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最古의 인공연못 부여 궁남지 (宮南池)*

 

 

 

*부여 宮南池는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한 백제 무왕의 서동요 傳說이 깃든 곳이다. 三國史記에 백제 무왕 35년 (634년)

宮의 南쪽에 못을 파 20여 리 밖에서 물을 끌어다가 채우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못 가운데는 섬을

만들었는데. 方丈仙山 (방장선산)을 상징한 것이라는 記錄이 있다. 이로 보아  궁남지는 百濟 무왕 때 만든 宮의

庭園이 였음을 알 수 있다. 연못의 東쪽 언덕에서 백제 때의 기단석과 초석. 기와 조각. 등이 出土되어 근처에

離宮이 있었을 짐작된다고 한다. 7월에는 천만송이 연꽃들의 아름다운 響宴인 서동연꽃축제가 열리고. 10월~11월

에는 多樣한 作品으로로 꾸며진 굿뜨래 菊花展示會가 열려 궁남지의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는 곳이다* 

 

 

 

 

 

*홍련. 궁남지에서 가장 많은 면적에 분포되어 植生하고 있는 종류로. 씨는 藥用으로 쓴다*

 

 

 

 

 

 

 

 

 

 

 

 

 

 

 

 

 

 

 

 

 

 

 

 

 

 

 

 

 

 

 

 

*백련*

 

 

 

 

 

 

 

 

 

 

 

 

 

 

*삼명애련. 노란색과 분홍색이 혼합된 색을 띤다*

 

 

 

 

 

 

 

 

*황련. 꽃이크며 노란색에 백색을 합한 색을 보이는 꽃을피운다*

 

 

 

 

 

 

 

 

 

 

 

 

 

 

 

 

 

 

 

 

 

 

 

*열대수련*

 

 

 

 

 

 

 

 

 

 

 

*궁남지*

 

 

*포룡정*

 

 

 

 

 

 

 

 

 

 

 

 

 

 

 

 

 

 

 

 

*물무궁화*

 

 

 

 

 

*빅토리아 연*

 

 

*가시연*

 

 

 

 

 

*수련*

 

 

 

 

 

 

 

 

 

 

 

 

 

 

 

 

 

 

 

 

 

 

 

*물양귀비*

 

 

 

 

 

*수련*

 

 

 

 

 

 

 

 

 

 

 

 

 

 

 

 

 

 

 

 

 

 

 

 

 

 

 

 

 

 

 

 

 

 

 

*가시연*

 

 

 

 

 

 

 

 

 

 

 

*노랑어리연꽃*

 

 

*남개연*

 

 

 

 

 

 

 

 

*통발*

 

 

 

*파평 尹氏 문중 교육도장 宗學堂. 배롱나무 꽃*  

 

 

*종학당(宗學堂)은 1625년 인평대군사부(師傅)동토(童土) 윤순거(파평윤씨 24)가 私邸에 子女姪의 敎育을 위해 세운

私設 교육기관으로 1628년 현 기지에 上級科定 學舍로 백록당(白鹿堂)과 樓閣인 정수루(淨水樓)를 創建하고

대소 과거(科擧) 준비생 및 석학들의 학문 연구와 기호학파 儒林들의 學文 交流 中心 도장 역할을 하였던 곳이다*

 

 

*홍살문*

 

 

 

 

 

 

 

 

 

 

 

 

 

 

 

 

 

 

 

 

 

 

 

 

 

 

*宗學堂 (종학당). 파평尹氏 家門의 級제자 46명의 대다수가 종학당 출신으로 조선 500년 역사에서

한 장소에서 공부한 儒生들이 科擧 40名 이상 及第한 것은 이곳이 有一하다고 한다* 

 

 

 

 

 

 

 

 

 

 

 

 

 

 

 

 

 

 

 

 

 

 

 

 

 

 

 

 

 

 

 

 

 

 

 

 

 

 

 

 

 

 

 

 

 

 

 

 

 

 

*淨水樓 (정수루)*

 

 

 

 

 

 

 

 

*정수루는 누각과서재로 구분되어 있고 學文을 토론하고 詩文을 짓던 장소로 누각에서 보는 경치가 좋다*

 

 

*淨水樓 (정수루) 현판*

 

