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도 서라벌 慶州의 보물산 국립공원 金鰲山*

 

 

 

*경주의 南山은 경주의 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新羅人들의 신앙의 대상이 되어 山 자체가 寶物로 가득한 보물산이다.

金鰲山과 高位峰 (남산)의 두 봉우리에서 흘려내리는 40여 개의 溪谷과 산줄기들로 이루어진 남산은

南北 약 8km 東西로 약 4km 크기의 타원형 地形의 모습을 취하고 있고 100여 곳의 절터와. 80구의 石佛 60여 기의

石塔등의 文化 유적과 奇岩怪石들이 만물상을 이루는 自然 景觀과 함께 천년의 신비를 간직한 山이다* 

 

*산행코스 : 삼릉탐방지원센터~삼릉~상선암~바둑바위~금오봉~삼화령~연화대좌~이영재~삼층석탑~칠불암~

고위봉~이무기능선~용장지킴터* {산행거리 11. 24km - 4시간 31분 ( 운동시간 ) ]

 

 

 

 

*경주 남산 保護碑*

 

 

*경주남산 소개글판*

 

 

 

 

 

*삼릉 탐방지원센터를 지나서~*

 

 

*삼릉 소나무 숲*

 

  

 

 

 

*三陵*

 

 

 

 

 

*삼릉계 塔材및石材*

 

 

 

 

 

*佛頭 결실 석조여래상*

 

 

 

 

 

*무속 행위를 하던 석굴 제단*

 

 

*線刻 六尊佛 (선각육존불)*

 

 

 

 

 

*문화재가 위치했던 자리 안내판*

 

 

 

 

 

*석탑이 위치했던 자리*

 

 

 

 

 

*경주 남산 三陵溪 석조여래상*

 

 

 

 

 

*석조여래상 뒤편의 석굴 祭壇*

 

 

 

 

 

*상선암*

 

 

 

 

 

*상선암에서 보는 雪景*

 

 

*상선암 뒤편 선각보살입상*

 

 

 

 

 

 

 

 

*제9 사지 마애여래상이 새겨진 바위*

 

 

 

 

 

*조망터에서 보는 선도산과 포석정 방향 풍경*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바둑바위 조망터에서 보는 풍경*

 

 

 

 

 

 

 

 

*좌측 단석산. 우측 선도산 방향의 풍경*

 

 

 

 

 

*눈이 내리지 않는 경주 11년 만에 많은 눈이 내려 경주 남산이 하얗게 분칠을 한 풍경이 너무 아름답다*

 

 

 

 

 

 

 

 

 

 

 

*마애석가여래좌상*

 

 

 

 

 

 

 

 

 

 

 

*스마트님*

 

 

 

 

 

 

 

 

 

 

 

 

 

 

 

 

 

 

 

 

 

 

 

 

 

 

 

 

 

 

 

 

 

 

 

 

 

 

 

 

 

 

 

 

 

 

 

 

 

 

 

 

 

 

*오늘 함께 산행하는 mtom 회원들*

 

 

 

 

 

 

 

 

 

 

 

*금오산 정상에서 고위봉 방향으로 내려온 포석정 갈림길* 

 

 

*용장사 터 갈림길 삼거리에서 이영재 방향으로~*

 

 

 

 

 

*고위봉 전망터*

 

 

*고위봉과 태봉능선*

 

 

*사진의 갈림길에서 左측으로 蓮花臺座 (연화대좌)를 보려 올라간다*

 

 

 

 

 

 

 

 

*경주 남산은 노천 박물관이라 불릴 만큼 산 곳곳에 문화 유적들이 있다* 

 

 

*蓮花臺座는 自然石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불상 받침석이라 보면 된다*

 

 

 

 

 

 

 

 

 

 

 

*사진의 갈림길에서 연화대곡 제3 寺址 보려 간다*

 

 

*제3 사지 터*

 

 

*경주 남산의 금오산. 고위봉 산행과 문화 탐방은 2부에서 계속되다*

 

 

 

*도봉산 : 원도봉~포대능선~Y계곡~신선대* 

 

 

 

*道峰山은 北漢山과 더불어 서울의 名山으로 알려진 山으로 화강암의 우람한 奇岩怪石들로 그 景觀이 수려하다.

