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의 사상과 정기가 서린 山. 白岳山 ( 북악산) *

 

 

 

 

*白岳山 은 1968년 1. 21 사태 이후 북악산 지역이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出入이 제한되었던 것이 白岳山

일원 전면 개방 계획에 따라 2006년 숙정문과 삼청터~촛대바위까지 2020년 11월 1일부터 청와대 뒤편 

  북악산 北측면 區間이 54년 만에 全面 開訪으로 안산에서 인왕산. 백악산과 북한산으로 이어지는 코스가 완성되었다*                     

 

*산행코스 : 인왕산 코스~ 윤동주 문학관~창의문~돌고래 쉼터~백악쉼터~백악산~1.21 사태소나무~청운대~

청운대 쉼터~만세동방~청와대 전망대~백악정~칠궁 안내소* [ 산행거리 7. 49km - 4시간 17분) ] 

 

 

*인왕산을 내려와 부암동에서 윤동주 詩人의 언덕으로 간다* 

 

 

*서울의 夜景 조망지점*

 

 

*詩人 尹東柱 零魂의 터*  #중국에 있는 詩人의 묘소의 흙을 가져다 이곳에 뿌렸다고 한다#

 

 

*서시 詩碑*

 

 

*슬픈 族屬 (족속) 詩. 1938년 9월 作.* 

 

 

*長安煙雨 (장안연우). 봄을 재촉하는 이슬비가 내리는 날에 白岳山 (北岳山) 西쪽 기슭에

올라가 서울 長安을 내려다본 全景을 그린 그림이다*

 

*詩人의 언덕에서 보는 잠시 後 산행할 백악산(북악산)*

 

 

 

 

 

*윤동주 文學館*

 

 

*文學館 내부는 촬영이 禁止되어 사진을 찍지 못하였다*

 

 

 

 

 

*최규식 경무관 동상. 1. 21 사태 당시 종로경찰서장으로 재직하면서 북한 무장공비와 총격전으로 순국* 

 

 

*정종수 경사 흉상. 1.21 사태당시 최규식 경무관 함께 순국*

 

 

 

 

 

*창의문으로 올라간다*

 

 

 

 

 

*彰義門 (창의문)*

 

 

 

 

 

*창의문을 돌아보고 북악산으로 올라간다*

 

 

*都城길을 오르며 보는 창의문*

 

 

 

 

 

*창의문 안내소*

 

 

*사진의 한양都城 성곽길은 백악산(북악산) 일원 全面 開訪 계획에 따라 2006년 4월 1일 1차적으로 개방된 코스이다*

 

 

 

 

 

*돌고래 쉼터*

 

 

*북악산을 오르며 보는 오전에 산행한 인왕산*

 

 

 

 

 

*백악마루*

 

 

*현주님*

 

 

 

 

 

 

 

 

 

 

 

 

 

 

*15발의 총탄 자국 남아있는 소나무*

 

 

 

 

 

 

 

 

*도성벽에 새겨놓은 刻字城石*

 

 

 

 

 

 

 

 

*靑雲臺*

 

 

 

 

 

 

 

 

*청운대에서 보는 백악산 (북악산) 정상*

 

 

 

 

 

 

 

 

*백악산 眺望 名所*

 

 

 

 

 

*청운대 쉼터*

 

 

*청운대 쉼터 삼거리에서 만세동방 방향으로 내려간다*

 

 

*청운대 쉼터에서 만세동방. 청와대 전망대로 내려가는 등산로는 2020년 11월 1일부터 54년 만에 開訪된 길이다*

 

 

萬世東方聖壽南極 (만세동방 성수남극) 岩刻 세겨져 있는 약수터*

 

 

 

 

 

 

 

 

 

 

 

*만세동방. 성수남극에 대한 설명 글*

 

 

*삼청쉼터. 삼청안내소 갈림길*

 

 

*백악정. 청와대 전망대 방향으로 간다*

 

 

*청와대 전망대에서 보는 청와대와 경복궁*

 

 

 

 

 

 

 

 

*백악산 出入통제 시설*

 

 

*백악정*

 

 

*백악정아래 청와대 담장*

 

 

*백악정에서 칠궁 안내소 방향으로 내려간다*

 

 

*백악정에서 보는 백악산 頂上*

 

 

 

 

 

*칠궁 안내소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王의 기운이 서린 山. 仁王山 (인왕산)*

 

 

 

 

*경복궁 左측에 자리한 仁王山은 예로부터 皇帝가 태어날 名堂이 있다는 말들이 있는 산으로. 都城 風景 가운데 한양을

대표할 아름다운 풍경은 모두 이곳 인왕산 주변을 맴돌고 있다고. (東國與地備攷).(國都八泳) 기록되어 있다.

