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개의 岩峰이 병풍처럼 펼쳐진 구병산 (九屛山)*  

 

 

 

*보은 九屛山 (876m)은 湖西 金剛山인 속리산에서 뚝 떨어져 나와 충북과 경북의 道界에 웅장하고. 수려한 아홉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다. 속리산의 名聲에 가려져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奇岩絶壁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산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最近 많은 등산객들이 찾고 있는 산이다. 하지만 산행 코스가 거칠고

험하여 보통의 등산인들이 산행하기에는 힘들다는 점이 단점이다. 예로부터 보은 지방에서는 속리산(俗離山)

천왕봉 (天王峰)을 지아비 山. 九屛山을 지어미 山으로 불렸다 하며. 속리산과 구병산을 잇는 43.9km 구간을 충북 보은

군청에서 1999년 5월 충북 알프스로 登錄하여 관광 상품으로 널리 홍보하고 있다*

 

 

*산행코스 : 적암마을~팔각정 쉼터~정수암 갈림길~형제봉 갈림길~신선대~824봉~절터 갈림길~853봉~

815봉~구병산~쌀난바위~숨은골~적암마을~ [산행거리 8. 22km -  5시간 20분 (운동시간) ]

 

 

*구병산 등산 안내도가 적암 마을 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적암 마을에서 보는 오늘 산행할 구병산*

 

 

 

 

 

 

 

 

 

 

 

*팔각정 옆 마을 주민들의 계곡 쉼터*

 

 

 

 

 

*정수암 절터 갈림길에서 신선대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202년 10월 구병산 산행 때 찍은 정수암지 사진이다*

 

 

 

 

 

*오름길 전망 바위에서 보는 마을 방향*

 

 

*충북 영동 지역의 산들*

 

 

*오늘 산행할 구병산 岩 능선*

 

 

 

 

 

 

 

 

 

 

 

 

 

 

*형제봉 갈림길*

 

 

 

 

 

*형제봉 갈림길에서 보는 백두대간 속리 능선*

 

 

 

 

 

 

 

 

 

 

 

*신선대 정상. 네 번째 구병산 산행이지만 신선대 방향으로 오르긴 오늘이 처음이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신선대 전망 바위*

 

 

*신선대에서 보는 白頭大幹 형제봉 방향*

 

 

 

 

 

 

 

 

 

 

 

 

 

 

 

 

 

*전망 바위 쉼터* 

 

 

 

 

 

*전망 쉼터에서 보는 잠시 後 오를 824峰*

 

 

*충북 영동지역의 산 풍경* 

 

 

 

 

 

*2012년 산행 때 사진*

 

 

 

 

 

 

 

 

 

 

 

*824봉 갈림길. 824봉으로 오르는 등로에는 위험과 등산로가 아니라는 표식이 있다*

 

 

 

 

 

*824봉. 구병산에서 조망이 가장 좋은 곳이라. 몇 번 산행 경험으로 잘 알고 있기에 올라왔다*

 

 

*산행을 이어 갈 853봉과 구병산 정상 방향*

 

 

*속리산 방향*

 

 

 

 

 

 

 

 

 

 

 

 

 

 

 

 

 

 

 

 

*절터 (정수암) 갈림길.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이곳으로. 오르고. 이곳으로 하산한다* 

 

 

 

 

 

 

 

 

 

 

 

*853봉으로 가는 암릉길.우회 하지 않고 직등 한다*

 

 

 

 

 

*로프 구간*

 

 

 

 

 

 

 

*암릉을 오르며 돌아 본 조금 前 오랐던 824봉*

 

 

 

 

 

 

 

 

*853봉으로 직등하는 암릉길은 멋진 조망과 짜릿한 스릴감은 있지만. 많이 위험하다*  

 

 

*암릉 벼랑길의 자리한 고사목*

 

 

 

 

 

*직등해야 하는 최고의 難이도 암릉길*

 

 

 

 

 

 

 

 

 

 

 

*우회길 합류 지점*

 

 

*암릉 우회길 안내판*

 

 

 

*절정에 이른 선운산 (禪雲山)의 가을단풍*  

 

 

 

 

 

*산행코스 : 하연리~청룡산~배 맨바위~낙조대~천마봉~용문굴~소리재~견치산 (개이빨산)~선운산 (수리봉)~

마이재~서상암~선운사~주차장* [ 산행거리 11. 33km - 4시간 39분 ( 운동시간 ) ] 

 

 

*수리봉 (선운산 336m) 정상*

 

 

 

 

 

*마이재 삼거리. 경수봉은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

 

 

 

 

 

*마이재에서 서상암 방향으로 하산한다*

 

 

 

 

 

 

 

 

 

 

 

 

 

 

*서상암 방향 하산길의 단풍은 절정에 이르러 있다*

 

 

 

 

 

 

 

 

 

 