最高峰인 紫雲峰 (자운봉)과 萬丈峰 (만장봉). 仙人峰 (선인봉)등 세 峰이 도봉산을 대표하는 봉우리들이다*

 

 

*산행코스 : 원도봉탐방센터~원도봉계곡~망월사~사패산 갈림길~포대능선~포대정상~Y계곡~신선대~

마당바위~천축사~광륜사~도봉산탐방지원센터* [ 산행거리 8.74km - 4시간 55분 ( 운동시간 ) ]

 

 

*포대능선 頂上에서 보는 도봉산 정상부*

 

 

*심원사에서 올라오는 도봉산 다락능선*

 

 

*포대정산에서 보는 사패산과 포대능선*

 

 

*포대 정상 봉우리*

 

 

*Y계곡은 주말. 공휴일에는 포대능선 방향에서 進入이 가능하다*

 

 

*Y계곡의 巨大 岩峰*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내려온 Y계곡 바위길*

 

 

*올라가야 할 Y계곡 바위길*

 

 

 

 

 

 

 

 

*내려온 Y계곡*

 

 

*현주님과 라임님*

 

 

 

 

 

*Y계곡 암봉과 매바위*

 

 

 

 

 

 

 

 

 

 

 

*지나온 포대능선 정상과 사패산*

 

 

 

 

 

 

 

 

 

 

 

*자운봉과 신선대*

 

 

*칼바위~오봉으로 이어진 도봉산 주능선*

 

 

 

 

 

*포대 정상*

 

 

 

 

 

*신선대로 오르는 바위길*

 

 

*신선대에서 보는 자운봉과 만장봉*

 

 

*도봉산 主峰인 紫雲峰 (자운봉)*

 

 

*신선대 정상*

 

 

 

 

 

*신선대에서 보는 칼바위. 우이암. 오봉으로 이어진 암능선*

 

*당겨서 찍은 칼바위 암릉*

 

 

*萬丈峰*

 

 

 

 

 

당겨서 찍은 자운봉*

 

 

 

 

 

*당겨서 찍은 만장봉*

 

 

*조망 바위에서 보는 도봉산 정상부*

 

 

*좌측부터 에덴동산봉. 신선대.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마당 바위*

 

 

 

 

 

*天築寺*

 

 

 

 

 

*천축사에서 보는 仙人峰*

 

 

*당겨서 찍은 仙人峰*

 

 

 

 

 

*仙人峰 PHOTO POINT*

 

 

*우이암 갈림길*

 

 

*도봉산 탐방지원센터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원도봉~포대능선~Y계곡~신선대~도봉산*

 

 

 

*道峰山은 740.2m의 산으로 주봉은 紫雲峰이며.북한산 國立公園의 일부로 산 전체가 하나의 巨大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節理와 풍화 작용으로 벗겨진 봉우리들이 연이여 솟아 奇岩 절벽을 이루고 있다. 주봉인

자운봉에서 南쪽으로 萬丈峰. 仙人峰이 있고 西쪽으로 오봉이 있으며. 牛耳嶺를 경계로 北漢山과 접하고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원도봉탐방센터~원도봉 계곡~망월사~사패산 갈림길~포대능선~포대정상~Y계곡~도봉산 정상~

마당바위~천축사~광륜사~도봉산 탐방센터* [ 산행거리 8. 74km - 4시간 55분 ( 운동시간 ) ]

 

 

*전철 1호선 망월사역 4번 출구에서 원도봉 등산로~*  

 

 

*원각사를 지나고~*

 

 

*원도봉 탐방지원 센터에서 망월사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원도봉 계곡 폭포*

 

 

 

 

 

 

 

 

*奇岩*

 

 

*衆生橋 표지석*

 

 

 

 

 

*山岳人 엄홍길 대장이 살았던 집 터*

 

 

*엄홍길 대장 3살 때부터 40세 까지 살았던 집 터라고 한다*

 

 

*원도봉 계곡 끝자락에서 망월사. 포대능선 방향으로 올라간다*

 

 

 

 

 

*두꺼비 바위*

 

 

 

 

 

*安國 岩刻 바위*

 

 

*觀世音普薩 (관세음보살)이라 암각과 흐릿하게 보이는 여러 글자의 세겨진 바위*

 

 

 

 

 

*원도봉 계곡길에는 佛敎에 관계된 글자가 바위에 많이 세겨져 있다*

 

 

*원도봉 계곡 폭포*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나무아미타불 암각 바위*

 

 

*민초샘 갈림길에서 망월사. 포대능선 방향으로~*

 