높이 338m의 山전체가 화강암으로 된 바위로 기묘한 형상의 바위들이 곳곳에 솟아 있어 조선시대부터 名山으로 알려져

왔으며. 산의 서쪽 기슭에 있는 스님이 장삼을 입은 듯한 선바위는 소원을 빌면 그 소원 이루어졌다고 한다*

 

 

*산행코스 : 무악동~인왕사~국사당~선바위~인왕산 약수터~산성 성곽길~치마바위~인왕산~기차바위~무계원~

윤동주 기념관~창의문~북악산 성곽길~북악산 (백악산)~1.21 사태 소나무~청운대~만세동방~청와대 전망대~

백악정~칠궁 안내소* [ 산행거리 7. 49km - 4시간 17분 ( 운동시간 ) ]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1번 출구 (무악동)에서 인왕산. 국사당 방향으로 산행을 시작한다*

 

 

*인왕사 일주문*

 

 

*仁王寺 안내판*

 

 

*서래암*

 

 

 

 

 

*인왕사. 朝鮮 태조의 후원으로 1397년 무학대사와 조성선사가 創建한 寺刹이지만. 지금은 전통 사찰의 모습은 보인다*

 

 

*인왕사 대웅전*

 

 

*인왕산 國師堂*

 

 

*중요민속자료 제28호 國師堂 안내문*

 

 

*선바위*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4호 禪岩 안내문*

 

 

*장삼을 입은 스님 모습과 같다고 하는 선바위*

 

 

*선바위 아래 암벽의 마애불*

 

 

*고래등 바위*

 

 

*서대문 형무소 歷史館*

 

 

 

 

 

*고래등 바위*

 

 

 

 

 

*고래등 바위에서 보는 부처바위*

 

 

*모자바위*

 

 

*남산방향*

 

 

 

 

 

*인왕산 약수터*

 

 

*약수터 위쪽 암벽의 불상*

 

 

*인왕산 국사암 부근 바위 아래에는 수많은 기도처 흔적이 남아있다*

 

 

*모자바위*

 

 

 

 

 

*한양 都城길 성곽 계단길을 걸어서 인왕산 정상방향으로 올라간다* 

 

 

 

 

 

 

 

 

*경복궁 방향*

 

 

*인왕산 정상 봉우리와 치마바위*

 

 

 

 

 

*지나온 한양도성 성곽길*

 

 

 

 

 

*城壁 屋盖石 (옥개석)*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인왕산 정상에서 보는 청와대와. 경복궁. 서울시내 방향*

 

 

*북한산과 북악산 방향*

 

 

*기차바위 뒤편으로 左측. 족두리봉~비봉~문수봉. 북한산의 主陵線*

 

 

*당겨서 찍은 북한산*

 

 

 

 

 

 

 

 

*잠시 後 산행을 이어갈 기차바위*

 

 

*奇岩*

 

 

 

 

 

*기차바위에서 보는 북악산 (백악산)과 청와대*

 

 

*기차바위 조망터에서 보는 지나온 인왕산*

 

 

 

 

 

 

 

 

 

 

 

 

 

 

 

 

 

 

 

 

 

 

 

 

 

 

*기차바위 암릉길*

 

 

*내려와 돌아본 기차바위*

 

 

*하산길 능선의 기암*

 

 

*창의문 방향 하산길 능선 주변은 지난해 4월 2일 인왕산에 산불이 발생하여 많은 소나무가 불에 타는 피해가 생겼다*

 

 

 

 

 

 

 

 

*산불이난 경계지역*

 

 

*하산길에서 보는 북악산*

 

 

