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현들의 學文 탐구의 장소 및 傳統 生活공간을 재현한 榮州 선비촌*   

 

 

 

*榮州 선비촌*

# 영주는 예로부터 學文과 禮를 崇尙했던 선비文化의 중심지이며. 선비촌이 造成되어 있는 순흥은 우리나라 最初의 性理學者였던

悔軒 安珦 先生의 故鄕이기도 하다. 선비村은 오늘날 우리가 본받아야 할 선비 精信과 태도를 새롭게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으로 活用하고자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 일대에 建立되었다. 선비촌은 영주 선비들이 실제로 살았던 生活공간을

그대로 復元하였으며 그들의 精神을 담은 修身齊家 (수신제가). 立身揚名 (입신양명). 居無求安 (거무구안). 憂道不憂貧

(우도불우빈)의 4가지 구역으로 조성하였다. 全體的으로 마을 共同體 形態로 構成하여 옛 영주 선비들의 生活 모습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또 한 각 家屋別로 居住했던 사람들의 身分에 맞는 家屋 規模에 여러 家口와 生活도구를

展示하였으며. 선비의 一生과 精神을 엿볼 수 있는 직. 간접체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소수서원에서 선비촌으로 이어진 솔숲길*

 

 

*竹溪橋*

 

 

 

 

 

*선비촌 매표소*

 

 

*烈婦閣 (열부각)*

 

 

*忠僕閣 (충복각)*

 

 

 

 

 

 

 

 

 

 

 

 

*SBS드라마 獬豸(해치) 촬영을 했던 선비촌* 

 

 

 

 

 

 

 

 

 

 

 

 

 

 

 

 

 

*海愚堂 古宅 민속자료 경상북도 제92호*

# 1875년 해우당 金樂豊 (김낙풍)先生이 건립한 가옥이다 #

 

 

 

 

 

 

 

 

 

 

 

 

 

 

 

 

 

 

 

 

 

 

 

 

 

 

 

 

 

 

 

 

 

 

 

 

 

 

 

*까치구멍집*

# 까지구멍집은 모든생활을 집안에서 할 수 있는 지금의 집과 비슷한 구조로 부엌. 마루. 창고. 외양간. 방.등이

실내에 있고 환기를 위해 지붕 용마루 양 끝을 뚫어 두었고 그 구멍으로 까치가 드나들었다 #   

 

 

 

 

 

 

 

 

 

 

 

 

 

 

 

 

 

 

 

 

 

 

 

 

 

 

*友琴村 斗巖古宅 (우금촌두암고택)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81호*

 # 斗巖 金友益은 1571년 (선조 4년)에 출생 1612년 (광해군 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해미현감을 역임 후에

漢城府判尹 (오늘날의 서울특별시장 겸 서울고등법원장겸.검찰청 검사장에 해당)을 지냈던 분이시다 # 

 

 

 

 

 

 

 

 

 

 

*斗巖古宅은 인동 장씨 고택과 함께 선비촌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중심이 되는 가옥이다* 

 

 

 

 

 

 

 

 

 

 

 

 

 

 

 

 

 

*仁同張氏 綜宅*

 

 

 

 

 

 

 

*종택 사랑채*

 

 

*사랑방 문위의 花溪精舍. 편액*

 

 

 

 

 

 

 

 

 

 

 

*張末孫公 위패를 봉안한 사당*

 

 

 

 

 

 

 

 

*晩竹齋 古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3호)*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주 : 삼판서 고택*  (0) 2021.09.03
*영주 소수 박물관*  (0) 2021.09.01
*안동 : 봉암서원 *  (0) 2021.08.29
*영주 : 소수서원*  (0) 2021.08.27
* 상주 맥문동 솔숲 * (2021.08.17)  (0) 2021.08.25

 

*學文과 禮義를 숭상했던 儒敎 문화의 脈. 鳳巖書院* 

 

 

 

*鳳巖書院(봉암서원)*

*안동시 풍산읍의 鳳巖書院은 1825年 (순조 25)에 地方 儒林의 공의로 남응원 (南應元). 남융달 (南隆達). 南礏 (남급).