 

 

 

 

 

 

 

 

 

 

*望月寺 無爲堂 (무위당)*

 

 

*망월사 범종각*

 

 

*望月寺 洛伽寶殿 (낙가보전)*

 

 

 

 

 

*망월사의 풍경*

 

 

*망월사에서 보는 포대정상과 도봉산*

 

 

*망월사를 지나 포대능선으로 오르는 응달에는 많은 눈이 쌓여있다*

 

 

 

 

 

 

 

 

 

 

 

 

 

 

*낙타머리 바위*

 

 

 

 

 

*포대능선 사패산 갈림길*

 

 

*포대능선 산불감시 초소*

 

 

*돼지머리 바위인데 하트모양으로 보인다*

 

 

 

 

 

 

 

 

 

 

 

 

 

 

 

 

 

*조망터에서 보는 포대능선*

 

 

 

 

 

 

 

 

 

 

 

*코바위*

 

 

 

 

 

 

 

 

 

 

 

 

 

 

 

 

 

 

 

 

*조망터 바위*

 

 

 

 

 

 

 

 

 

 

 

 

 

 

 

 

 

 

 

 

*전망 바위에서 보는 포대능선의 암릉*

 

 

 

 

 

 

 

 

 

 

 

*동물머리 모양의 기암*

 

 

 

 

 

 

 

 

*지나온 포대능선*

 

 

 

 

 

*당겨서 찍은 사패산*

 

 

*포대 정상에서 보는 자운봉과 만장봉. 선인봉*

 

 

*심원사에서 포대정상을 오르는 다락능선*

 

 

 

 

 

*포대정상에서 보는 지나온 포대능선과 사패산*

 

 

*도봉산 산행기는 2부에서 계속된다*

 

 

 

*文化와 힐링의 문경 오미자 (五味子) 테마 터널*

 

 

 

*문경 五味子 테마터널은 1956년 건설되어 現在 운행이 중단된 문경선의 점촌. 區間에 위치한 석현터널(길이 540m)로.

이곳에 지역 特産物 홍보 판매장과 文化공간을 조성하여 지역 생산물의 소비增大와 석탄 등을 실어 나르던

문경 철로를 새로운 지역 경제 활성화 자원으로 창조하고. 아름다운 景觀인 진남교반. 고모산성. 토끼비리를 휴식과

   힐링 공간으로 最的의 관광 名所로 개발하기 위한 차원에서 조성한 장소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는 곳이다*    

 

 

*매표소 입장요금은 사진에 보이는 것과 동일하다*

 

 

*테마 터널입구*

 

 

 

 

 

*오미자 터널 테마 줄거리 안내도*

 

 

 

 

 

 

 

 

*文化가 있는 오미자 테마터널 부근의 다양한 힐링공간 소개판* 

 

 

 

 

 

 

 

 

*오미자 넝쿨*

 

 

*빛의 터널*

 

 

 

 

 

*오미자 열매 조명과 조형물*

 

 

*순간. 순간적으로 빛의 색갈이 바뀌는 조명*

 

 

 

 

 

*오미자 꽃*

 

 

*오미자 열매*

 

 

*수확하기 직전의 오미자 열매*

 

 

*오미자 홍보 및 판매장*

 

 

*카페. 와인바*

 

 

 

 

 

*갤러리 구산*

 

 

 

 

 

 

 

 

 

 

 

 

 

 

 

 

 

*방문 쪽지* 

 

 

 

 

 

*포토존. 뒤편 배경 그림은 문경의 명산 주흘산이다*

 

 

 

 

 

*트릭 아트존*

 

 

*꿈을 뛰워요 공간*

 

 

 

 

 

*만화 캐릭터 존*

 

 

 

 

 

 

 

 

*공룡시대 공간*

 

 

*달려라 rail*

 

 

 

 

 

 

 

 

 

 

 

*이벤트 홀*

 

 

*터널 마지막 공간인 이벤트의 영상*

 

 

*돌아 나오면서 보는 레일 조명*

 

 

 

 

 

 

 

 

 

 

 

 

 

 

 

 

 

*와인카페와 특산물 판매장에서 구입한 와인과 오미자 청*

 

 

*쿼츠 오미자 와인 수정동굴 3년간 숙성 700㎖ 3만 5천 원*

 

 

*五感滿足 (오감만족) 375㎖ 2병 세트 3만 원*

 

 