*반계 윤웅렬 별장*

 

 

 

 

 

*武溪園은 安平大君 (안평대군)의 家址. 또는 武溪精舍址 (무계정사지)는 조선 세종 29년에 만들어진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 李瑢의 별장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호이다*

 

 

*武溪園

 

 

*부암동 윤동주 시인 기념관으로 하산하면서 인왕산 산행을 마친다*

 

 

 

*다섯 봉우리가 병풍처럼 펼쳐져 이름 지어진 오대산(五臺山)*    

 

 

 

 

*오대산은 1975년 11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326.348㎢이다. 해발 1.563m의 비로봉을 柱峰으로

동대산 (1.434m). 두로봉 (14.422m). 상왕봉 (141.491m). 호령봉(1.561m). 등 다섯 봉우리가 屛風처럼

늘어서 있고. 東쪽으로 떨어져 나온 老人峰 (1.338m) 아래로는 天下의 절경 소금강산이 자리하고 있으며. 西쪽에는

雪景이 아름다운 계방산이 있고. 우리나라 문수신앙의 聖地이며. 白頭大幹의 중추로 가치가 높은 山이다* 

 

 

*산행코스 : 상원탐방센터~사자암~적멸보궁~비로봉~1537봉~헬기장~상왕봉~미륵암 갈림길~소명골임도~

상원탐방센터*  [ 산행거리 12. 30km - 4시간 30분 (운동시간) ]

 

 

*오늘 오대산 산행시작 지점인 상원탐방 지원센터*

 

 

 

 

 

 

 

 

*사자암으로 올라간다*

 

 

 

 

 

 

 

 

 

*사자암 毘露殿 (비로전)*

 

 

*龍眼水 (용안수) 우물*

 

 

*寂滅寶宮 (적멸보궁) 안내판*

 

 

 

 

 

*寂滅寶宮 (寶物 제1995호)*

#적멸은 번뇌의 불꽃이 꺼져 고요한 상태 즉 열반의 경지에 이름을 말하고. 寶宮은 보배스러운

宮殿을 의미하므로 적멸보궁은 곧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시는 궁전이란 뜻이다#

 

 

 

 

 

*적멸보궁에서 보는 비로봉 방향*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적멸보궁에서 준비한 雪오리 선물세트*

 

 

 

 

 

 

 

 

*비로봉 능선에 피어있는 雪花* 

 

 

*비로봉을 오르는 등산로에는 많은 눈이 쌓여있다*

 

 

 

 

 

 

 

 

 

 

 

*상왕봉 방향의 풍경*

 

 

 

 

 

*비로봉에서 보는 응복산. 복룡산. 만월봉. 방향의 풍경*

 

 

 

 

 

*상왕봉. 두로봉방향*

 

 

 

 

 

 

 

 

 

 

 

*스마트님*

 

 

 

 

 

 

 

 

 

 

 

 

 

 

 

 

 

 

 

 

*비로봉에서 보는 발왕산 방향 풍경*

 

 

*노인봉. 동대산 방향 풍경*

 

 

 

 

 

*상왕봉. 두로봉 방향의 풍경*

 

 

*상왕봉으로 산행을 進行한다*

 

 

 

 

 

 

 

 

*1537봉 헬기장*

 

 

 

 

 

 

 

 

 

 

 

 

 

 

*상왕봉 두로봉 방향*

 

 

 

 

 

*2번째 헬기장*

 

 

*지나온 오대산 主陵線*

 

 

*당겨서 찍은 비로봉과 1537봉*

 

 

 

 

 

 

 

 

*오늘 산행 구간 중 가장 雪花가 멋지게 핀 곳이다*

 

 

 

 

 

 

 

 

 

 

 

 

 

 

*눈꽃이 터널을 이룬 곳*

 

 

 

 

 

 

 

 

*주목 군락지*

 

 

 

 

 

*枯死木 포토죤*

 

 

 

 

 

 

 

 

*상왕봉을 오르는 길*

 

 

*상왕봉에서 보는 지나온 비로봉 방향*

 

 

 

 

 

*상왕봉에도 峰字가 보이지 않을 만큼 눈이 쌓여 있어 손으로 눈을 치우고 認證을 한다*

 

