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명한 맑은 물과 흰모래. 落照의 景觀이 환상적인 금능 해수욕장 *

 

 

 

 

*제주시 한림읍에 위치한 금능해수욕장은 인기 名所인 협재 해수욕장과 바로 이어져 있다. 파란 물감을 풀어놓은 것 같은

바닷물과 흰모래가 길게 이어진 백사장. 落照의 景觀이 환상적인 곳이다. 앞바다에는 비양도가 있고 얕고

새파란 바닷물 밑으로 비치는 새하얀 모래사장은 비양도 까지 걸어서라도 갈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에 사로잡히게 한다.*

 

 

*금능 해수욕장 풍경*

 

 

*해수욕장 앞 섬 비양도*

 

 

 

 

 

*해변 캠핑장의 야자수 나무*

 

 

 

 

 

*함께 간 회원님들*

 

 

 

 

 

 

 

 

 

 

 

 

 

 

 

 

 

 

 

 

 

 

 

 

 

 

 

 

 

 

 

 

 

 

 

 

 

 

 

 

 

* 한라산 영실기암. 선작지왓. 윗세오름. 백록담 西碧* 

 

 

 

 

 

*산행코스 : 영실 탐방지원센터~병풍바위~오백장군 전망대~족은오름~선작지왓~윗세오름~한라산 서벽 ( 원점회귀 ) *

[ 산행거리 9. 24 km - 3시간 41분 ( 운동시간 ) ]

 

 

*전망대로 오르는 계단길*

 

 

 

 

 

 

 

 

*전망대로 올라간다*

 

 

 

 

 

*전망대에서 보는 주변의 풍경*

 

 

 

 

 

*병풍바위 방향 윗세오름으로 올라오는 방향*

 

 

*장구목 오름. 민대가리동산 너머로 보이는 암릉은 고상돈 케언이다* 

 

 

*현주님*

 

 

 

 

 

 

 

 

 

 

 

 

 

 

 

 

 

 

 

 

*사제비동산*

 

 

*볼레오름. 어스렁 오름 방향*

 

 

*어스렁 오름과 사재비동산 방향* 

 

 

 

 

 

*백록담 서벽과 左. 장구목 오름. 右. 방아오름 방향*

 

 

 

 

 

 

 

 

*전망대 아래 선작지왓과 雲海*

 

 

 

 

 

 

 

 

 

 

 

 

 

 

*조금 前 내려온 윗세족은 오름*

 

 

 

 

 

 

 

 

 

 

 

 

 

 

*구상나무 군락지*

 

 

 

 

 

*볼레오름과 모슬포항 방향의 풍경*

 

 

 

 

 

*이른시간 산횅을 시작하면서 제되로 보지 못했던 풍경들을 담으면서 하산을 한다* 

 

 

 

 

 

 

 

 

 

 

 

*오름풍경과 병풍바위*

 

 

 

 

 

 

 

 

 

 

 

 

 

 

 

 

 

 

 

 

 

 

 

 

 

 

 

 

 

 

 

 

 

 

 

 

 

 

 

 

 

 

 

 

 

 

 

 

 

 

 

 

 

*당겨서 찍은 볼레오름과 어스렁 오름*

 

 

 

 

 

 

 

 

*천연기념물 제182호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영실기암*

 

# 설문대할망 (제주도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女神) 에게 오백 명의 아들이 있엇는데 이들에게 죽을 먹이기 위해 큰 가마솥에 죽을

끓이다가 실수로 설문대할망이 솥에 빠져 죽었다. 외출 후 돌아온 아들들은 여느 때보다 맛잇게 죽을 먹었다.

마지막으로 귀가한 막내가 죽을 뜨다가 솥바닥에서 뼈다귀를 발견하고. 어머니가 보이지 않는 이유를 알게되고. 어머니의 고기를

먹은 형들과 같이 살 수 없다 하여 서귀포 삼매봉앞 바다로 가서 슬피 울다 외돌귀가 되었고. 나머지 499명의 兄弟가

    한라산으로 올라가 돌이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그래서 靈室奇岩을 "오백장군" 또는 오백나한으로 이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병풍바위 (靈室奇岩)*

 

 

 

 

 

 

 

 

 

 

 

 

 

 

 

 

 

 

 

 

 

 

 

 

 

 

*병풍바위*

 

 

 

 

 

 

 

 

 

 

 

 

 

 

 

 

 

 

 

 

*하산하여 주차장에서 보는 영실기암* 

 

