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을 얻는데도 나름에 길과 樂이 있는 뜻의 山. 단양 道樂山*

 

 

 

 

 

 

*산행코스 : 상선암 주차장~상선암~철계단~거북바위~상선암봉~제봉~형봉~신선봉~내궁기 갈림길~도락산~

신선봉~채운봉~검봉~큰 선바위~시밋골~상선암 주차장* [ 산행거리 7. 15km -5시간 40분 ( 운동시간 ) ]

 

 

*道樂山 頂上 (해발 964m. 지도상으로 965m으로 표기되어 있음)*

 

 

*도락산 認證을 하고 채운봉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도락산 정상 봉우리와 신선봉을 이어주는 나무다리*

 

 

*현주님*

 

 

*라임님*

 

 

*스마트님*

 

 

 

 

 

*조금前 내려온 도락산 정상* 

 

 

*당겨서 찍은 정상 봉우리*

 

 

*암릉 능선길에서 보는 하산할 채운봉과 검봉*

 

 

 

 

 

*명품 松들이 즐비한 능선길*

 

 

*정상을 찍고 돌아온 신선봉 암릉*

 

 

 

 

 

 

 

 

 

 

 

 

 

 

 

 

 

 

 

 

*형봉 갈림길*

 

 

*갈림길에서 채운봉으로 하산한다*

 

 

*조망터에서 보는 신선봉 암릉*

 

 

 

 

 

*午前에 올랐던 형봉 정상*

 

 

*구두바위*

 

 

*암릉 계단길*

 

 

 

 

 

*아무런 表式 (표식)이 없는 채운봉 정상*

 

 

*채운봉을 내려오며 보는 잠시 후 오를 검봉*

 

 

*오전에 걸었던 상선암봉 능선*

 

 

 

 

 

*채운봉을 내려오는 급경사 계단길*

 

 

 

 

 

 

 

 

*채운봉을 내려오는 계단길에서 현주님과 라임님*

 

 

 

 

 

 

 

 

 

 

 

 

 

 

 

 

 

*채운봉을 내려와 검봉을 오르며 조망 바위에서 채운봉과 형봉*

 

 

*채운봉과 형봉을 배경으로 현주님*

 

 

 

 

 

 

 

 

 

 

 

 

 

 

 

 

 

 

 

 

*검봉 전망대*

 

 

 

 

 

*전망대에서 보는 황정산 방향 풍경*

 

 

*검봉 정상*

 

 

 

 

 

*검봉 암능선의 生과 死. 松*

 

 

 

 

 

 

 

 

 

 

 

 

 

 

 

 

 

*樹齡 수백년은 되어 보이는  名品 松*

 

 

*큰 선바위*

 

 

*내려와 가까이서 보는 엄청난 크기의 큰 선바위*

 

 

*작은 선바위 옆 통나무 계단 하산길*

 

 

*시밋골 계곡 鐵다리*

 

 

 

 

 

*하산하여 마을에서 올려다보는 左측. 제봉 방향 상선암봉과 右측/ 검봉. 채운봉*

 

 

*아침 산행을 시작했던 상선암 (가산 2리) 마을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神仙이 노니는 단양의 名山 道樂山 (도락산)*

 

 

 

*단양의 名山인 道樂山 (도락산)은 小白山과 월악산 사이에 걸터앉아 있는 바위산이다. "깨달음을 얻는 데는 나름대로

길이 있어야 하고. 거기에는 또 한 즐거움이 따라야 한다"는 뜻에서 우암 송시열 先生이 직접 이름을 붙인

山으로 현재 산의 一部가 月岳山 國立公園에 속해있다. 산을 끼고 北으로는 사인암이 西쪽으로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등 丹陽八境 중 4景이 인접해 있어 주변의 아름다운 景觀과 암릉 산행의 묘미를 즐길 수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상선암 주차장~상선암~철계단~거북바위~상선봉~제봉~형봉~신선봉~내궁기 갈림길~도락산~신선봉~