 

*香遠益淸 (향원익청)*

 

 

*吾家白鹿 (오가백록)*

 

 

*白鹿堂 (백록당)*

 

 

 

 

 

*정수루 2층 누각 내부*

 

 

*정수루 2층 누각에서 보는 종학당*

 

 

 

 

 

 

 

 

*宗學園 沿革 (종학당 연혁)*

 

 

 

 

 

*누각에서 보는 백록당*

 

 

 

 

 

 

 

 

*輔仁堂 (보인당)*

 

 

 

 

 

 

 

 

 

 

 

 

 

 

 

 

 

 

 

 

 

 

 

 

 

 

 

 

 

 

 

 

 

 

 

*白頭大幹 이만봉 산행 & 야생화 탐사*

 

 

*二萬峰은 괴산군 연풍면과 경북 문경시 가은읍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白華山과 羲陽山 사이 白頭大幹길에

우뚝 솟아있다. 희양산 (999m)과 시루봉 (914m) 이만봉이 正 三角形을 이루고 백두대간이 백화산을

지나면서 南쪽으로 뇌정산을 맺어놓고 이만봉. 시루봉을 지나 희양산으로 이어진다. 이만봉이란 산 이름은

옛날 임진왜란 이곳 산골짜기로 2만여 가구가 피난을 들어와 붙여진 이름이라는 傳說과 이만호라는

이름을 가진 兄弟가 이 산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생긴 이름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고 한다*

  

 

산행코스 : 분지 저수지~시루봉 갈림길~희양산 갈림길~963봉~도막 갈림길~용바위~마당바위~이만봉~마당바위~

용바위~도막 갈림길~희양산 갈림길~시루봉 갈림길~분지 저수지 [산행거리 7.93km - 4시간 49분 (운동시간) ]

 

 

*중부 내륙고속도로 아래 시루봉 방향 이정표*

 

 

*분지 저수지 아래 분지천*

 

 

*분지 저수지 제방*

 

 

 

 

 

 

 

 

*저수지에서 보는 조령산 줄기*

 

 

 

 

 

*시루봉 갈림길*

 

 

*말나리*

 

 

*오늘은 산행보다는 야생화 탐사에 중점을 두고 산행을 한다*

 

 

 

 

 

*속단*

 

 

 

 

 

 

 

 

*山水菊*

 

 

 

 

 

 

 

 

 

 

 

 

 

 

 

 

 

*좀꿩의다리*

 

 

*백두대간 희양산. 구왕봉 갈림길*

 

 

 

 

 

*오늘 처음 만난 솔나리*

 

 

*분지리 (도막) 갈림길*

 

 

*조망 바위에서 보는 희양산*

 

 

 

 

 

*이만봉으로 이어지는 햇볕이 잘 드는 바위길에 솔나리와 병아리난초가 자생하고 있지만.

탐방시기가 늦어 꽃은 지고 씨방이 맺혀가는 꽃들만이 있어 아쉬움이 크다*   

  

 

*병아리난초*

 

 

*지난번 탐사 때 찍은 병아리난초*

 

 

 

 

 

 

*용바위*

 

 

 

 

*조령산. 신선봉. 부봉. 방향*

 

 

 

 

 

 

 

 

 

 

 

 

 

 

 

 

 

 

 

 

*일월비비추. 꽃말: 신비한 사랑*

 

 

*당겨서 찍은 신선암봉과 부봉*

 

 

*주흘산과 주흘 영봉* 

 

 

 

 

 

*산행을 진행할 이만봉*

 

 

*좌측. 곰틀봉과 우측. 이만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써니 님*

 

 

 

 

 

*로프구간*

 

 

 

 

 

*참배암차스기 (토단삼)*

 

 

 

 

 

 

 

 

 

 

 

*솔나리와 은분취*

 

 

*산앵도나무 열매*

 

 

 

 

 

*병아리난초*

 

 

*여로*

 

 

*큰까치수염*

 

 

*산꿩의다리*

 

 

 

 

 

 

 

 

*큰까치수염*

 

 

 

 

 

 

 

 

*병조희풀*

 

 

 

 

 

 

 

 

 

 

 

*써니 님*

 

 

 

 

 

 

 

 

 

 

 

 