 

 

 

 

 

 

 

*상왕봉 삼거리. 북대암. 두로봉 갈림길* 

 

 

*삼거리에서 상원탐방지원센터 방향으로 내려간다*

 

 

*오늘 걸었던 오대산 主陵線. 비로봉. 1.537봉. 상왕봉*

 

 

 

 

 

 

 

 

 

 

 

 

 

 

 

 

 

*북대미륵암. 두로령. 갈림길*

 

 

 

 

 

 

 

 

*북대미륵암*

 

 

 

 

 

*비로봉 방향 능선*

 

 

*관대걸이*

 

 

 

 

 

 

 

 

 

 

 

*산행을 시작했던 상원탐방지원센터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태백산맥의 宗主이자 母山인 太白山. 눈꽃 산행*

 

 

 

 

*太白山은 2016년 우리나라 22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다. 全體면적은 70.052㎢이며. 天祭壇이 영봉(1.560m)을

中心으로 북쪽에 장군봉 (1.567m). 동쪽에 문수봉(1.517m). 부쇠봉(1.546m)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태백산은

수천 간지내던 천제단과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 등 豊部한 文化資原과 野生花 군락지와 장군봉 주변의 주목

군락. 世界 最南段 열목어 서식지인 백천계곡 등 다양하하고 뛰어난 생태경관을 保有하고 있는 국립공원의 山이다*

 

 

*산행코스: 유일사매표소~태백사~유일사~주목군락~장군봉~천재단~태백산~단군비각~망경사~반재~병풍바위~

당골계곡~석장승~당골 탐방센터* [ 산행거리 9. 61km - 4시간 00분 ( 운동시간 ) ]

 

 

*태백사*

 

 

*出入통제시설*

 

 

*태백산과 유일사 유래 관한 안내판*

 

 

*유일사 부근에 오르자 눈꽃이 보이기 시작한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장군봉 아래 주목 군락*

 

 

 

 

 

 

 

 

 

 

 

*장군봉에서 보는 함백산. 매봉산 방향*

 

 

 

 

 

 

 

 

 

 

 

 

 

 

 

 

 

*라임님*

 

 

*스마트님*

 

 

 

 

 

 

 

 

 

 

 

 

 

 

*장군봉 天祭壇*

 

 

*天祭壇 내부*

 

 

*태백산 最高峰인 장군봉 (영봉)*

 

 

 

 

 

 

 

 

*장군봉 頂上에 핀 눈꽃*

 

 

 

 

 

 

 

 

 

 

 

 

 

 

 

 

 

 

 

 

 

 

 

 

 

 

 

 

 

*고사목과 문수봉*

 

 

*태백산 천제단을 오르며 보는 지나온 장군봉 풍경*

 

 

 

 

 

*천제단에서 보는 문수봉 방향*

 

 

 

 

 

*태백산 정상에 앙증 스럽게 핀 귀요미 눈꽃*  

 

 

 

 

 

*많은 산객들로 붐비는 천제단*

 

 

*태백산 정상석*

 

 

*頂上 認證 하려고 선 대기줄이 길어서 정상석 옆에서 찍은 사진*

 

 

*원래 산행 계획은 문수봉으로 갈 예정이었으나 눈꽃이 없어 오늘은 당골계곡으로 내려간다*

 

 

 

 

 

 

 

 

*만경사 방향 하산길*

 

 

 

 

 

 

 

 

 

 

 

*端宗碑閣 (단종비각)*

 

 

 

 

 

 

 

 

 

 

 

*만경사*

 

 

*만경사 大雄殿*

 

 

*三聖閣*

 

 

*龍井家 (용우물집)*

 

 

*龍井 (용우물) 안내판*

 

 

 

 

 

*만경사에서 보는 문수봉*

 

 

 

 

 

*虎食塚 (호식총) 

 

 

 

 

 

*호식총에 관한 설명*

 

 

 

 

 

 

 

 

 

 

 

*문수봉 갈림길*

 

 

 

 

 

*將軍바위*

 

 

*장군바위 정면*

 

 

 

 

 

 

 

 

 

 

 

*병풍바위*

 

 

*당골계곡*

 

 

 

 