南天漢(남천한)의 學文과 德行을 追慕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선현 配享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1868년 (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복원된 서원이다. (안동시 문화유산 제9호)*

 

 

*서원 外三門인 由正門*

 

 

 

 

 

*체화정을 돌아보고 영주 무섬마을로 향하던 중 잠시 들른 鳳巖書院. 儒林. 선비의 고장인 安東에는 우리나라 대표적 書院

도산서원. 병산서원. 묵계서원 등을 비롯하여 地域 중 가장 많은 28개의 서원 있었다. 봉암서원도 그중 하나이다*    

 

 

*풍산읍 식당에서 점심을 먹던 중 식당 사장님께서 봉암서원에 배롱나무 꽃이 한창이라고.

알려줘서 찾아왔지만. 서원의 문이 잠겨있어 제대로 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봉암서원은 朝鮮後記 남응원 등 4인의 先賢을 追慕하기 위해 創建한 서원이다*  

 

 

 

 

 

*봉암서원의 강당*

 

 

 

 

 

 

 

 

*사당 출입문인 內三門*

 

 


*사당인 尙賢祠 (상현사)*


 

 

 

*奠祀廳 (전사청)*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소수 박물관*  (0) 2021.09.01
* 영주 선비촌 *  (0) 2021.08.31
*영주 : 소수서원*  (0) 2021.08.27
* 상주 맥문동 솔숲 * (2021.08.17)  (0) 2021.08.25
*안동 : 체화정 배롱나무 꽃. (2번째 방문)*  (0) 2021.08.24

 

*선비 精神발상지 유네스코 世界遺産 영주 소수서원*

 

 

*紹修書院 (소수서원)*

# 榮州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最初의 賜額(사액) 서원으로 조선 중종 37년(1542년) 풍기군수 주세봉이 고려말의 儒學者이며

성리학자이신 회헌 안향선생이 태어나 자란 이곳에 그분을 기리고자 백운동 서원을 建立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퇴계 이황 선생이 풍기郡守로 부임하여 조정에 建議. "紹修書院" 이란 사액을 받게 되었다. 사액서원은 임금으로부터

책. 토지. 노비를 下賜받고 면역의 特權을 가진 서원을 일컫는다. 경내에는 강학당. 장서각. 일신재. 직방재. 학구재

등의 옛 건물이 있으며 國寶 제111 호인 회원 초상과 보물 5점 등 많은 遺物이 소장되어 있다 #

 

 

*소수서원 매표소*

 

 

 

 

 

 

 

 

 

 

 

*당간지주*

 

 

 

 

 

*취한대로 가는 징검다리*

 

 

*翠寒臺 (취한대)*

# 취한대는 自然을 벗하며 詩를 짓고 學文을 토론하던 곳이며. 退溪 李滉 (퇴계 이황)이 攄를 닦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

 

 

 

 

 

*敬字 바위*

# 周世鵬 (주세붕)이 바위에 새겨 남긴 敬字. 경자는 선비의 덕목을 나타낸 글자로

공경과 근신의 자세로 학문에 집중한다는 의미이다 # 

 

 

 

 

 

*소수서원 은행나무*

 

 

*景濂亭 (경렴정)*

# 경렴정은 소수서원의 대표적 유식 공간으로 院生들이 詩를 짓고 學文을  토론하던 亭子이며.

중종 38년 (1543년)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만들면서 함께 세웠다 #

 

 

 

 

 

 

 

*경렴정 내부*

 

 

*서원경내로 들어가는 志道門 (지도문) *

 

 

*講學堂 (강학당) 보물 제403호*

# 강학당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儒生들이 모여서 講議를 듣던 곳이며. 현판에 걸린 白雲洞은 서원의 처음 이름이다*

 

 

*강학당 내부*

 

 

 

 

 

 

 

 

*제향영역의 문성공묘 (보물 제1402호)*

# 晦軒 安珦 先生 (1243~1306년) 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安輔 (1302~1357년)와 謹齋 安軸.(1287~1348)

愼齋 朱世鵬 (1495~1554년)을 함께 모시고 每年음력 3월 9월 初丁日에 祭享하고 있다*

 

 

 

 

 

*藏書閣 (장서각)*

 

 

 

 

 