 

 

 

 

 

 

 

 

 

 

 

 

 

 

 

 

 

 

 

 

 

 

 

 

 

 

 

 

 

 

 

 

 

 

 

 

 

 

 

 

 

*용바위*

 

 

*회목나무꽃*

 

 

 

 

 

*山水菊*

 

 

*말나리*

 

 

*시루봉 갈림길*

 

 

 

 

 

*분지 저수지*

 

 

 

 

 

 

 

 

*산행을 시작했던 분지 저수지로 내려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白頭大幹 이만봉에서 만난 솔나리* 

 

 

*솔나리는 白頭大幹을 따라 自生地가 있으며 개체수가 많지 않다. 꽃이 아름다워 훼손이 심해 개체수가 急速히

減少하고 있는 야생화로 환경부에서 稀貴種 植物로 지정하여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 보존 차원에서

保護하고 있는 꽃으로.  꽃은 옆을 향해 피고 잎이 솔잎처럼 가늘며 꽃이 다른 나리꽃에 비해 매우 아름답다*

 

 

*백합과 식물로 高山地帶에서 7월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꽃말은 새아씨. 깨끗한 마음.이다*

 

 

*탐방시기를 일주일 정도 놓쳐 탓으로 끝물 솔나리를 만나보게 되어서 아쉬움이 크다*

 

 

 

 

 

 

 

 

 

 

 

 

 

 

 

 

 

 

 

 

 

 

 

 

 

 

 

 

 

 

 

 

 

 

 

 

 

 

 

 

 

 

 

 

 

 

 

 

 

 

 

 

 

 

 

 

 

 

 

 

 

 

 

 

 

 

 

 

 

 

 

 

 

 

 

 

 

 

 

 

 

 

 

 

 

 

 

'내가만난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산 바람꽃. 雪中*  (0) 2022.03.19
*부안 : 야생화*(2022. 03. 09)  (0) 2022.03.13
*축령산 : 야생화* (2021.04.14)  (0) 2021.04.20
*천안 광덕산 : 야생화*  (0) 2021.04.17
*유명산 : 야생화*  (0) 2021.04.15

 

*걸으면 걸을수록 사랑이 깊어지는 충주호 종댕이길*

 

 

 

*충주호 종댕이길은 계명산 줄기인 심항산의 아름다운 湖水風景을 따라 걸으면서 풍광도 즐기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造成된 숲길로 忠州湖의 아름다운 景觀을 벗하며 걸을 수 있는 11.5km로 4시간 30정도 소요되며. 우겨진     

숲의 다양한 植物과 內陸의 바다로 불리우는 忠州湖의 아름다움 景觀이 손에 잡힐 듯 보면서 탐방할 수 있어 즐거움이

남다르고 더없이 좋은숲길이다. 종댕이라는 말은 隣近 종댕이(宗堂)마을에서 비롯되었으며. 심항산을 종댕이

산이라고도 한다. 종댕이길은 하트貌樣으로 사랑하는 戀人과 함께 걸으면 걸을수록 사랑이 깊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산행코스 : 심항산 산림공원~생태연못~제 1조망대~종댕이길~팔각정~제 2조망대~쉼터~출렁다리~갈림길~

심항산~봉수터 갈림길~육각정~제 1전망대* [ 산행거리 5.19km - 3시간 01분 ( 운동시간 ) ]

 

 

*충주호 숲해설 안내소*

 

 

 

 

 

*숲해설 안내소에서 보는 충주호*

 

 

 

 

 

 

 

 

 

 

 

 

 

 

 

 

 

*원터정*

 

 

 

 

 

 

 

 

*생태연못*

 

 

 

 

 

*오늘의 비박지인 제1 조망대*

 

 

 

 

 

 

 

 

 

 

 

 

 

 

*호수 물 위에 떠 있는 별 모양의 수초섬*

 

 

 

 

 

 

 

 

*점심식사를 하고 종댕이길 트레킹을 시작한다*

 

 

*종댕이 고개를 오르는 장승길*

 

 

*종댕이 고개*

 

 

 

 

 

 

 

 

 

 

 

*밍계정*

 

 

 

 

 

 

 

 

 

 

 

 

 

 

*kiss 나무*

 

 

 

 