채운봉~검봉~큰 선바위~시밋골~상선암주차장* [ 산행거리 7. 15km - 5시간 40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지점인 국립공원 도락산 상선 주차장*

 

 

*상선암 마을 가산 2리 마을 소개 碑*

 

 

*마을에서 제봉 방향으로 오른다*

 

 

 

 

 

 

 

 

 

 

 

*바위 조망 쉼터*

 

 

*조망 쉼터에서 보는 풍경*

 

 

*등짐을 진 거북바위 (平生 무거운 등짐을 지고 살았을 나무)*

 

 

*상선암봉 (635m)*

 

 

*용두산 방향 풍경*

 

 

*名品 松 쉼터*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과 라임님*

 

 

*스마트님과 나~*

 

 

*암반 위에 자리한 희귀 松*

 

 

*제봉을 오르는 그늘진 곳에는 잔설이 남아있다*

 

 

 

 

 

 

 

 

 

 

 

*제봉 (818m)*

 

 

 

 

 

 

 

 

 

 

 

 

 

 

*登山路의 주변의 선바위*

 

 

 

 

 

 

 

 

*전망바위*

 

 

*전망바위에서 보는 올라온 능선*

 

 

*소백산 연화봉 방향*

 

 

*월악산 방향*

 

 

*午後에 하산할 채운봉 방향*

 

 

 

 

 

*형봉 정상*

 

 

*2018년 1월 7일 산행 때 형봉 認證사진*

 

 

 

 

 

*형봉의 기암*

 

 

*형봉아래 신선봉. 채운봉. 갈림길 삼거리*

 

 

*갈림길에서 신선봉. 도락산 정상으로 산행을 進行한다*

 

 

 

 

 

 

 

 

*神仙峰 頂上*

 

 

 

 

 

 

 

 

 

 

 

 

 

 

*채운봉과 검봉 방향*

 

 

*악어바위*

 

 

 

 

 

 

 

 

 

 

 

 

 

 

 

 

 

 

 

 

*신선봉에서 소백산 연화봉을 배경으로*

 

 

 

 

 

 

 

 

 

 

 

 

 

 

*신선봉 정상의 바위 웅덩이*

 

 

 

 

 

*신선봉 악어머리 바위*

 

 

 

 

 

 

 

 

 

 

 

 

 

 

*신선봉에서 사진 놀이를 마치고 도락산 정상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돌아본 신선봉 암릉*

 

 

*도락산 정상 3백 m 前 내궁기 갈림길 삼거리*

 

 

 

 

 

 

 

 

*道樂山 (도락산) 頂上*

 

 

 

 

 

 

 

 

 

 

 

 

 

 

*도락산 山行記는 사진의 量이 많아 1~2部로 나누어 기록한다*

 

 

 

*신라 佛敎文化의 聖地. 경주 南山. 눈꽃산행* 

 

 

 

*경주 南山은 世界文化遺産과 史跡으로도 지정 登載된 名所로 1968년 두 번째 國立公園으로 지정되었으며. 22개의

國立公園 중 有一한 사적형 국립공원으로. 新羅의 興亡盛衰를 함께한 "노천 박물관"으로 歷史와 문화재들을

만날 수 있다. 삼릉에서 출발해 용장골까지 연결되는 역사탐방로구간에서 自然과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산행코스 : 삼릉탐방지원센터~삼릉~상선암~바둑바위~금오산~삼화령~연화대좌~이영재~삼층석탑~칠불암~

고위봉~이무기능선~용장지킴터* [ 산행거리 11. 24km - 4시간 31분 ( 운동시간 ) ]

 

 

*통일주차장 갈림길에서 고위봉 방향으로~*

 

 

*남산지구 경관복원사업 설명판*

 

 

*이영재*

 

 

*조망 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금오산*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현주님*

 

 

 

 

 

 

 

 

 

 

 

*포게진 바위*

 

 

*지나온 금오산 방향을 배경으로~*

 

 

 

 

*스마트님*

 

 