 

 

 

 

*영실 탐방지원센터 원점회귀 하면서 산행을 종료한다*

 

 

 

* 神의 정원이라 불리는 제주 한라산. 영실기암 *

 

 

 

*한라산 白鹿潭 서남쪽 해발 1600여 m의 위치에서 아래로 약 250여 m의 수직 岩壁이 形成되어 있는데. 암벽을 구성하는 기암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곳이 靈室奇岩이다. 영실기암은 한라산을 대표하는 경승지로서 瀛州(영주) 12경 중 제9景에

해당하며. 春花. 綠陰. 단풍. 雪景. 등 四季節 내내 아름다운 모습과 울창한 樹林이 어울려 빼어난 경치를 보여주는 명승지이다.

영실에서 내려다보는 산방산 일대는 마치 神仙이 되어 세상을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풍광을 보여주고 있는 곳이다* 

 

* 산행코스 : 영실 탐방지원센터~병풍바위~오백장군 전망대~족은오름~선작지왓~윗세오름~한라산 서벽~(원점회귀) *

[ 산행거리 9. 24km - 3시간 41분 ( 운동시간 ) 

 

 

*아침 이른 시간이라 표지석만 찍고 인증은 하산 시 하기로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전망대에서 보는 오백장군*

 

 

 

 

 

 

 

 

*병풍바위를 오르며 내려다보는 오름풍경*

 

 

 

 

 

*병풍바위 아래로 조망되는 불레오름과 세 오름*

 

 

 

 

 

 

 

 

 

 

 

*윗세족 오름*

 

 

 

 

 

*윗세족음오름 전망대로 오르는 계단길*

 

 

*선작지왓*

# 선작지왓은 (대한민국 명승 91호) 해발 1600m의 평편한 관목지대이며. 제주방언으로 "돌이 있는 밭"이라는 의미이다 #

 

 

*선작지왓은 털진달래와 산철쭉 군락지로 4월~6월에 꽃이 開花하면 아름다운 景觀을 자랑한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어리목 방향*

 

 

 

 

 

 

 

 

*장구목 오름 방향*

 

 

 

 

 

 

 

 

 

 

 

 

 

 

*장구목 오름길*

 

 

 

 

 

 

 

 

*장구목 오름을 배경으로~*

 

 

 

 

 

 

 

 

 

 

 

*장구목 오름 방향*

 

 

 

 

 

 

 

 

 

 

 

*백록담 西壁*

 

 

 

 

 

*오후 일정 관계로 백록담 서벽 조망터에서 윗세오름으로 내려간다*

 

 

 

 

 

 

 

 

 

 

 

 

 

 

 

 

 

 

 

 

*엠투엠 회원님들과 함께~*

 

 

*현주님*

 

 

 

 

 

 

 

 

*윗세오름 (1700m)*

 

 

*윗세 누운 오름*

 

 

 

 

 

 

 

 

 

 

 

 

 

 

 

 

 

*윗세누운 오름 아래 노루샘*

 

 

*오름에서 눈 썰매타고 내려오는 이가 있다*

 

 

 

 

 

*잠시 後 올라 갈 윗세족음 오름 전망대*

 

#영실코스 산행기는 2부에서 계속 이어진다#

 

 

*역사의 자취가 서린 제주 한라산*

 

 

 

 

 

 

*산행코스 : 성판악 탐방지원센터~속밭쉼터~사라오름 갈림길~사라오름 전망대~진달래밭 대피소~백록담~용진각 대피소~

삼각봉 대피소~탐라계곡~관음사 탐방지원센터* [ 산행거리 19. 45km - 7시간 04분 ( 운동시간 ) ]

 

 

*관음사 코스로 내려가는 등산로*

 

 

 

 

 

 

 

 

 

 

 

 

 

 

 

 

 

*고상돈 케인과 장구목 오름방향*

 

 

 

 

 

 

 

 

 

 

 

*백록담과 북벽의 암릉*

 

 

 

 

 

 

 

 

 

                                         

 

 

 

            

*당겨서 찍은 한라산 북벽*

 

 

 

 

 

 

 

 

 

 

 

 

 

 

 

 

 

 

 

 

 

 

 

*쉼터에서 등산객들에게 음식을 얻어먹는 까마귀들*

 

 

 

 

 

 

 

 

 

 

 

 

 

 

*당겨서 찍은 고상돈 케언*

 

 

 

 

 

 

 

 

 

 

 