 

*쉼터*

 

 

 

 

 

 

 

 

 

 

 

*제2 조망대*

 

 

 

 

 

*제2 전망대에 보는 월악산 방향*

 

 

 

 

 

 

 

 

 

 

 

 

 

 

 

 

 

 

 

 

 

*사우앙산 (403m)*

 

 

 

 

 

 

 

 

*소원바위*

 

 

 

 

 

*출렁다리*

 

 

 

 

 

 

 

 

*출렁다리에서 보는 부대산과 주봉산*

 

 

 

 

 

 

 

 

 

 

 

 

 

 

*심항산. 숲해설 안내소 갈림길*

 

 

 

 

 

 

 

 

*함께 산행하는 멤버들*

 

 

 

 

 

 

 

 

 

 

 

 

 

 

*심항산 정상에서 보는 충주호*

 

 

*당겨서 찍은 월악산*

 

 

*봉수터 갈림길*

 

 

 

 

 

*비박 장소인 제1 전망대로 돌아와 저녁 식사를 한 후 잠자리에 들면서 첫째 날 일정을 마친다*

 

 

 

 

 

 

 

 

 

 

 

 

 

 

 

 

 

 

 

 

 

 

 

 

 

 

 

 

 

 

 

 

 

 

 

*개명산*

 

 

*어제 주차하고 트레킹을 시작했던 숲해설 안내소에 도착하면서 일정을 마친다*

 

 

 

*嶋潭의 아름다운 세 봉우리 도담삼봉 (嶋潭三峰)*

 

 

 

*南漢江의 맑고 푸른 물이 유유히 흐르는 江 한가운데 위치한 도담삼봉 (嶋潭三峰) 늠름한 장군봉(남편봉)을 中心으로

左側에는 교태를 머금은 첩봉(달봉)과 右側은 암전하게 돌아앉은 처봉(아들봉) 등 세 봉우리가 물위에 솟아 있다.

조선의 開國功臣 정도전이 자신의 호를 삼봉이라 할 만큼 젊은시절을 이곳에서 청유하였다 한다. 傳하는 바에 의하면

아들을 얻기 위해 첩을 둔 男便을 미워하여 돌아 않은 本妻의 모습을 하고하고 있는데. 살펴 볼 수록 그 생김새와

잘 어울려 先祖들의 知慧와 상상력이 감탄스럽다. 도담삼봉은 퇴계 이황이 단양군수로 부임해서 命名한 것으로

알려진 丹陽八景 중의 하나다. 嶋潭三峰을 비롯해 상선암. 중선암. 하산암. 사인암. 석문. 구담봉. 옥순봉. 등이있다*

  

 

 

 

 

*산은 단풍잎 붉고 물은 옥같이 맑은데. 석양의 도담삼봉에는 저녁노을 드리웠네.

신선의 뗏목은 푸른 절벽에 기대어 자고. 별빛 달빛 아래 금빛 파도 너울진다*

# 퇴계 이황은 <도담삼봉 (嶋潭三峰) > 에서 이렇게 노래하고있다 #

 

 

 

 

 

 

 

 

 

 

 

 

 

 

 

 

 

*석문으로 오르며 정자 쉼터에서 보는 도담삼봉* 

 

 

 

 

 

*석문 (명승 제 45호)*

 

 

 

 

 

 

 

 

 

 

 

*詩人 朴木月의 나그네 詩*

 

 

 

 

 

 

 

 

 

 

 

 

 

 

 

 

 

 

*남한강 암벽을 따라 낭만과 스릴을 즐기는 잔도 길 트레킹*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된 총길이 1.2km의 단양강 棧道길에는 그동안 접근하기 어려웠던 南漢江

岩壁을 따라 잔도가 있어 트레킹의 낭만과 짜릿한 스릴을 온몸으로 體驗할 수 있다. 最近 夜間照明을

설치함으로써 2020 야간관광 100선에 選定되어 단양군을 체류형 관광도시로 이끌고 있는 곳이다. 단양강 잔도는

남한강 風景을 한눈에 眺望힐 수 있어 海外 유명 관광지에서 볼 수 있는 잔도의 한국판이며. 인근에

이끼 터널. 만천하 스카이워크.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수양개 빛 터널 등 다양한 볼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단양강 잔도 길 풍경*