*오미자청 500㎖ 1만 6천 원*

 

 

 

 

*경북 8景 중 제1景 진남교반. 姑母山城 (고모산성)*

 

 

 

*姑母山城 (고모산성)은 三國時代 5世記 신라에서 계립령로 (鷄立嶺路:문경→충북 미륵사지)를 개설하던 시기에

北으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이다. 山城에서 北쪽을 바라보면 주흘산

이남이 한눈에 보이고. 南쪽으로는 불정지역의 外 다른 곳으론 길을 만들 수 없어 반드시 이곳을 통과해야 하는

길목에 위치하여. 임진왜란. 동학농민운동. 韓末 운강 이강년 先生의 義兵 항쟁 시 전략적 요충지였다*

 

*진남휴게소*

 

 

 

 

 

*진남휴게소 옆 주차장 진남교반 안내판*

 

 

*문경 오정산. 고모산성. 오미자 테마터널. 방문객을 위한 주차장*

 

 

*진남교반 다리의 조형물. 夜間에는 화려한 조명이 들어온다*

 

 

*2021년 야간에 이곳을 찾았을 때 찍은 사진*

 

 

 

 

 

*造形物은 고모산성 석현성을 형상화하여 설치했다고 한다*

 

 

*진남교반의 옛 철길 다리*

 

 

 

 

 

*진남교반. 고모산성. 안내도*

 

 

*오정산 등산 안내도*

 

 

*철길 위 하트모형 포토죤*

 

 

*솔밭 쉼터*

 

 

*오미자 테마 터널*

#테마 터널은 고모산성을 돌아본 후 보기로 하고 고모산성으로 올라간다# 

 

 

 

 

 

 

*오정산 등산로 갈림길*

 

 

 

 

 

*姑母山城 조형물*

 

 

 

 

 

*고모산성 성벽*

 

 

*鎭南問*

 

 

 

 

 

 

 

 

 

 

 

*운강 이강년의 한일 義兵항쟁과 고모산성에 관한 소개글판*

 

 

 

 

 

 

 

 

 

 

 

 

 

 

*주막집*

 

 

 

 

 

*성황당으로 오르는 돌고개 길*

 

 

 

 

 

 

 

 

 

 

 

*城隍堂*

 

 

*성황당에서 보는 주흘산*

 

 

 

 

 

 

 

 

*산성을 오르며 내려다보는 진남문*

 

 

*진남교반* 

#진남교반은 기암괴석과 깎아지른 듯한 층암절벽이 이어지고 江 위로 鐵橋. 舊橋. 新橋. 등 3개의 교량이 나란히

놓여 있어 自然과 人功의 조화를 이루며. 이 절경으로 경북팔경 중 제1景으로 꼽히는 곳이다# 

 

 

 

 

 

*고모산성 남문*

 

 

 

 

 

*성안에서 보는 남문*

 

 

 

 

 

 

 

 

*성벽 조망대에서 보는 오정산*

 

 

 

 

 

 

 

 

*산성 정상에서 보는 진남교반*

 

 

*당겨서 찍은 진남교반*

 

 

*오정산 정상방향*

 

 

 

 

 

*당겨서 찍은 삼태극 전망대 봉우리*

 

 

 

 

 

 

 

 

*산성 성벽 밖에서 보는 고모산성과 오정산 풍경*

 

 

 

 

 

 

 

 

 

 

 

 

 

 

 

 

 

 

 

 

 

*山이 넓고 커서 백성을 감싸 준다는 方丈山*

 

 

 

*方丈山은 장성과 고창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지리산. 무등산과 함께 湖南의 三伸山으로 추앙받아 왔다. 4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방장산은 中國 삼신산의 하나에서 빌려온 이름으로 " 산이 넓고 커서 백성을 감싸준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方登山. 또는 半登山으로 불렸다. 반등산은 산이 높고 장엄해서 절반 밖에 오르지 못한다는 의미다.