*용진각 대피소.  오렌지색 텐트는 적설기 산악구조 훈련팀의 베이스캠프이다* 

 

 

 

 

 

 

 

 

 

 

 

 

 

 

 

 

 

 

 

 

 

 

 

 

 

 

 

 

 

 

 

 

 

 

 

*용진각 현수교*

 

 

 

 

 

*왕관릉 방향*

 

 

 

 

 

 

 

 

*삼각봉 대피소*

 

 

 

 

 

*대피소에서 보는 삼각봉*

 

 

*삼각봉 대피소*

 

 

*금강송 군락지*

 

 

 

 

 

 

 

 

 

 

 

 

 

 

 

 

 

*겨우살이*

 

 

 

 

 

 

 

 

*겨우살이*

 

 

 

 

 

*붉은 겨우살이*

 

 

 

 

 

 

 

 

 

 

 

 

                                           

 

 

 

 

*구린굴*

#굴의 길이는 442m에 진입로의 너비는 3m 정도 되며. 천연동굴을 얼음 창고로 활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탐라계곡*

 

 

*관음사 탐방지원 센터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제주 한라산 (1950m ) *

 

 

 

*한라산은 제주도 中心部에 솟아 있는 死火山으로 제주특별자치도는 물론 대한민국이 實效 支配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山이다. 

全體的으로 楯狀火山 (순상화산)의 形狀를 뛰고 있으나. 山頂部는 鐘狀火山 (종상화산)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복합

화산체이다. 한라산 頂上에는 지름이 약 551m에 이르는 火山湖인 백록담이 있으며. 산주변에 380여 개의 側火山이 分布하고 있다.

高度에 따라 난대성. 植物과 한대성 또는 高山식물 등 多樣한 식물들이 植生帶의 변화등. 南國的인 정서를 짙게 풍겨

세계적인 관광지로서의 발전 자원을 갖추고 있어. 1970년 한라산국립공원으로.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산행코스 : 성판악~작은 속 밭~사라 오름 갈림길~사라오름호수~진달래 대피소~백록담~용진각 대피소~삼각봉 대피소~

탐라계곡 대피소~관음사*  [ 산행거리 19. 45km - 7시간 04분 ( 운동시간 ) ] 

 

 

*성판악 탄방지원 센터에서 오전 7시 산행을 시작한다*

 

 

*해발 900m 표지석*

 

 

*삼나무 군락지*

 

 

*속밭 대피소*

 

 

 

 

 

 

 

 

*나무에 눈꽃은 없지만 탐방로 안내 표지만 묻힐 만큼 많은 눈이 쌓여있다*

 

 

*사라오름 전망대 갈림길에서 사라오름으로 올라간다*

 

 

 

 

 

 

 

 

*사라오름 山頂湖水*

 

 

*사라오름 전망대*

 

 

 

 

 

*전망대에서 보는 백록담 방향*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雲霧로 가려진 제주시내 방향*

 

 

 

 

 

 

 

 

 

 

 

 

 

 

*진달래밭 대피소*

 

 

 

 

 

*구상나무 군락지*

 

 

 

 

 

 

 

 

 

 

 

 

 

 

*구상나무 故死木 지대*

 

 

 

 

 

 

 

 

 

 

 

 

 

 

 

 

 

 

 

 

 

 

 

*당겨서 찍은 흙 붉은오름*

 

 

 

 

 

 

 

 

 

 

 

 

 

 

*백록담을 오르는 계단길*

 

 

 

 

 

*정상을 오르며 내려다보는 흙 붉은오름 방향*

 

 

 

 

 

*정상에서 인증을 하려고 줄 서기를 하고 있는 등산객들*

 

 

 

 

 

 

 

 

 

 

 

 

 

 

 

 

 

 

 

 

*한라산의 白鹿潭 山頂火口로 原地形이 잘 보존되어 있어 아름다운 景觀으로 우리나라 명승 9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백록담이라는

명칭은 흰 사슴을 탄 神仙이 내려와서 물을 마셨다는 傳說에서 기인하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상에서 관음사 코스로 내려간다*

 

 

 

*多島海 자연 景觀이 수려한 완도. 상왕산 (象王山)*       

 

 

 

*莞島의 진산인 象王山 (644m)은 완도의 크고 작은 섬 200여 개를 거느리며. 蘆嶺의 마지막에 우뚝 솟은 오봉산의

中心 봉우리이다. 주변에 白雲峰 (600m). 심봉 (598m). 업진봉 (544m). 숙승봉 (461m) 있으며.