 

 

 

 

 

 

*산행을 이어갈 고위봉 방향의 雪景*

 

 

 

 

 

*직진 칠불암. 고위봉방향 우측은 3층석탑 가는 길*

 

 

 

*용장계 지곡 제3 寺址 三層石塔 (寶物 제1935호)*

 

 

*삼층석탑 해설판*

 

 

 

 

 

*200m 거리에 있는 석탑을 보고 돌아온 갈림길에서 고위봉 방향으로~*

 

 

*칠불암 갈림길 봉우리에서 보는 주변의 풍경*

 

 

*350m 아래에 있는 칠불암으로 내려간다*

 

 

 

 

 

*七佛庵은 나무계단과 가파른 바위길을 내려가야 한다*  

 

 

*내려온 바위길*

 

 

*칠불암 직전 대나무숲 길*

 

 

 

 

 

*七佛庵 磨崖佛像群 (國寶 제312號)*

 

 

*七佛庵 磨崖佛像群 은 본존불인 석가여래좌상과 左 右에 협시보살이 있는 三尊佛과 각각 연꽃무늬 臺座및

   頭光을 갖춘 四方佛을 가리킨다. 삼존불은 산비탈 바위 면에 사방불 그 앞 돌기둥에 조각되어 있다*  

 

 

*慶州 南山 칠불암 마애불산군은 七佛庵 內에 있는 바위 面에 새겨진 7구의 佛像들을 지칭한다. 본존과 두 보살로 된

삼존상. 돌기둥 四 面에 새겨진 四方佛을 합쳐 7구의 불상들이 새겨져 있으므로 이름을 칠불암이라 부른다*

 

 

 

 

 

 

 

 

*七佛庵 三層石塔*

 

 

*칠불암*

 

 

 

 

 

 

 

 

*三聖閣*

 

 

*삼성각 내부*

 

 

 

 

 

*칠불암 탑부재*

 

 

 

 

 

 

 

 

 

 

 

*칠불암 위에 있는 神仙庵 표지판*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은 七佛庵 위 바위 절벽에 새겨져 있다. 머리에 三面寶冠 (삼면보관)을 쓰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꽃을 쥐고 원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린 채 說法하고 있으며. 구름 위에 앉아 있는 듯이 표현하여 자유로움을 준다* 

 

 

*神仙庵. 磨崖普薩半跏像*

 

 

 

 

 

 

 

 

*神仙庵에서 내려다보는 칠불암*

 

 

 

 

 

*봉화대 갈림길*

 

 

 

 

 

 

 

 

 

 

 

*용장마을 갈림길*

 

 

 

 

 

*高位峰*

 

 

 

 

 

*고위봉에서 이무기 능선. 천우사 방향으로 하산한다*

 

 

 

 

 

 

 

 

*이무기 암능선에서 보는 하산 지점인 용장골*

 

 

*능선의 기암*

 

 

 

 

 

 

 

 

*내려온 능선*

 

 

*내려갈 능선*

 

 

*이무기능선 로프구간*

 

 

*오전에 산행했던 금오산 방향*

 

 

 

 

 

*조금 前 내려온 고위봉*

 

 

 

 

 

*龍이 되려고 하늘로 승천하려 꿈틀 되는 이무기 형상의 바위길 능선*

 

 

*고위봉에서 내려온 이무기 능선*

 

 

 

 

 

 

 

 

 

 

 

 

*태봉능선의 암봉*

 

 

*이무기 능선길은 계단과 너덜 바위길이 많아 하산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천우사 갈림길*

 

 

*용장골 공원 지킴터*

 

 

*용장 마을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천년고도 서라벌 慶州의 보물산 국립공원 金鰲山*

 

 

 

*경주의 南山은 경주의 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新羅人들의 신앙의 대상이 되어 山 자체가 寶物로 가득한 보물산이다.

