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님의산길여행

*합천 : 가야산. 2부* (상왕봉. 칠불봉) (2023. 02. 25) 본문

나의 산행 이야기

*합천 : 가야산. 2부* (상왕봉. 칠불봉) (2023. 02. 25)

산님~* 2023. 2. 28. 08:44

 

 

*합천 : 가야산. 만물상~칠불봉~상왕봉(牛頭山) 산행*

 

 

 

 

 

*산행코스 : 백운동 탐방소~쉼터바위~만물상 능선~상아덤~서장대~서성재~1346 암봉~칠불봉~가야산 (상왕봉)~

봉천대~마애불~토신골 탐방소~해인사~치인주차장* [ 산행거리 11. 41km - 5시간 43분 ( 운동시간 ) ]

 

 

*서성재 쉼터에서 점심식사 後 칠불봉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봄이 가까워지면서 한층 더 푸른빛을 띠고 있는 山竹* 

 

 

 

 

 

 

 

 

*오전에 걸었던 만물상 능선*

 

 

 

 

 

 

 

 

 

 

 

*1346m 암봉으로 오르는 계단길*

 

 

 

 

 

 

 

 

 

 

 

*老松과 어우러진 전망이 좋은 계단길*

 

 

 

 

 

*동성봉의 암릉*

 

 

 

 

 

 

 

 

 

 

 

*지나온 능선*

 

 

 

 

 

 

 

 

 

 

 

 

 

 

 

 

 

*정상을 오르면서 암봉에서 보는 칠불봉*

 

 

 

 

 

 

 

 

*함께 산행하는 엠투엠 회원님들*

 

 

 

 

 

 

 

 

*지나온 암봉*

 

 

 

 

 

*가야산 정상인 상왕봉*

 

 

*七佛峯은 伽倻國 김수로왕이 인도의 아유타國 공주 許黃玉과 결혼하여 10명의 왕자를 두었는데. 큰아들 居登(거등)은

王位를 계승하고. 金氏의 始祖가 되고. 둘째와 셋째는 어머니의 姓氏를 따라 許氏의 始祖가 되었고.

나머지 7명의 왕자는 허황후의 오빠 장유화상을 스승으로 모시고 가야산에서 가장 힘차고. 높게 솟은 칠불봉 밑에서

3년간 修道 後  道를 깨달아 生佛이 되었다. 하며 그 밑에 七佛庵 터가 있다는 傳說이 有來되어 이름 지어졌다*

 

 

 

 

 

 

 

 

 

 

 

 

 

 

*칠불봉에서 보는 左. 동성봉 능선. 中. 만물상 능선. 右. 그리움 릿지와 해탈봉* 

 

 

*동성봉~칠불 릿지~칠불봉으로 이어진 능선 *

 

 

 

 

 

 

 

 

 

 

 

*2015년 11월 칠불 릿지 산행 때 사진으로 추억을 소환해 본다*

 

 

 

 

 

 

 

 

*칠불봉에서 보는 상왕봉*

 

 

 

 

 

 

 

 

 

 

 

*象王峰 (상왕봉)*

 

 

*가야산의 이름은 伽倻山  外에도 牛頭山 (우두산). 雪山 (설산 ). 象王山 (상왕산). 衆香山 (중향산).

怾怛山 (기달산)여섯 가지가 있었다고 한다 "新增東國與地勝監. 券30 " 택리지에 가야산은 太白山脈과 小白山脈을

떠나 있으면서도. 그 높고 수려함과 三災가 들지 않는 영험함을 말하여. 名山으로 불렸다 한다*  

 

 

 

 

 

 

 

 

*정상에서 보는 남산 제일봉. 단지봉. 깃대봉. 방향*

 

 

*가야 19名所 牛鼻井 (우비정)*

#牛鼻井은 가야산 정상 꼭대기에 있는 샘으로 牛(소)의 콧구멍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일 년 내내 물이 마르지 않고 

우비정 內으로 들어가면 해인사 일주문 옆에 있는 영지로 연결된다는 說話가 전해진다#

 

 

*七佛峰과 동성봉. 칠불 릿지 방향*

 

 

 

 

 

*해인사 방향 하산길의 봉천대*

 

 

*정상아래 갈림길에서 해인사로 하산한다*

 

 

 

 

 

 

 

 

 

 

 

 

 

 

 

 

 

*奉天臺*

 

 

 

 

 

 

 

 

*봉천대에서 보는 조금 前 내려온 상왕봉*

 

 

 

 

 

*봉천대는 예전에는 오를 수 있었는데. 지금은 出禁 표지판을 세워 놓았다*

 

 

 

 

 

 

 

 

 

 

 

 

 

 

 

 

 

 

 

 

*봉천대 암릉*

 

 

 

 

 

 

 

 

*석조여래입상 갈림길*

 

 

 

 

 

*해인사. 石造如來立像.  寶物 제264호)*

 

 

 

 

 

 

 

 

 

 

 

 

 

 

 

 

 

*토신골 탐방지원센터로 하산 하면서 산행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