상록樹林이 가득한 길을 따라 걷는 산행의 즐거움과 頂上에서 바라보는 多島海의 멋진 風景은 天下一景인 곳이다* 

 

 

*산행코스 : 대구미 마을~오봉능선~심봉~상왕봉~하느재~가마터~백운봉~업진봉~숙승봉~원불교 수련원 주차장*

[ 산행거리 9.73km -  5시간 00분 ( 운동시간) ]

 

 

*백운봉에 오르자 갑자기 눈구름이 몰려오면서 눈이 내린다*

 

 

*白雲峰 (백운봉) 頂上*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조금 前 내려온 백운봉*

 

 

*사후도. 고금도. 방향의 풍경*

 

 

 

 

 

 

 

 

 

 

 

*율도. 남도.와 두륜산 방향의 풍경*

 

 

*업진봉 정상*

 

 

 

 

 

 

 

 

*산행을 이어갈 능선과 바다 건너 해남의 달마산 (左). 두륜산 (中). 주작산 (右).*

 

 

 

 

 

 

 

 

 

 

 

 

 

 

 

 

 

*숙승봉*

 

 

 

 

 

 

 

 

*숙승봉 정상*

 

 

 

 

 

 

 

 

 

 

 

 

 

 

*하산할 방향인 불목저수지와 불목마을*

 

 

 

 

 

*지나온 능선*

 

 

 

 

 

 

 

 

*불목리 원불교 수련원으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201개의 섬을 호령하는 완도의 지붕 상왕산 (象王山) * 

 

 

 

 

*象王山 (상왕산 644m)은 심봉. 업진봉. 숙승봉. 백운봉. 상왕봉. 다섯 개의 峰우리를 이루고 있으나. 山名 없이 그저 다섯 개의

봉우리가 있어 오봉산 또는 "상황봉"이라는 봉우리名으로 불러졌왔으나. 地名 改定을 실시하여. 象王山과 象王峰으로

改定하여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왕산은 統一  新羅時代 장보고 대사의 활발한 海上貿易 을 통해 남방 佛敎의 영향을 받은

佛山인 부처의 산으로 다섯 개 峰우리名 모두가 불교用語로 명명되어 불리고. 법화사지. 관음사지 등 불교 遺積地 또한

多數가 분포되어 있으며. 頂上에 오르면 푸른 바다에 점점이 박힌 多島海의 섬들의 멋진 풍경이 눈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곳이다*   

 

 

*산행코스 : 대구미 마을~오봉능선~심봉~상왕봉~하느재~가마터~백운봉~업진봉~숙승봉~원불교 수련장 주차장*

[ 산행거리 9. 73km - 5시간 00분 (운동시간 ) ]

 

 

*산행시작 지점인 대구미 마을*

 

 

 

 

 

*상왕산 등산로 안내도*

 

 

 

 

 

 

 

 

 

 

 

*첫 조망터에서 보는 섬 주변 풍경*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청해진 방향*

 

 

 

 

 

 

 

 

 

 

 

*산행을 진행 할 심봉. 상왕봉 방향* 

 

 

 

 

 

*밤사이 내린 눈으로 바위길 등산로는 많이 미끄럽다*

 

 

 

 

 

 

 

 

 

 

 

*대신리. 드라마 해신 촬영세트장 갈림길*

 

 

*잠시 後  올라갈 심봉이 눈앞에 다가와 있다*

 

 

 

 

 

 

 

 

 

 

 

 

 

 

*대구미 마을에서 올라온 오봉능선*

 

 

 

 

 

*엠투엠 회원님들과 함께한 인증*

 

 

 

 

 

 

 

 

 

 

 

 

 

 

*능선 너머로 덕룡산. 주작산. 흐릿하게 조망된다*  

 

 

*백운봉을 향하면서 전망 바위에서 보는 심봉*

 

 

 

 

 

*신지대교. 장보고 대교 방향*

 

 

*상왕봉으로 가는 능선*

 

 

 

 

 

 

 

 

*상왕봉 정상. 예前에는 상황봉이라 불렸으나 일제강정기 잃어버린 이름을 되찾아 상왕산으로 바뀌었다*  

 

 

 

 

 

 

 

 

*象王山  烽燧臺 (봉수대)*

 

 

*상왕봉에서 보는 신지대교. 장보고 대교. 방향의 풍경*

 

 

*청해진 방향*

 