金鰲山과 高位峰 (남산)의 두 봉우리에서 흘려내리는 40여 개의 溪谷과 산줄기들로 이루어진 남산은

南北 약 8km 東西로 약 4km 크기의 타원형 地形의 모습을 취하고 있고 100여 곳의 절터와. 80구의 石佛 60여 기의

石塔등의 文化 유적과 奇岩怪石들이 만물상을 이루는 自然 景觀과 함께 천년의 신비를 간직한 山이다* 

 

*산행코스 : 삼릉탐방지원센터~삼릉~상선암~바둑바위~금오봉~삼화령~연화대좌~이영재~삼층석탑~칠불암~

고위봉~이무기능선~용장지킴터* {산행거리 11. 24km - 4시간 31분 ( 운동시간 ) ]

 

 

 

 

*경주 남산 保護碑*

 

 

*경주남산 소개글판*

 

 

 

 

 

*삼릉 탐방지원센터를 지나서~*

 

 

*삼릉 소나무 숲*

 

  

 

 

 

*三陵*

 

 

 

 

 

*삼릉계 塔材및石材*

 

 

 

 

 

*佛頭 결실 석조여래상*

 

 

 

 

 

*무속 행위를 하던 석굴 제단*

 

 

*線刻 六尊佛 (선각육존불)*

 

 

 

 

 

*문화재가 위치했던 자리 안내판*

 

 

 

 

 

*석탑이 위치했던 자리*

 

 

 

 

 

*경주 남산 三陵溪 석조여래상*

 

 

 

 

 

*석조여래상 뒤편의 석굴 祭壇*

 

 

 

 

 

*상선암*

 

 

 

 

 

*상선암에서 보는 雪景*

 

 

*상선암 뒤편 선각보살입상*

 

 

 

 

 

 

 

 

*제9 사지 마애여래상이 새겨진 바위*

 

 

 

 

 

*조망터에서 보는 선도산과 포석정 방향 풍경*

 

 

 

*오늘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라임님*

 

 

 

 

 

*바둑바위 조망터에서 보는 풍경*

 

 

 

 

 

 

 

 

*좌측 단석산. 우측 선도산 방향의 풍경*

 

 

 

 

 

*눈이 내리지 않는 경주 11년 만에 많은 눈이 내려 경주 남산이 하얗게 분칠을 한 풍경이 너무 아름답다*

 

 

 

 

 

 

 

 

 

 

 

*마애석가여래좌상*

 

 

 

 

 

 

 

 

 

 

 

*스마트님*

 

 

 

 

 

 

 

 

 

 

 

 

 

 

 

 

 

 

 

 

 

 

 

 

 

 

 

 

 

 

 

 

 

 

 

 

 

 

 

 

 

 

 

 

 

 

 

 

 

 

 

 

 

 

*오늘 함께 산행하는 mtom 회원들*

 

 

 

 

 

 

 

 

 

 

 

*금오산 정상에서 고위봉 방향으로 내려온 포석정 갈림길* 

 

 

*용장사 터 갈림길 삼거리에서 이영재 방향으로~*

 

 

 

 

 

*고위봉 전망터*

 

 

*고위봉과 태봉능선*

 

 

*사진의 갈림길에서 左측으로 蓮花臺座 (연화대좌)를 보려 올라간다*

 

 

 

 

 

 

 

 

*경주 남산은 노천 박물관이라 불릴 만큼 산 곳곳에 문화 유적들이 있다* 

 

 

*蓮花臺座는 自然石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불상 받침석이라 보면 된다*

 

 

 

 

 

 

 

 

 

 

 

*사진의 갈림길에서 연화대곡 제3 寺址 보려 간다*

 

 

*제3 사지 터*

 

 

*경주 남산의 금오산. 고위봉 산행과 문화 탐방은 2부에서 계속되다*

 

 

*단양 도락산 번개산행*

 

     

*월악산 단양 탐방안내소~상선암~철계단~제봉~형봉~채운봉 갈림길~신선봉~도락산~신선봉~채운봉 갈림길~

채운봉~검봉~범바위~큰 선바위~작은 선바위~시밋 골~단양탐방 안내소 주차장 [ 6.7km-5시간 05분]