朝鮮 인조 때 명나라를 숭상하는 조선의 사대부들이 중국의 삼신산을 닮았다 하여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   

 

 

*산행코스 : 장성갈재~헬기장~쓰리봉~서대봉~연자봉~봉수대~방장산~고창고개~방장산 휴양림~양고살재*

[ 산행거리 7. 86km - 4시간 24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 지점인 장성갈재 통일공원*

 

 

 

 

 

*방장산 휴양림 갈림길에서 쓰리봉 방향으로 오른다*

 

 

*쓰리봉으로 오르며 보는 장성 입암산 방향*

 

 

 

 

 

 

 

 

*겨울철 눈꽃으로 유명한 산이지만 때를 못 맞추어 그늘진 곳에만 눈이 남아있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쓰리봉 정상에서 보는 산행을 進行할 방장산 頂上방향*

 

 

*기맥 능선은 날카로운 바위길이 연속으로 이어져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조망바위*

 

 

 

 

 

*서대봉* 

 

 

*서대봉 (675.9m)*

 

 

 

 

 

 

 

 

*서대봉에서 보는 산행을 이어 갈 봉수대와 방장산 방향 풍경*

 

 

*앞에서 산행을 하던 스마트와 라임님을 이곳에서 만난다. 라임과 현주님*

 

 

 

 

 

*스마트님*

 

 

 

 

 

 

 

 

 

 

 

*이곳이 서대봉이란 표식이 잇다*

 

 

 

 

 

 

 

 

*잠시 후 오를 연좌봉과 봉수대 방향*

 

 

 

*연좌봉 (685m) 표식이 있는 봉우리*

 

 

*지나온 서대봉과 쓰리봉*

 

 

*봉수대에서 쓰리봉을 배경으로~*

 

 

 

 

 

 

 

 

 

 

 

 

 

 

 

 

 

*봉수대에서 보는 방장산 정상*

 

 

 

 

 

*지나온 봉수대*

 

 

 

 

 

 

 

 

 

 

 

 

 

 

*방장산 정상을 오르며 보는 쓰리봉과 봉수대*

 

 

*방장산 정상*

 

 

 

 

 

 

 

 

 

 

 

*억새봉 방향*

 

  

 

 

 

*문바위재*

 

 

 

 

 

*고창고개에서 휴양림으로 하산한다*

 

 

*휴양림 삼나무 숲길*

 

 

 

 

 

*휴양림에서 방장산으로 오르는 길*

 

 

 

 

 

 

 

 

*양고살재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白頭大幹 중심부 德裕陵線의 最南端 남덕유산*

 

 

 

*白頭大幹의 중심부에 위치한 德裕山 은 1975년 10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다. 全羅北道 무주군과 장수군.

慶南 거창군과 함양군 등 嶺湖南을 아우르는 4개 郡에 걸쳐 있으며. 총 229.43㎢ 면적이 공원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東쪽의 가야산. 西쪽의 내장산. 南쪽의 지리산. 北쪽의 계룡산. 속리산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南쪽에 있는 덕유산인 뜻인 南 德裕山은 덕유陵陵 最南端 위치한 덕유산 국립공원에 속해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영각사~남덕유 탐방지원센터~목교~영각재~조망봉우리~남덕유산~삿갓봉 갈림길~안부~서봉~

암릉구간~육십령 갈림길~쑥뚝골~영각사 주차장* [ 산행거리 10. 45km - 5시간 20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의 시작 지점인 영각사*

 

 

*영각탐방지원센터*

 

 

 

 

 

*영각재를 오르는 계단길*

 

 

*영각재*

 

 

*능선에 오르자 눈꽃이 보이기 시작한다*

 

 

 

 

 

 

 

 

 

 

 

 

 

 

*능선을 오르면서 보는 삿갓봉 방향*

 

 

 

 

 

 

 

 

*오늘 함께 산행하는 mtom 임원님들*

 

 

 

 

 

*첫 번째 岩峰과 두 번째 岩峰*

 

 

*육십령과 할미봉 방향 풍경*

 

 

*암봉에 오르자 장수군 방향에서 안개가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몰려왔다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잠시 後 오를 두 번째 岩峰*

 

 

*左측부터. 늘 푸른 나무님. 한비치님. 아로미 님*

 

 

*바람이 부는 추운 날씨지만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해 안개가 사라진 순간에 사진을 담는다*

 

 

 

 

 

 

 

 

 

 

 

*두 번째 암봉에서 보는 지나온 첫 번째 암봉*

 

 

 

 

 

 

 

 

 

 

 

 

 

 

*잠시 후 오를 남덕유산 頂上*

 

 

 

 

 

*지나온 두 암봉*

 

 

 

 

 

*남덕유산 정상을 오르는 길*

 

 

 

 

 

 

 

 

 

 

 

 

 

 

 

 

 

 

 

 

 

 

 

*서봉 (장수 덕유산) 정상*

 

 

 

 

 

*덕유산 西峰은 행정구역 상 장수군 계북면에 속해 있으며 南德裕山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西峰으로 부른다.