 

*백운봉으로 산행을 이어 간다*

 

 

 

 

 

*짱둥어 바위*

 

 

 

 

 

*전망대 갈림길*

 

 

 

 

 

 

 

 

 

 

 

*조망테크에서 보는 백운봉과 덕룡산*

 

 

 

 

 

*상왕봉과 백운봉을 이어주는 흰구름 10길 고갯마루*

 

 

 

 

'

 

 

 

*전망대 아래 안내판*

 

 

*전망대에서 보는 백운봉*

 

 

 

 

 

*당겨서 찍은 백운봉*

 

 

*바다 건너로 해남의 덕룡산. 주작산. 두륜산까지 조망되는 전망대*

 

 

 

 

 

 

 

 

*가위바위*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 기묘한 형상. 龍鳳山*

 

 

 

 

 

*산행코스 : 용봉산 주차장~매표소~용봉사~병풍바위~용바위~마애불~절고개~악귀봉~노적봉~용봉산 정상~투석봉~

용봉산~노적봉~사자바위 능선~사자바위~구룡교~주차장* [ 산행거리 7. 56km - 4시간 29분 ( 운동시간 ) ]

 

 

*조금 前 내려온 노적봉*

 

 

*노적봉의 立石*

 

 

 

 

 

*엄지 척 바위*

 

 

 

 

 

 

 

 

*행운바위*

 

 

 

 

 

*솟대 바위*

 

 

 

 

 

*용봉산의 寶物이라 불리는 옆으로 크는 松*

 

 

 

 

 

 

 

 

*노적봉에서 보는 악귀봉*

 

 

 

 

 

*노적봉 전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악귀봉. 315봉 (용바위봉) 병풍바위 방향*

 

 

 

 

 

 

 

 

 

 

 

 

 

 

 

 

 

 

 

 

 

 

 

 

 

 

 

 

 

 

 

 

*정상아래 조망터 바위*

 

 

*사자바위 능선과 홍성 내포 신도시*

 

 

 

 

 

 

 

 

 

*최영장군 활터 능선*

 

 

*전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노적봉과 악귀봉. 좌측. 멀리 보이는 산은 덕숭산과 가야산이다*

 

 

 

 

 

 

 

 

*전망바위*

 

 

*최영장군 활터 갈림길*

 

 

*용봉산 정상 인증은 투석봉을 다녀와서 할 예정이다*

 

 

 

 

 

*용봉산 정상에서 보는 덕숭산. 가야산 방향*

 

 

*홍성읍과 멀리 남당항 방향*

 

 

*투석봉으로 가는 능선의 기암*

 

 

 

 

 

 

 

 

*투석봉 거북바위*

 

 

 

 

 

 

 

 

 

 

 

*투석봉에서 보는 최영장군 활터*

 

 

 

 

 

*투석봉에서 정상으로 돌아가며 보는 용봉산 정상*

 

 

 

 

 

*투석봉을 다녀오면서 정상에 들려 인증을 한다*

 

 

 

 

 

 

 

 

*용봉산 정상을 지키는 양이*

 

 

 

 

 

*최영장군 활터 갈림길*

 

 

 

 

 

 

 

 

*사자바위 능선으로 하산하기 위해 돌아온 노적봉*

 

 

*사자바위 능선의 기암*

 

 

*사자바위*

 

 

 

*사자바위*

 

 

*조금 전 내려온 노적봉*

 

 

 

 

 

*악귀봉* 

 

 

 

 

 

*사자바위의 선바위*

 

 

*얹힌바위*

 

 

 

 

 

 

 

 

 

 

 

*사자바위의 기암*

 

 

 

 

 

*사자 바위에서 보는 악귀봉*

 

 

*좌측부터 악귀봉. 315봉. 병풍바위*

 

 

 

 

 

 

 

 

*바위 전시장인 사자바위 능선에는 奇妙한 바위가 많다

 

 

 

 

 

 

 

 

 

 

 

 

 

 

 

 

 

 

 

 

 

 

 

 

 

 

 

 

 

*노적봉에서 내려온 사자바위 능선*

 

 

 

 

 

 

 

 

*怪異하게 생긴 바위*

 

 

 

 

 

 

 

 

 

 

 

 

 

 

 

 

 

 

 

 

*고인돌 모양의 바위*

 

 

*山城 터

 

 

*옛 통제구간 前의 표지석*

 

 

*出禁구간을 알리는 나무펜스*

 

 

*병풍바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