*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 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 에이르는 한반도 중심 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르며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포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 인식 체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