*典祀廳 (전사청)*

 

 

 

 

 

 

 

 

*日新齋 (일신재)*

 

 

*直方齋 (직방재)*

 

 

 

 

 

*學求齋 (학구재)*

 

 

 

 

 

 

 

 

 

 

 

 

 

 

*影情閣 (영정각)*

 

 

*좌측. 晦庵 朱子 (회암 주자).  # 현인의 학문을 집대성한 주자의 초상 #

우측. 晦軒 安珦 (회헌 안향). 孔子. 朱子를 조종으로 삼아 동방 성리학을 집대성한 고려의 安子로 불리는 안향선생 초상이다* 

 

 

*좌측 愼齋 周世鵬 (신재 주세붕) # 最初 사액서원. 소수서원 창건자 #

우측 漢陰 李德馨 (한음 이덕형) # 관포지교를 나눈 오성과 한음의 장본인 #

 

 

*좌측 眉叟 許穆 先生 (미수 허목) 초상 # 조선 후기의 文臣 및 儒學者이자 歷史家 #

*우측 梧里 李元翼 (오리 이원익) 초상 # 忠武功 李舜臣을 살려낸 任辰倭亂 당시 領議政겸 도체찰사 #

 

 

 

 

 

 

 

 

 

 

 

*史料館 (사료관)*

 

 

 

 

 

 

 

 

 

 

 

 

 

 

 

 

 

 

 

 

*紹修書院에서 공부한 사람들*

# 우리나라 最初의 사액서원답게 이름만 들어도 今方 알 수 있는 人材를 많이 배출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퇴계 이황의 제자들이거나

퇴계 이황의 學脈과 연관이 있다. 소수서원에서 학문을 닦은 사람들의 名部인 入院錄에는 "월천 조목". "초간 권문해".

"약포 정탁". "백암 김륵". 학봉 김성일". "성재 금난수". 격암 남사고". 당대의 名臣. 儒士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퇴계 이황의

풍기군수 부임을 前後하여 스스럼없이 師承 관계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소수서원은 壬辰倭亂1592~1598. 丙子胡亂

1636~1637 등 나라의 큰 변고가 있었던 時期 외에는 꾸준히 원생을 敎育시켜 1888년 마지막 입원 생을 받을 때까지 4000여 명이

넘는 제자를 배출시켜 인재양성과 성리학 發展의 요람이었다*

 

 

 

 

 

 

 

*서원옆 연못*

 

 

*서원 해설사의 강의을 듣고 있는 방문객들*

 

 

 

 

 

 

*절정에 이른 맥문동 솔숲의 보랏빛 향연*

 

 

 

*친구와 영주 여행가는 길에 세번째 들려본 상주 맥문동 솔숲 절정에 이른 맥문동 솔숲을 다시한번 담아본다*

 

 

 

 

 

 

 

 

 

 

 

*사진 모델이 되어준 친구*

 

 

 

 

 

 

 

 

 

 

 

 

 

 

 

 

 

 

 

 

 

 

 

 

 

 

 

 

 

 

 

 

 

 

 

 

 

 

 

 

 

 

 

 

 

 

 

 

 

 

*유형 文化財에서 國家 寶物로 깨어난 안동 체화정*

 

 

 

*棣華亭* (체화정)*

 

# 안동 체화정은 안동시 풍산읍 상리 2리에 있는 朝鮮時代의 亭子 建築物이다. 경북의 유형 文化財 20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대한민국 寶物제2051호로 지정되었으며. 조선 영조 37년(1761년)에 진사 만포 이민적이 세운 정자로 學文을 닦던 곳이다.

그 후 순조(1800~1834) 때 國家에서 忠臣.孝子.烈女를 기리기 위해 마을에 정문을 세우는 旌閭를 받은 이한오선생이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孝道하던 곳이기도 하며. 이민적 先生이 그의 兄인 옥봉 이민정 선생과 함께 살면서 友愛를 다지던 장소로 有名한데.