 

 

 

 

 

 

 

 

 

 

 

 

 

 

 

 

 

 

 

 

 

 

 

 

 

 

 

 

 

 

 

 

 

 

 

 

 

 

 

 

*서상암 주변의 단풍*

 

 

 

 

 

 

 

 

 

 

 

*선운사 앞 도솔천의 단풍도 절정이다*

 

 

 

 

 

 

 

 

 

 

 

 

 

 

 

 

 

 

 

 

 

 

 

 

 

 

 

 

 

 

 

 

 

 

 

 

 

 

 

 

 

 

 

 

 

 

 

 

 

 

 

 

*湖南의 내금강 고창 선운산 단풍산행*

 

 

 

*禪雲山 (334.7m)은 도솔산이라고도 하나. 有名한 巨刹 선운사가 있어 선운산으로 불리고 있다. 산마루 대부분은

급격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깊은 계곡과 울창한 숲과 기암절벽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검단선사가 

절을 짓기 위해 도솔암 西쪽 용태에 살고 있는 龍을 몰아낼 때 용이 가로 놓인 바위를 뚫고 나간 구멍이라는 龍門窟과

                  미륵장륙 마애불. 등이 있으며. 특히 落照臺에서 바라보는 西海의 일몰 광경이 장관인인 곳이다*                           

 

 *산행코스: 하련지~청룡산~매 밴 바위~낙조대~천마봉~용문굴~소리재~견치산(국사봉)~소리재~선운산(수리봉)~

마이재~석상암~선운사~주차장* [ 산행거리 11. 33km - 4시간 39분 ( 운동시간 ) ]

 

 

 

 

*하연리에서 청룡산을 오르며 보는 배 맨 바위*

 

 

 

 

 

 

 

 

*능선 조망 바위에서 보는 배 맨 바위와 천마봉 방향*

 

 

 *심원면 방향*

 

 

 

 

 

 

 

 

*좌측부터 오늘 함께 산행하는 올라. 파랑요정. 무심. 현주님*

 

 

*m.t.m 회원님들*

 

 

 

 

 

 

 

 

 

 

 

 

 

 

 

 

 

 

 

 

 

 

 

 

 

 

*배 맨바위*

 

 

*낙조대와 병풍바위*

 

 

 

*屛風 바위*

 

 

 

 

 

 

 

 

 

 

 

 

 

 

 

 

 

 

 

 

*천마봉에서 보는 도솔암*

 

 

 

 

 

*당겨서 찍은 마애불*

 

 

*落照臺*

 

 

 

 

 

 

 

 

*落照臺 岩峰*

 

 

*잠시 후 산행을 이어갈 소리재 방향*

 

 

 

 

 

 

 

 

*龍門窟*

 

 

*검단선사가 절을 짓기 위해 용을 몰아낼 때 이 바위를 뚫고 지나갔다 하여 龍門窟이라고 한다*

 

 

 

 

 

 

 

 

 

 

 

 

 

 

*절정에 이른 용문굴 주변의 단풍*

 

 

 

 

 

 

 

 

 

 

 

 

 

 

 

 

 

*용문굴 상단부 단풍*

 

 

 

 

 

 

 

 

*용문굴을 돌아보고 소리재. 견치산. 방향으로 산행을 진행한다*

 

 

 

 

 

*犬齒山 (개이빨산) 방향*

 

 

 

*천안 : 독립기념관 단풍나무 숲길*

 

 

 

 

 

 

 

 

 

 

 

 

 

 

 

 

 

 

 

 

 

 

 

 

 

 

 

 

 

 

 

 

 

 

 

 

 

 

 

 

 

 

 

 

 

 

 

 

 

 

 

 

 

 

 

 

 

 

 

 

 

 

 

 

 

 

 

 

 

 

 

 

 

 

 

 

 

 

 

 

 

 

*아산 : 현충사의 가을*

 

 

 

 

*아산 顯忠祠는 壬辰倭亂 때 戰功 세우고 殉國한 이순신 장군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708年에 創建하고

이듬해 현충사라 賜額 되었다. 그 뒤 일본의 國權 침탈로 돌볼 수 없게 되어 한때 退落했으나.