 

 

 

 

 

 

 

 

 

 

 

 

 

 

*중앙선 철도*

 

 

 

 

 

 

 

 

 

 

 

*돌양지꽃*

 

 

 

 

 

 

 

 

 

 

 

 

 

 

 

 

 

 

 

 

 

 

 

 

 

 

 

 

 

*수양개 생태공원*

 

 

 

 

 

 

 

 

*스카이 워크 앞까지 운행하는 서틀버스를 타고 올라간다*

 

 

 

 

 

*만천하 스카이 워크*

 

 

 

 

 

 

 

 

 

 

 

 

 

 

 

 

 

 

 

 

*sky 워크에서 보는 단양읍과 소백산 연화봉 방향*

 

 

 

 

 

 

 

 

*함께 간 멤버들*

 

 

 

 

 

 

 

 

 

 

 

 

 

 

 

 

 

 

 

 

*짚라인*

 

 

*모노레일을 타고 내려간다*

 

 

 

 

 

 

 

 

 

 

 

 

 

 

 

 

 

 

 

 

*만천하 스카이 워크*

 

 

 

 

 

 

 

 

*주차장으로 돌아오면서 잔도길 트레킹을 마친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산 : 종학당. 배롱나무 꽃 *(2021.07.24)  (0) 2021.07.27
*단양 : 도담삼봉 & 석문*  (0) 2021.07.19
*외암리 민속마을*  (0) 2021.07.14
*아산 : 외암리. 민속마을. 능소화*  (0) 2021.07.12
*공주 : 마곡사*  (0) 2021.07.01

 

*祖上의 슬기와 숨결이 살아 숨 쉬는 外岩 民俗마을*

 

 

*아산 외암 民俗마을은 국가지정 중요 민속문화재 (제236호)로 지정된 마을로 上類層 家屋과 庶民層 家屋 등

전통韓屋 60여채가 朝鮮後記 중부지방의 鄕村모습을 잘 保存하고 있어서 살아 있는 민속박물관 또는

都市人의 마음에 古鄕으로 불리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은  약 오백여년 전부터 形成되었고. 南向으로 배산임수

(背山臨水). 동고서저 (東高西低)로 이루어져 韓國의 살기 좋은 마을 10선에 選定된 마을이기도 하다*

 

 

*매표소*

 

 

 

 

 

 

 

 

 

 

 

 

 

 

 

 

 

 

 

 

*조선시대 상류층 가옥*

 

 

 

 

 

 

 

 

 

 

 

*사랑방*

 

 

*상류층 가옥의 안채*

 

 

*안방*

 

 

*부엌*

 

 

*행랑채. 머슴. 하인들이 거처하는 방*

 

 

 

 

 

*조상을 모신 사당*

 

 

 

 

 

 

 

 

*장독대*

 

 

*중상층 가옥*

 

 

 

 

 

 

 

 

*사랑방*

 

 

 

 

 

*안방*

 

 

*부엌*

 

 

 

 

 

 

 

 

*생활도구*

 

 

 

 

 

 

 

 

 

 

 

 

 

 

 

 

 

*평민층 가옥*

 

 

 

 

 

 

 

 

 

 

 

 

 

 

*평민가옥 부엌*

 

 

 

 

 

*서민층 가옥*

 

 

 

 

 

 

 

 

 

 

 

 

 

 

 

 

 

*디딜방아*

 

 

*민속마을에서 보는 배산 (背山) 역할을 하는 설화산*

 

 

*광덕산 방향*

 

 

 

 

 

 

 

 

 

 

 

 

 

 

 

 

 

 

 

 

 

 

 

 

 

 

 

 

 

 

 

 

 

 

 

 

 

 

*五色 인동초*

 

 

 

 

 

 

 

 

 

 

 

 

 

 

 

 

 

 

 

 

*연자방아*

 

 

 

 

 

 

 

 

 

 

 

 

 

 

*중요 민속자료 제 195호로 지정된 이참판댁은 韓末 규장각 直學士와 이조參判을 지낸 퇴호 이정렬이 살던 집이다*

 

 

 

 

 

 

 

 

 

 

 

*외암 (外岩) 이간 舍堂*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