이로 보아 정자 앞 연못의 이름을 棣華池라 지은 것으로. 棣華란 兄弟間의 화목과 우애를 상징하는 것으로 시경에서 그 意味를 따왔다. 연못에는 삼신산을 상징하는 세 개의 섬인 방장. 봉래. 영주가 있고. 湛樂齋의 현판은 조선 제일의 화가 김홍도가 썼다#

 

 

 

 

 

*안동. 영주 여행길에 다시 들려본 체화정 배롱나무꽃은 2주 전에 비해 더 화려 하게 피어있다*

 

 

 

 

 

*棣華亭 현판 글씨는 安東 出身 學者. 유정원이 썼다고 하며. 湛樂齋 현판 글씨는 김홍도가 썼다 *

 

 

*체화정 내부 모습. 보호를 위하여 정자에 올라가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정자에서 보는 연못의 三神山을 象徵하는 人工섬. 방장. 봉래. 영주.*

 

 

 

 

 

 

 

 

*모델이 되어준 친구*

 

 

 

 

 

 

 

 

 

 

 

 

 

 

 

 

 

 

 

 

 

 

 

 

 

 

 

 

 

*정자 앞 연못의 노랑어리 연*

 

 

 

 

 

*옛 선비의 傳統과 그리운 故鄕 마을의 정취가 살아 숨 쉬는

아름다운 고장 영주 무섬마을*

 

 

*영주 무섬마을은 태백산에서 이어지는 내성천과 소백산에서 흐르는 서천이 만나 山과 水가 태극모양으로 감싸듯 휘감아

돌아나가는 形世가 마치 물 위에 떠있는 섬과 같다고 하여 무섬으로 불리고 있다. 風水지리적으로 전형적인 背山臨水

형태이며 물 위에 뜬 蓮꽃 같다 하여 연화 부수형. 梅花꽃이 땅에 떨어진 형국의 매화 낙지형으로 선비의 기상을 나타내고

山과 내가 이루어 낸 陰陽의 조화는 땅과 물의 기운을 고스란히 받아 들리는 名堂이며 속세를 떠나 處士的인 삶을

살다 간 시골 선비의 소탈한 생활방식과 단아한 채취가 물씬 풍기는 한국 특유의 전통을 잘 대표해 주는 곳이다*

  

  

 

 

 

 

 

 

*무섬마을 방문객들에게 햇볕 가리게 양산을 빌려주는 곳*

 

 

*무섬마을 대표적인 文化財인  海愚堂 古宅*

# 海愚堂 고택은 고종 16년 의금부도사를 지낸 해우당 김락풍이 중수한 집으로 경북 민속자료 第92號로 지정되어있다*

 

 

 

 

 

 

 

 

 

 

 

*해우당 고택을 돌아보고 곧바로 무섬 강가로 향한다*

 

 

*淸退亭 (청퇴정)*

 

 

 

 

 

 

 

 

 

 

 

 

 

 

*30年 前까지 마을과 外部를 이어주던 有一한 通路 였던 외나무다리가 마을의 대표 상징물로써 歷史를 보여주고 있다*

 

 

 

 

 

 

 

 

 

 

 

 

 

 

 

 

 

 

 

 

 

 

 

 

 

 

 

 

 

 

 

 

 

 

 

 

 

 

 

 

 

 

 

 

 

 

 

 

 

 

 

 

 

*마을 내 古宅과 정자들이 옛 모습 그대로 保存되어 있는 마을을 돌아본다* 

 

 

 

 

 

*晩竹齋 古宅*

#晩竹齋 고택은 병자호란 후 출사를 단념하고 忠絶과 隱遁군자의 선비정신으로 처음 무섬마을에 들어와 居住한 박수가 1666년

(朝鮮 현종 7년) 지은 무섬마을 入鄕 시조의 宗宅으로 무섬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古宅으로 경상북도 民俗資料 第 93號이다#

  

 

 

 

 

 

 

 

 

 

 

 

 

 

 

 

 

 

 

 

*撫松軒 宗宅 (무송헌 종택)

 

 

 

 

 

 

 

 

 

 

 

 

 

 

 

 

 

 

 

 

 

 

 

 

 

 

 

 

 

 

 

 

 

 

 

 

 

 

 

*상주 맥문동 솔숲 보랏빛 융단 펼치다*

 

 

 