 

 

 

 

 

 

 

*國祖檀君像*

 

 

*檀君聖殿 (단군성전)*

 

 

 

 

 

*태백산 石장승*

 

 

 

 

 

 

 

 

*登 太白山 詩碑*

 

 

 

 

 

 

 

 

*테백산 눈축제 준비가 한창인 당골 광장*

 

 

*2024년 제31회 태백산 눈축제는 2024년 1월 26(금) ~2월 04일(일)까지 10일간 개최된다*

 

 

 

 

 

 

 

 

 

 

 

*捲楊櫓 (권양로)*

 

 

 

 

 

 

 

 

*당골 탐방지원센터로 하산 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상상 너머 환상의 고원. 진안 : 雲日岩. 半日岩*

 

 

 

*雲日岩. 半日岩은 운장산 동북 명덕봉 (845.5m)과 명도봉(863m) 사이의 5km에 이르는 주자천계곡을 "운일암 반일암"

이라 한다. 지금으로부터 70여 년 前까지만 해도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 길이 없이 오가는 것은 구름(雲)

밖에 오갈 수 있고  하루 중 햇볕을 볼 수 시간이 반나절 밖에 되지 않는다 하여 雲日岩. 半日岩이라 하였다고 한다~*

 

 

*마을에서 보는 명덕봉*

 

 

*운일암 반일암이 있는 진안군 주천면 삼거공원 지질공원 안내도*

 

 

 

 

 

*운일암. 반일암의 도덕정과 구름다리 (길이 220m)*

 

 

*운일암 반일암 주자천 계곡 풍경*

 

 

 

 

 

 

 

 

*道德亭 (도덕정)*

 

 

 

 

 

 

 

 

 

 

 

 

 

 

 

 

 

*명도봉(863m)과 명덕봉(845m)을 잇는 구름다리 (220m)*

 

 

*나무사이로 보이는 承相굴. 金剛굴*

 

 

 

 

 

 

 

 

 

 

 

*명도봉 방향 구름다리 가는 무지개다리*

 

 

 

 

 

 

 

 

*무지개다리에서 보는 운일암. 반일암 구름다리*

 

 

 

 

 

*구름다리는 동절기 安全상의 이유로 23년 12월 1일~24년 2월 29일까지 通行을 금지하여 올라가 보지 못하였다*

 

 

*계곡의 둘레길*

 

 

 

 

 

 

 

 

 

 

 

 

 

 

 

 

 

*운일암. 반일암의 아름다운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구름다리는 올라가 보지 못하고 돌아온다*

 

 

 

 

 

*명덕봉에서 내려오는 길도 폐쇄되어 있다* 

 

 

*명천*

 

 

 

 

 

*주차장 운일암 반일암 관광 안내도*

 

 

 

 

 

*주차장에서 보는 명도봉 (863m)*

 

 

 

*2024年 새해 첫날 해맞이 산행. 태. 태. 망. 광. 연계산행* 

 

 

 

 

*태학산. 태화산. 만경산. 광덕산은 천안과 아산지역에 경계에 있는 산으로 천안과 아산시민들이 즐겨 찾는 산이다.

태. 태. 망. 광. 4개의 산은 460m~699m 높이로 산행 경험이 많은 산꾼들이 연계해서 산행하는 코스이다.

山의 유형은 전형적인 陸山이지만. 가파른 등산로에 돌계단이 많은 천안 아산지역의 최고봉인 광덕산 頂上을 무난히

오른다면 全國의 어느 山이든 오를 수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難이도가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태학산 휴양림~태학산 정상~태화산~넋티고개~망경산~거북바위~설화산 갈림길~마늘봉~장군바위~

광덕산~헬기장~광덕사* [ 산행거리 13.15km - 4시간 45분 ( 운동시간 ) ]

 

 

*오늘 해돋이 산행 시작 지점인 아산 태학산 휴양림*

 

 

*태학산 頂上에서 보는 甲辰年 새해 해돋이. 포근한 날씨로 雲霧를 헤집고 올라오느라 예산된 日出 시간보다 늦게 뜬다*

 

 

 

 

 

 

 

 

*태학산 (455m) 정상

 

 