1932년에 忠武公 遺積 본존회와 동아일보가 성금을 모아 中建하였으며. 光復 後 1976年 國家의 현충사 성역화

사업으로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총면적 16만 3096평에 木殿. 유물관. 古宅 활터. 홍살문. 등이 있다* 

 

 

*必死卽生 必生卽死 (필사즉생. 필생즉사) 명량해전을 앞두고 이순신 장군이 軍士들에게 했던 한 말*

 

 

*충무문*

 

 

 

 

 

 

 

 

 

 

 

 

 

 

 

 

 

 

 

 

 

 

 

 

 

 

 

 

 

 

 

 

 

 

 

 

 

 

 

 

 

 

 

 

 

 

 

 

 

 

 

 

 

 

 

 

 

 

 

 

 

 

 

 

 

 

 

 

 

 

 

 

 

 

 

 

 

 

 

 

*忠武公 古宅*

 

 

 

 

 

 

 

 

*보호수인 은행나무*

 

 

 

 

 

 

 

 

 

 

 

 

 

 

 

 

 

*顯忠祠 本殿* 

 

 

*本殿의 충무공 영정*

 

 

 

 

 

 

 

 

 

 

 

 

 

 

 

 

 

 

 

 

 

 

 

 

 

 

 

 

 

 

 

 

 

 

 

 

 

 

 

 

 

 

 

 

 

 

 

 

 

 

 

 

 

 

 

 

 

 

 

*전국 10代 아름다운 가로수길. 곡교천 은행나무길*

 

 

 

 

*곡교천 은행나무길은 全國의 아름다운 10代 "가로수길"로 選定된 충남 아산의 名所다. 현충사 입구의 곡교천에서

현충사 입구까지 2.2km 길이의 도로에 조성되어 있다. 350여 구루의 은행나무가 일제히 노란빛을 내는

            가을이면 많은 인파로 人山人海를 이룰 만큼 많은 이들이 찾아온다. 淸明한 가을 하늘을 배경으로 한 은행나무길은           

가을 정취를 만끽하고. 가을날을 추억하는 사진으로 남겨두기에 적격인 곳이라 할 수 있다*

 

 

*아산 곡교천 옆 은행나무길*

 

 

 

 

 

 

 

 

 

 

 

*은행나무길 아래에는 오래되지는 않은 듯한 水菊이 심어져 있다*

 

 

*川邊 공원에 조성되었던 百日紅 꽃밭과 은행나무*

 

 

 

 

 

 

 

 

 

 

 

 

 

 

*아산 은행나무길은 名所로 알려지면서. 이른 시간이지만 많은 인파로 북적된다*

 

 

 

 

 

 

 

 

 

 

 

 

 

 

 

 

 

 

 

 

 

 

 

*사진 속 모델은 수원 가는 길에 들른 대전 사는 친구*

 

 

 

 

 

 

 

 

 

 

*월악산 南陵의 최고봉 만수봉 (萬壽峰)*

 

 

 

 

*월악산은 白頭大幹이 소백산에서 속리산으로 連結되는 中間의 위치에 있으며. 山勢가 험준하고 奇岩 斷崖가 맹호처럼

치솟아 深山幽谷과 폭포와 沼 등이 어우러져 한껏 아름다운 景觀을 자랑하고 있는 산이다. 월악산 國立公園은

1984년 17번째 국립공원으로 指定되었다. 萬壽峰은 영봉 南쪽 위치해 있으며. 수려한 山勢와 빼어난 조망이 자랑거리다* 

 

*산행코스 : 미륵사지~하늘재~하늘샘~포암산~관음재~백두대간길~마골치~만수봉 삼거리~만수봉~용암봉~

만수계곡 갈림길~만수교~미륵사지 주차장* [ 산행거리 13. 70km - 6시간 30분 (운동시간 ) ]

 

*마골 치*

 

 

 

 

 

*만수봉으로 산행을 이어가며 보는 메밀봉. 꾀꼬리봉. 하설산 방향*

 

 

 

 

 

*헬기장*

 

 

 

 

 

 

 

 

 

 

 

*마당 바위*

 

 

 

 

 

*마당 바위에서 보는 산행을 진행할 만수봉*

 

 

*만수봉 삼거리. 이곳에서 만수 계곡으로 하산할 수 있다*

 

 

 

 

 

*덕주봉. 만수 능선. 진입구간. 出禁 철책을 쳐 놓았다*

 

 

 

 

 

 

 

 

*만수봉 정상*

 

 

 

 

 

 

 

 

 

 

 

*萬壽峰에서 보는 月岳 靈峰*

 

 

 

 

 

 

 

 

 

 

 

*덕주 능선과 만수 능선 너머 월악산 영봉* 

 

 

 

 

 

 

 

 

 

 

 

 

 

 

 

 

 

 

 

 

 

 

 

 

 

 

 

 

 

*몇 년 前부터 위험구간을 피하여 등산로를 돌려놓아서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자연스럽게 용암봉을 오르게 된다*

 

 

*전망 데크도 새로이 설치되어 있다*

 

 

 

 

 

*전망 데크에서 보는 조금 전 내려온 만수봉*

 

 

*포암산*

 

 

*오늘 포암산에서부터 마골치까지 걸었던 백두대간 능선*

 

 

 

 

 

 

 

 

*타이타닉 바위*

 

 

*예전에 만수봉으로 향하던 右側 등산로는 철책으로 막아 놓았다* 

 

 

 

 

 

 

 

 

 

 

 