*한 주전 안동 여행 때 들렸던. 상주 맥문동 솔숲 오늘은 솔숲 인근에 있는 문경 道藏山 산행을 하려 왔다가

다시 찾은 맥문동 솔숲. 지난주보다 확연하게 많은 꽃을 피운 맥문동이 보랏빛 융단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보다는 못하지만 이 정도면 충분히 봐줄 만하다*

 

 

 

 

 

 

 

 

 

 

 

 

 

 

 

 

 

 

 

 

 

 

 

 

 

 

 

 

 

 

 

 

 

 

 

 

 

 

 

 

 

 

 

 

 

 

 

 

*白頭大幹 자락에 숨은 照望좋은 名山 道藏山 (도장산)*

 

 

*道藏山 (도장산 827.9m)은 경북 서북부 白頭大幹 자락에 숨은 名山으로 택리지에서 靑華山 (청화산)과

俗離山 (속리산) 사이에 景致좋고 사람 살기 그만인 복지 있다. 는 문구가 있으며 속리산. 시루봉

전체를 한눈에 照望 할 수 있고. 전통寺刹 심원사와 폭포. 그리고 쌍용계곡의 秘境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산행코스 : 용추교주차장~쌍용폭포갈림길~706봉~전망바위~795봉~도장산~갈림길~724봉~헬기장 (742m)~

암릉~심원사~심원 폭포~쌍용 폭포~용추교 주차장* [ 산행거리 9. 18km - 4시간 57분 ( 운동시간 ) ]

 

 

*용추교 소형 주차장의 도장산 登山 안내도*

 

 

*쌍용계곡의 등로의 기암*

 

 

 

 

 

 

 

 

 

 

 

 

 

 

*쌍용계곡*

 

 

*오랜 가뭄으로 쌍용 계곡의 물은 그리 많지 않다*

 

 

 

 

 

*쌍용 폭포와 계곡은 산행 후 둘려 보기로 하고 심원사 방향으로 올라간다*

 

 

 

 

 

 

 

 

*706봉을 오르며 보는 헬기장이 있는 하산할 능선의 742봉*

 

 

 

 

 

*742봉 넘어로 속리산이 조망된다*

 

 

*백악산도뚜렸하게 보이고~*

 

 

*시루봉과 연엽산* 

 

 

*당겨서 찍은 시루봉*

 

 

*잔대*

 

 

*참취*

 

 

 

 

 

*고도를 높이자 속리산 조금더 보인다*

 

 

 

 

 

*795봉을 오르는 바위구간*

 

 

 

 

 

 

 

 

*지나온 795봉*

 

 

*좌측 백두대간 청화산. 가운데 시루봉. 우측 연엽산*

 

 

 

 

 

 

 

 

 

 

 

 

 

 

 

 

 

 

 

 

*도장산 정상에서 당겨서 찍은 속리산 문장대와 칠형제봉*

 

 

*속리산 정상인 천왕봉과 입석대. 신선대*

 

 

*백악산*

 

 

*원추리*

 

 

 

 

 

*우복 동천 갈림길에서 헬기장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우복 동천 하산 능선*

 

 

 

 

 

 

 

 

 

 

 

 

 

 

 

 

 

 

 

 

 

 

 

 

 

 

 

 

 

 

 

 

 

 

 

*산행을 진행할 헬기장 봉우리*

 

 

 

 

 

*속리산과 상주 화북면 소제지*

 

 

*오늘 걸어온 706봉. 795봉과 도장산 정상*

 

 

*도장산 정상과 지나온 724봉*

 

 

*헬기장*

 

 

*헬기장에서 심원사 방향으로 내려간다*

 

 

 

 

 

 

 

 

 

 

 

*암릉 조망터에서 보는 청화산과 시루봉 

 

 

 

 

 

 

 

 

 

 

 

 

 

 

*심원사 갈림길*

 

 

*심원사*

 

 

 

 

 

 

 

 

*심원 폭포*

 

 

 

 

 

 

 

 

 

 

 

 

 

 

 

 

 

 

 

 

 

 

 

 

 

 

 

 

 

 

 

 

*쌍용 폭포*

 

 

 

 

 

 

 

 

 

 

 

 

 

 

 

 

 

*산행을 시작했던 용추교 주차장으로 돌아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