*오늘 해돋이 산행 온 엠투엠 회원님들과 함께*

 

 

*태학산 정상에서 태화산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태화산 (461m) 정상*

 

 

*배방산 갈림길. 태화산 정상에서 넋티고개 방향으로 산행을 進行한다*

 

 

*아침해는 떠 올랐지만. 안개가 자욱하다* 

 

 

 

 

 

*넋티마을에서 보는 잠시 後 오를 望京山*

 

 

*당겨서 찍은 만경산 정상부*

 

 

 

 

 

*넋티고개*

 

 

*망경산*

 

 

 

 

 

*넋티고개에서 망경산을 오르는 등산로는 가파른 길에 낙엽 위에 눈까지 쌓여 있어 많이 미끄럽다* 

 

 

 

 

 

 

 

 

 

 

 

 

 

 

 

 

 

 

 

 

 

 

 

*望京山 (600.9m) 頂上*

 

 

*망경산까지 함께 온 회원들*

 

 

 

 

 

*望京山 정상에서 보는 주변의 풍경*

 

 

 

 

 

*산아래 계곡을 따라 雲霧가 깔려있어 멋진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아산지역의 설화산 방향*

 

 

*정상 주변에 핀 상고대*

 

 

 

 

 

 

 

 

 

 

 

*멋진 풍경을 보고 간식으로 에너지 보충을 한 後 廣德山으로 산행할 준비를 한다*

 

 

 

 

 

 

 

 

 

 

 

 

 

 

 

 

 

 

 

 

*만복골 갈림길*

 

 

 

 

 

*거북바위*

 

 

 

 

 

*雪華山 갈림길*

 

 

 

 

 

 

 

 

*마늘봉*

 

 

 

 

 

 

 

 

*부용묘 갈림길*

 

 

*將軍바위*

 

 

*장군바위에서 광덕사로 하산하는 갈림길*

 

 

*장군바위*

 

 

 

 

 

*장군바위에서 아산방향 강당골 갈림길*

 

 

 

 

 

 

 

 

 

 

 

 

 

 

 

 

 

*이 마당. 강당골. 갈림길*

 

 

 

 

 

 

 

 

*광덕산 (699.3m) 정상*

 

 

 

 

 

 

 

 

*廣德山 頂上에서 보는 아산시 방향 풍경*

 

 

 

 

 

*雲海가 깔려있는 雪華山 방향*

 

 

 

 

 

*정상 능선에 핀 상고대*

 

 

*광덕산 정상에서 헬기장 방향으로 하산한다*

 

 

*헬기장으로 하산하는 코스는 거리가 짧은 대신 매우 가파르다*

 

 

 

 

 

*사자바위*

 

 

*광덕사*

 

 

*광덕사 일주문을 나오면서 2024년 새해 해돋이 산행을 마친다*

 

 

*새해 해맞이 산행 뒤풀이를 마치고 오늘 함께한 회원들과 찍은 단체사진* 

 

 

 

*等級을 매길 수 없는 山. 無等山의 눈꽃* 

 

 

 

 

 

 

 

*산행코스 : 원효분소 무등산 옛길~암각바위~목교쉼터~중봉~목교쉼터~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증심계곡~

문빈정사~증심사 탐방지원 센터~증심사 지구* [ 산행거리 - 12. 25km 4시간 45분 ( 운동시간 ) ]

 

 

 

 

 

 

 

 

*立石臺 (1017m)*

 

 

 

 

 

*無等山 立石臺 주상절리 天然記念物 제465호*

 

 

 

 

 

*입석대 주상절리대는 120m 동서로 줄지어 선 40여 개의 너비 1~2m의 多角形 돌기둥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상절리대를

구성하는 岩石은 중생대 백악기 後記 (약 8.700만 년 전에 분출된 무등산 응회암이라 불리는 火山岩이라고 한다*

 

 

 

 

 

*입석대 전망대에서 보는 주상절리대*

 

 

 

 

 

*구상나무 군락*

 

 

*중봉 방향의 林道*

 

 

*午前에 올랐던 중봉*

 

 

 

 

 

*장불재에서 보는 입석대*

 

 

 

 

 

 

 

 

 

 

 

 

