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書院. 서원建築의 백미 屛山書院*

 

 

 

*屛山書院은 고려 중기부터 안동 풍산에 있던 敎育기관인 豊岳書堂 에서 비롯되으며. 지방 유림의 자제들이

공부하던 곳으로 高麗 末 공민왕 때 홍건적의 難이 일어나 왕의 행차가 풍산을 지날 무렵. 풍악서당의

儒生들이 난리 중에서도 學文에 열중하는 것을 보고 왕이 크게 감동하여 많은 書冊과 賜牌地 (사패지)를 주어

유생들을 더욱 학문에 열중하도록 격려하였다. 200년이 지나면서 서당 주변에 가호가 들어서고. 길이

생기며. 주변이 시끄러워지면서. 서당을 옮길 곳을 물색하는 중에 서애 류성룡 先生께서 父親喪을 당하시고 하회에

내려와 계실 때 그 일을 선생에게 문의하니 선생께서 屛山으로 옮기는 것이 적당할 것이라 권하게 되었고

先生의 뜻에 따라 1575년 (선조 8년) 서당을 병산으로 옮기면서 "屛山書院"이라고 이름 고쳐 부르게 되었다 한다*

 

 

*서원 입구에서 보는 전체 풍경*

 

 

*병산서원 종합 안내도*

 

 

 

 

 

 

 

 

*復禮門 (복례문)*

 

 

*晩對樓 (만대루)*

 

 

 

 

 

*光影池 (광영지)*

#광영지는 선비들이 마음을 닦고 學文에 정진할 수 있도록 배려한 "書院 속의 庭園"이며. 光影은 주자의 詩

觀書有感 (관서유감)이란 詩중에서 하늘빛과 구름이 함께 노닌다라는 구절에서 인용하였다*

 

 

*만대루에서 보는 복례문*

 

 

*晩對樓는 유식공간으로 休息과 講學의 복합 共幹으로 200 여名을 收容하고도 남을 직한 장대한 樓閣이다*

 

 

 

 

 

 

 

 

*書院 本館 건물*

 

 

*立敎堂은 講學을 위한 核心 建築物이며 원장. 서원 任員의 집무실과 儒生의 講學을 위한 대청마루가 있다*

 

 

*오늘 함께 안동 출사를 온 현주님*

 

 

*입교당에서 보는 만대루와 동직재. 屛山*

 

 

*경허재와 동직재*

 

 

*動直齋 (동직재)*

 

 

* 靜虛齋 (정허재)와 動直齋 (동직재)는 儒生들이 寄宿(기숙)과 개인 學習을 하던 건물이다*

 

 

*동직재에서 보는 서원 앞 屛山과 낙동강*

 

 

 

 

 

 

 

 

 

 

 

 

 

 

 

 

 

*典祀廳 (전사청)*

 

 

 

 

 

 

 

 

 

 

 

 

 

 

 

 

 

 

 

 

 

 

 

*藏板閣 (장판각)*

 

 

 

 

 

 

 

*달팽이 모양 뒷간*

 

 

 

 

 

*병산서원 앞 풍경*

 

 

 

 

 

*서원앞 屛山 十景*

 

 

*낙동강과 병산*

 

 

 

 

 

 

 

 

*병산공방을 겸한 매점*  

 

 

*공방 내부. 나무로 조각한 공예품을 판매한다* 

 

 

 

 

 

 

 

 

 

 

 

 

 

 

 

 

 

 

 

 

 

 

 

*自然과 사람이 한 폭의 그림이 되는 屛山書院*

 

 

 

*安東 屛山書院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遺敎 建築物로서 서애 柳成龍 (1542~1606) 先生과 그의 弟子이며 셋째 아들

수암 柳珍 (1582~1635) 공을 배향한 書院이다. 이곳은 서애 先生께서 31세 때인 1575년에 豊山 상리에 있던 

풍악 서당을 이곳으로 옮겨와 弟子들을 가르치던 곳으로 1607年 선생이 돌아가신 後 묘우 (專德祠)를 짓고 선생의

위판을 모셨으며. 每年 봄. 가을 享祀 (향사)를 받들면서 書院으로 昇格되었다. 그 後 철종 14年 (1863)에

屛山書院으로 賜額 (사액) 받았으며. 흥선대원군의 書院撤廢令에도 毁撤 (훼철) 되지 않은 全國 47개 書院 중 하나이며

사적 제260號로 指定되어 있으며. 韓國의 書院으로 UNESCO 世界遺産으로 登材된 書院이다*.

 

 

 

 

 

*서원 입구의 매점*

 

 

 

 

 

*지난해에 이어 다시 찾은 屛山書院. 배롱나무 꽃이 절정에 이른 듯 화려하게 피어있다*

 

 

 

 

 

 

 

 

 

 

 

 

 

 

 

 

 

*서원 안내판*

 

 

 

 

 

*復禮門*

 

 

*복례문은 書院의 正門으로 自己慾心을 버리고 禮儀凡節을 따름에서 由來하여 이름 지었다*

 

 

*光影池 (광영지)*

 

 

*광영지는 세상을 비추는 거울로서의 연못을 맑게 하기 위해 늘 신선한 물을 공급하듯이 생각

(사유)의 根源인 책 읽기를 게을리 하지 말라는 서애선생의 가르침이 담겨있는 곳이다*

 

 

 *晩對樓 (만대루)*

 

 

*晩對樓 (만대루)는 저물 무렵 屛風처럼 둘러쳐진 屛山의 山水를 만나기 위한 格物致知 (격물치지)의 공간이다*

 

 

*格物致知 (격물치지). 復禮門. 晩對樓. 光影池가 있는 이곳은 흘려가는 물처럼 한결같은 마음으로 學文하고 禮 를

배우고 실천하는 가운데. 인의 세계로. 세상의 바른 理致로 다가갈 수 있음을 象徵化하여 드려 낸 공간이다*

 

 

 

 

*만대루 누각*

 

 

*屛山書院 본관 立敎堂*

 

 

*立敎堂은 講學 活動을 위한 核心 建築物이며. 院長 서원 任員의 집무실과 儒生의 講學을 위한 대청마루가 있다* 

 

 

 

 

 

 

 

 

 

 

 

 

 

 

*입교당에서 보는 尊德祠 (존덕사)*

 

 

 

 

 

*靜虛齋 (정허재). 動直齋 (동직재)는 儒生들이 寄宿과 개인 학습을 하던 건물이다*

 

 

*動直齋 (동직재)*

 

 

 

 

 

 

 

 

 

 

 

 

 

 

*內三門 (내삼문). 일명. 神門. 신성한 祠堂으로 들어가는 영혼의 문으로 평삼문 형식이다*

 

 

*尊德祠는 서애 先生의 위판을 모신 祠堂으로 선생의 學文과 德行을 높이 우러른다는 뜻에서 尊德祠라 하였다.

神門을 통하여 들어갈 수 있지만. 해설사 부재로 들어가 보지는 못했다* 

 

 

*藏板閣 (장판각). 책을 찍는 木板을 保板을 보관하고 있다*

 

 

 

 

 

 

 

 

 

 

 

 

 

 

 

 

 

 

 

 

 

 

 

 

 

* 典祀廳 (전사청). 향사 때 제수와 제물을 보관하는 곳이다*

 

 

 

 

 

 

 

 

 

 

 

 

 

 

 

 

 

 

 

 

 

 

 

 

 

 

 

 

 

 

 

 

*달팽이 화장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