 

 

 

 

 

 

 

 

 

 

 

 

 

 

 

 

 

 

*쉼터*

 

 

 

 

 

 

 

 

 

 

 

*만수계곡 갈림길*

 

 

 

 

 

 

 

 

 

 

 

*松油 추출시설*

 

 

 

 

 

 

 

 

*만수 계곡의 단풍*

 

 

 

 

 

 

 

 

 

 

 

 

 

 

 

 

 

 

 

 

 

 

 

 

 

 

*월악산 만수계곡 탐방 지원센터*

 

 

 

 

 

 

 

 

*미륵사지로 가면서 보는 박쥐봉*

 

 

*포암산 직등 봉우리*

 

 

 

 

 

 

 

 

 

 

 

 

 

 

 

 

 

*산행을 시작했던 미륵사지 주차장으로 원점 회귀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鳥領 5岳으로 손꼽히는 白頭大幹 포암산 (布巖山)* 

 

 

 

*布岩山 (962m) 은 鳥領 5岳으로 꼽히는 名山으로 인근의 월악산 (1094m). 주흘산(1108m). 조령산. 등과

조령 5악으로 월악산 國立公園 내 白頭大幹의 主陵線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늘재를 경계로 월항상봉 (탄항산)과

연결된다. 소백산을 中心部로 월악산.주흘산. 백화산과 더불어 妙한 山勢를 이루고 있다. 하늘재는 조령

관문이 뚫리기 前까지 한반도의 南北을 연결하는 중요한 交通路로서 역할이 지대했던 고개였다. 또한 포암산은 계곡과

능선 산행을 병행할 수 있는 특징과 주흘산. 월악산. 신선봉. 부봉. 북바위산. 박쥐봉등 월악산 국립공원의

주변 산들의 멋진 風景을 즐길 수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미륵사지~하늘재~하늘샘~포암산~관음재~838봉~백두대간길~마골치~만수계곡 갈림길~만수봉~

용암봉~전망테크~만수 탐방소~미륵사지 주차장* [ 산행거리 13. 70km - 6시간 30분 ( 운동시간) ]

 

 

 

 

 

 

 

 

 

 

 

 

 

*충주 미륵리 원터*

 

 

 

 

 

 

 

 

 

 

 

*미륵사 三層 石塔*

 

 

*하늘재로 올라가는 등산로*

 

 

 

 

 

 

 

 

*하늘재길 백자 가마터*

 

 

 

 

*연리목*

 

 

 

 

 

 

 

 

*연아 닮은 소나무*

 

 

 

 

 

*白頭大幹 하늘재*

 

 

 

 

 

 

 

 

*鷄立嶺 遺墟碑 ( 계립령 유허비 )*

 

 

*山神堂 (산신당)*

 

 

*하늘재에서 보는 포암산*

 

 

 

 

 

*포암산 오름길의  山城*

 

 

*하늘샘*

 

 

 

 

 

 

 

 

 

 

 

 

 

 

 

 

 

 

 

 

 

 

 

*암릉 오름길에서 보는 문경의 주흘산 방향* 

 

 

*건너편 백두대간 탄항산*

 

 

*하늘재*

 

 

 

 

 

 

 

 

 

 

 

*탄항산과 주흘산*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 현주. 올라님*

 

 

 

 

 

 

 

 

*전망터에서 보는 신선봉. 마패봉. 시루봉. 박쥐봉 방향* 

 

 

*북바위산*

 

 

*左. 부봉. 中 .시루봉. 右. 신선봉* 

 

 

 

 

 

 

 

 

 

 

 

*월악산 방향*

 

 

용암봉과 만수봉 너머로 월악산 영봉이 보인다*

 

 

 

 

 

 

 

 

 

 

 

*사진의 가운데 능선은 만수교에서 포암산으로 직등하여 오를 수 있는 능선이다*

 

 

 

 

 

*포암산 아래 만수계곡의 단풍은 절정에 이르려 있다*

 

 

 

 

 

 

 

 

 

 

 

 

 

 

*옛 포암산 정상석*

 

 

*포암산 정상에서 보는 월악산*

 

 

 

 

 

 

 

 

 

 

 

 

 

 

 

 

 

 

 

 

 

 

 

 

 

 

 

 

 

 

 

 

*관음재. 표지판 뒤편으로 만수계곡 방향으로 하산 할 수 있다*

 

 

 

 

 

 

 

 

 

 

 

 

 

 

 

 

 

 

 

 

 

 

 

 

 

 

 

 

 

 

 

*겨우살이*

 

 

 

 

 

*마골치*

 

 

*마골치에서 이어지는 白頭大幹길은 이곳에서 부터 대미산. 황장산 방향은 出入禁地 區間으로 지정되어 있다*

 

 

#마골치에서 만수봉으로 이어지는 산행기는 2부에서 계속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