 

 

 

 

 

 

 

 

 

 

 

 

 

 

*장불재에서 중머리재 방향으로 하산한다*

 

 

 

 

 

*光州川 발원지*

 

 

 

 

 

 

 

 

*용추 삼거리*

 

 

 

 

 

*함께 하산하는 회원들*

 

 

 

 

 

*증심사 방향으로 하산한다*

 

 

*증심계곡*

 

 

 

 

 

*증심사 갈림길*

 

 

 

 

 

*문빈정사*

 

 

 

 

 

*大雄殿*

 

 

 

 

 

*나한전*

 

 

*鐘樓*

 

 

*極樂殿*

 

 

 

 

 

 

 

 

*무등산 증심사 지구 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수달 달콩이*

 

 

 

 

 

*주차장에서 보는 무등산*

 

*호남의 鎭山 호남정맥의 중심 無等山(무등산) 雪花*  

 

 

 

*광주. 전남의 鎭山이자 湖南正脈의 中心 산줄기로 2013년 3월. 우리나라 21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된 산으로

면적 75.425㎢이다. 해발 1.187m의 無等山은 "비할 때 없이 높고 큰 산" 또는 "等級을 매길 수 없는

고귀한 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最高峰인 천왕봉을 중심으로 서석대. 입석대. 광석대 등 수직 절리상의

岩石이 석책을 두른 듯 치솟아 장관을 이루며. 봄에는 진달래. 여름에는 참나리. 가을에는

단풍과 억새. 겨울에는 雪景 등 四季節 뚜렸한 멋진 생태 景觀과 멸종위기 野生動植物이 서식하는 산이다*

 

 

*원효분소 무등산 옛길~암각바위~목교쉼터~중봉~목교쉼터~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중심계곡~

문빈정사~증심사 탐방지원 센터~중심사 지구* [ 산행거리 12. 25km - 4시간 45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원효분소 무등산 옛길* 

 

 

 

 

 

 

 

 

 

 

 

*서석대 방향으로 오른다*

 

 

*万曆 癸巳 義兵大將 金忠壯公 鑄劒洞 (만력계사 의병대장 김충장공 주검동) 이라 세겨진 岩刻*

 

 

 

 

 

 

 

 

 

 

 

 

 

 

*목교 안전쉼터*

 

 

*목교 안전 쉼터에서 보는 중봉방향*

 

 

*목교에서 중봉으로 내려가는 등산로는 눈꽃 터널을 이루고 있다*

 

 

 

 

 

*軍部隊가 있었던 중봉. 이전 後 復原된 中峰의 모습* 

 

 

 

 

 

 

 

 

 

 

 

 

 

 

*중봉을 오르며 보는 무등산 頂上은 새 하얀 눈꽃이 피어 있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현주님은 後尾에서 산행하고 있어서 중봉에 오지 못하여 사진이 없다*

 

 

 

 

 

 

 

 

 

 

 

 

 

 

*중봉 인증을 하고 서석대를 오르면서 조망바위에서 보는 中峰*

 

 

*풍암제 방향 풍경*

 

 

 

 

 

*라임님*

 

 

*스마트님*

 

 

*무등산 정상방향*

 

 

 

 

 

 

 

 

*瑞石臺 (서석대)는 立石臺 (입석대)와 함께 天然企念物 제465호 지정된 무등산 주상절리대의

일부로서. 1~2m 너비의 돌기둥들이 屛風 (병풍)처럼 늘어서 있다*

 

 

*엠투엠 회원님들*

 

 

 

 

 

*서석대 주상절리 사면의 모습*

 

 

*서석대에서 보는 장불재 방향*

 

 

 

 

 

 

 

 

 

 

 

 

 

 

 

*무등산 頂上 천왕봉*

 

 

*무등산 정상의 전체 풍경*

 

 

 

 

 

 

 

 

 

 

 

 

 

 

 

 

 

 

 

 

 

 

 

 

 

 

 

 

 

 

 

 

 

 

 

 

 

 

 

 

 

*昇天岩

 

 

 

 

 

*승천암 有來에 관한 안내판*

# 산행기록 트랙은 산길샘 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정확한 산행거리는 기록하지 못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