 

       *월악산 단양 탐방 안내소*

 

 

 

 

 

   *탐방안내소 내 월악산 국립공원 안내판*

 

 

  *탐방 주차장에서 건너편 용두산 정상 가까운 곳에 조금이나마 상고대가 피어있네요*

 

 

 

 

 

 

 

 

  *등로임을 알려주는 산악회 시그널*

 

 

     *상선암*

 

 

  *상선암 옆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되는 곳*

 

 

    *산행 시작 후 첫 번째 소나무 쉼터*

 

 

       *암릉길이 시작되면서 산길이 점차적으로 거칠어집니다*

 

 

 

 

 

*오름길이 시작되면서 가파른 계단길도 나오고*

 

 

*바위틈에 뿌리내린 멋진 소나무가 있는 쉼터도 나오고*

 

 

 

 

 

                     *평생 무거운 등짐을 지고 살아야 했을 나무*

 

 

*도락산하면 암릉과 기품 있는 소나무가 연상될 만큼 등도 주변 암릉에 많은 소나무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오름길 곳곳에 명품 소나무와 쉼터가......*

 

 

*응달엔 녹지 않은 눈들이 쌓여있어는 통나무 계단길*

 

 

 

 

 

 

 

 

             *제봉정상*

 

 

 

 

 

*제봉에서 신선봉으로 가는 등록도 암릉에 철재 로프 구간이 여러 군데 있습니다*

 

 

 

 

 

*하산길에 걸어야 할 우측 채운봉과 좌측 검봉*

 

 

 

 

 

 

 

 

                *고인돌 바위가 있는 암봉* 

 

 

              *형봉에서 당겨본 연화 2봉*

 

 

                 *표지판은 없지만 아마도 이곳이 형봉인 듯*

 

 

 

 

 

 

 

 

            *채운봉 갈림 삼거리*

           (오늘 산행은 이곳에서 정상을 다녀와서 채운봉으로 하산합니다) 

 

 

 

 

 

                 *도락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계단길*

 

 

              *하산길의 채운봉 방향도 담아보고 *

 

 

*도락산의 상징인 고래 등처럼 넓적한 바위*

 

 

 

 

 

      *내궁기 마을에서 올라오면 만나는 삼거리*

 

 

*구름다리를 건너 조금만 올라가면 도락산 정상*

 

 

 

 

 

                  *번개팀 단체인증*

 

 

 

 

 

 

 

 

 

 

 

 

 

 

 

 

 

 

 

 

      *정상을 찍고 되돌아온 채운봉 갈림길 삼거리*

 

 

     *정상 방향의 암릉*

 

 

            *하산길에서 올려다본 형봉*

 

 

 

 

 

 

 

 

               *구두 모형 바위*

 

 

*하산하며 올려다본 정상 봉우리 전체가 거대한 암봉으로 보입니다*

 

 

 

 

 

 

 

 

 

 

 

 

 

 

 

 

 

 

 

 

 

 

 

 

 

 

 

 

 

     *검봉*

 

 

   *암릉 조망터에 써니 님! 과 현주님!*

 

 

 

 

 

 

 

 

 

 

 

     *전망대 기암에서~*

 

 

 

 

 

 

 

 

 

 

 

 

 

 

 

 

 

 

 

 

 

 

 

 

 

 

*하산길 조망터에서 올려다본 검봉. 채운봉. 방향*

 

 

    *큰 선바위*

 

 

         *가까이 닥 아가서 본 큰 선바위*

 

 

      *작은 선바위 옆 통나무 계단길*

 

 

 

 

 

 

 

 

      *시밋 골 다리*

 

 

 

 

 

 

 

 

                                                                                   

                                      

        *경주 남산. 고위산& 七佛庵. 금오산 산행*        

                   

 

  

 

 

 

*산행코스 : 용장1리~공원 지킴터~이무기 능선~고위산~고위봉 능선~백운재~봉화대~칠불암 갈림길~칠불암~

봉화대 능선~이영재~삼화령 능선~금오산~상사바위~상선암~삼릉* [산행거리 9.09km - 6시간 50분 ]

 

                       

 

                   *공원 지킴터에서 10여분을 오르면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되는지 점*

 

 

 

 

 

                   *첫 조망터에서 용장리 마을*

 

 

 

 

 

 

 

 

                   *앞으로 올라가야 할 이무기 능선 방향*

 

                  *비를 피해 찾아간 경주지역이 올여름 최고의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곳이라고 한다.