서봉은 백두대간이 지나는 길에 우뚝 솟은 봉우리로 오랜 전부터 장수 덕유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금 前 내려온 西峰 정상*

 

 

 

 

 

 

 

 

 

 

 

 

 

 

 

 

 

 

 

 

 

 

 

 

 

 

*전망바위에서 보는 左측 서봉과 右측 남덕유산*

 

 

*당겨서 찍은 남덕유산*

 

 

 

 

 

*육십령. 할미봉. 갈림길*

 

 

*쑥뚝골 계곡*

 

 

 

 

 

*쑥뚝골 농가*

 

 

*쑥뚝골 마을에서 보는 남덕유산 능선*

 

 

 

 

 

*영각사 주차장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白頭大幹 마루금. 대관령. 선자령. 풍차길*

 

 

 

*仙子嶺은 白頭大幹 中心部에 위치한 봉우리(1157m)로 北쪽으로는 오대산의 노인봉. 南쪽으로는 능경봉과 연결되는

登山路이며. 선자령을 중심으로 펼쳐진 능선부는 완만한 地形으로 트레킹 코스처럼 평탄한 구간으로

  능선과 정상에서는 강릉시내와 푸른 동해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 좋은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관령. 선자령

구간은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이자 국민적 휴양지로 연간 수십 만 명이 방문하는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산행코스 : 대관령 휴게소~kt중계소~전망대~새봉~선자령~하늘목장~샘터~재궁골삼거리~풍해조림지~

양떼목장~대관령* [ 산행거리 12. 41km - 4시간 00분 ( 운동시간 ) ]

 

 

*대관령휴게소*

 

 

*선자령 등산로 안내판*

 

 

*대관령 國師 城隍堂*

 

 

 

 

 

 

 

 

 

 

 

 

 

 

 

 

 

*고루포기산. 능경봉과 스키장이 있는 발왕산 풍경*

 

 

 

 

 

 

 

 

*바람길을 따라 핀 눈꽃*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조망터에서 풍경을 담고~~*

 

 

*조망터에서 보는 kt 송신소와 멀리 고루포기산. 능경봉. 발왕산*

 

 

 

 

 

*새봉 전망대*

 

 

*전망대에서 보는 강릉 시가지와 동해바다 방향*

 

 

 

 

 

 

 

 

 

 

 

*선자령 풍차길은 코스구간 이름이 있다*

 

 

 

 

 

 

 

 

 

 

 

*추운 날씨에도 비박을 하는 사람들이 있네요*

 

 

 

 

 

 

 

 

 

 

 

 

 

 

 

 

 

 

 

 

 

 

 

*선자령 바람의 언덕*

 

 

 

 

 

 

 

 

*허리까지 눈이 쌓여있는 풍차길 능선*

 

 

 

 

 

 

 

 

 

 

 

*선자령 정상으로 오르는 길*

 

 

*정상 오름길에서 돌아본 바람의 언덕 풍경*

 

 

 

 

*仙子嶺은 옛날 大關嶺에 길이 나기 前 영동 지역으로 가기 위해 나그네들은 선자령으로 넘나들었다. 선자령 계곡이

아름다워 仙女들이 아들을 데리고 와서 목욕을 하고 놀다. 하늘로 올라간 데서 선자령이란 명칭이 유래되었다*

 

 

 

 

 

 

 

 

 

 

 

 

 

 

 

 

 

 

 

 

 

 

 

 

 

 

 

 

 

 

 

 

 

 

 

 

 

 

 

 

 

 

 

 

*하늘목장 언덕에서 보는 오전에 걸었던 건너편 선자령 바람의 언덕 풍차길*

 

 

 

 

 

 

 

 

 

 

 

 

 

 

 

 

 

 

 

 

 

 

 

 

 

 

 

 

 

 

 

 

 

 

 

*재궁골 삼거리*

 

 

*재궁골 삼거리에서 風害 조림지 방향으로 올라간다*

 

 

*대관령 영웅의 숲*

 

 

*풍해조림지*

 

 

*양때목장*

 

 

 

 

 

 

 

 

 

 

 

 

 

 

 

 

 

 

 

 

 

 

 

 

 

 

 

 

 

 

 

 

 

 

 

 

 

 

 

 

 

*대관령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