                   산행 경험이 풍부한 번개 팀원 님들도 무척 힘들어해서 물과 간식으로

                   에너지 보충을 하며 쉬엄쉬엄 산행을 한다* 

 

 

 

 

 

 

 

 

 

 

 

 

 

 

 

 

 

 

 

 

 

 

 

 

 

 

 

 

 

 

 

 

 

 

 

 

 

 

 

 

 

 

 

 

                   *이무기 암릉 오름길의 최고 난이도의 암릉구간*

                   

 

 

 

 

 

 

 

 

 

 

                   *로프 잡고 폼 잡은 현주님*

 

 

 

 

 

 

 

 

                   *이무기 암릉길엔 이렇게 멋진 바위와 분재 같은 소나무가 곳곳에 있습니다*

 

 

 

 

 

 

 

 

 

 

 

 

 

 

 

 

 

                  *오늘 함께 산행하는 번개팀 멤버님들*

             

 

                   *고위봉에서 백운재~칠불암 갈림터 가는 산길은 소나무숲길로 비교적 편안한 산길이 이어집니다* 

 

 

 

 

 

 

 

 

 

 

                   *칠불암 가는 갈림길*

                   우린 여기서 칠불암을 다녀오기 위해 칠불암 방향으로 내려간다. 

 

 

                   *칠불암 가는 암릉에서*

 

 

 

 

 

 

 

 

 

 

 

                   *암릉길을 내려가서 산죽길이 나오면 바로 칠불암*

 

 

 

 

 

                   *칠불암 마애불상*

 

 

 

 

 

                   *칠불암*

 

 

                   *옆에서 본 마애불상 *

 

 

 

 

 

                 

 

 

                  *내려온 길을 다시 오르며 위. 앞. 건너편 멋진 전망이 눈에 들어옵니다* 

 

 

 

 

 

 

 

 

 

 

 

                   *다시 돌아온 칠불봉 갈림길*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는 이지점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간다*

             

 

 

 

 

 

 

 

                   *여기서 용장계 지곡 삼층석탑 보려 간다*

 

 

                   *삼층석탑*

 

 

 

 

 

 

 

 

 

 

 

                   *이영재*

 

 

                              *이영재 지키고 있는 名品松*

 

 

                    *경주 남산 임도와 함류 지점*

 

 

                   *삼화령 전망대*

 

 

                   *고위봉과 이무기 능선 방향*

 

 

 

 

 

                  삼화령 연화대좌*

 

 

 

 

 

 

 

 

 

 

 

 

 

 

                   *금오봉 정상*

 

 

 

 

 

 

 

 

 

 

 

                  *상사바위*

 

 

 

 

 

                  *마애 석가여래좌상*

 

 

 

 

 

 

 

 

 

 

 

                   *바둑바위 전망대*

 

 

 

 

 

 

 

 

                   *상선 암내에 있는 제9 사지 선각 보살상*

 

 

 

 

 

                   *상선암*

 

                  *삼릉으로 내려가는 하산길에는 남산 7대 보물인 선각육존불. 선각 여래좌상.

                   석조여래좌상, 등 다양한 유물들이 있다*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삼릉 곡  석조여래좌상*

 

 

 

 

 

 

 

 

 

 

 

 

 

 

 

 

 

 

 

 

 

 

 

 

 

 

                   *삼릉* 신라 8대 아달라와,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의 무덤으로 알려지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