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頭大幹 : 구왕봉~희양산~시루봉. 산행기 2部* 

 

 

 

 

 

 

 

 

 

 

 

 

*이만봉. 조령산. 방향*

 

 

 

 

 

 

 

 

 

 

 

 

 

 

*구왕봉*

 

 

 

 

 

 

 

 

 

 

 

 

 

 

 

 

 

 

 

 

 

 

 

 

 

 

 

 

 

 

 

 

 

 

 

 

 

 

 

 

 

 

 

 

 

 

 

*희양산 정상을 찍고 돌아온 갈림길 삼거리. 청색 구왕봉. 붉은색 시루봉 방향*

 

 

*시루봉 방향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城壁구간*

 

 

 *성벽 은티마을. 봉암사. 갈림길. 봉암사 방향은 목책 펜스가 있다*

 

 

 

 

 

 

 

 

*이만봉으로 이어진 백두대간 줄기*

 

 

 

 

 

*동자꽃*

 

 

 

 

 

 

 

 

 

 

 

 

 

 

*이만봉 갈림길 이정목*

 

 

*시루봉. 진촌리 갈림길 이정목. 이곳에서 시루봉 까지는 3백 미터의 2배. 6미터는 더 가야 한다*

 

 

*이만봉 갈림길 주변의 盆地形 濕地지역 野生花가 많은 곳으로. 지난여름 솔나리. 등 야생화 탐방을 하기 위해 왔던 곳이다*

 

 

 

 

 

*멧돼지가 파놓은 흔적*

 

 

*진촌리 방향 하산길 갈림길*

 

 

*시루봉은 백두대간의 희양산과 이만봉 사이에서 이두 산의 威儼에 눌려 北쪽으로 물러나 앉은 것 같은 산세로 그것이 오히려

정상에의 眺望이 더 시원함을 맛보게 해 주는 산이다. 시루봉 정상은 白頭大幹을 벗어나 있으나 山勢는 당당하고 넓다.

백두대간이 시루봉 밑에서 二萬峰으로 이어지는 넓은 盆地를 이루고 있는데. 野生花가 至賤을 이루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시루봉에서 보는 멋진 조망*

 

 

 

 

 

*신선봉. 마패봉. 신선암봉. 조령산 방향*

 

 

*좌측. 신선암봉. 조령산. 우측 멀리 주흘산*

 

 

*당겨 찍은 주흘산과 주흘 영봉*

 

 

*당겨서 찍은 신선암봉*

 

 

*정상에서 온 길을 뒤 돌아가 분지에서 하산하는 편안한 길이 있지만. 거리가 짧은 가파른 길을 택하여 내려간다*  

 

 

 

 

 

*가파른 너덜지대 하산길

 

 

*사진에 보이는 것과는 달리 매우 가파른 길을 한참을 내려가야 한다*

 

 

 

 

 

*白頭大幹길 이만봉 盆地形 갈림길에서 내려오는 등산로와 만나는 지점*

 

 

 

 

 

 

 

 

 

 

 

 

 

 

 

 

 

 

 

 

*은티마을에서 당겨서 찍은 희양산*

 

 

*희양산에서~시루봉까지의 오늘 산행한 능선과 봉우리들*

 

 

*진촌마을에서 보는 시루봉*

 

 

 

*巨大한 岩峰들이 열두 판 蓮잎처럼 펼쳐진 曦陽山*

 

 

 

*曦陽山 은 문경과 괴산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문경새재에서 속리산 쪽으로 白頭大幹의 줄기에 우뚝 솟은 신령스러운 岩峰이다.

옛날 사람들은 희양산을 보고 갑옷을 입은 武士가 말을 타고 앞으로 나오는 형상이라고 했다. 지증대사가 희양산 한복판

계곡으로 들어가 地勢를 살피니 산은 四方에 屛風처럼 둘러져 있으니 마치 鳳凰의 날개가 구름을 치며 올라가는 듯하고 계곡물은

백 겹으로 띠처럼 되어있으니. 龍의 허리가 돌에 엎드려 있는 듯하였다고 감탄한 산이라고 전하며. 태백산을 일으켰던

白頭大幹 줄기는 이곳에서 西쪽으로 휘어지면서 이 일대가 가장 험준한 山勢를 이뤄 놓았고. 이들 산. 가운데 가장 빼어난 산이 바로

희양산이다. 南쪽 자락에는 陰歷 초파일을 단 하루만을 일반인들에게 開方하는 조계종 특별 도량인 鳳巖寺가 있다*

 

 

*산행코스 : 은티마을~호리 골재 갈림길~출입통제 능선~조망바위~암릉~구왕봉~암릉 로프 구간~지름티재~암벽 구간~시루봉 갈림길~희양산~시루봉 갈림길~성터~이만봉 갈림길~시루봉~은티마을* [산행거리 12.68km - 6시간 17분 (운동시간) ]

 

 

*은티마을 주차장의 시루봉. 희양산. 구왕봉. 악휘봉 안내판* 

 

 

 

 

 

*은티마을 유래碑*

 

 

*은티마을 男根石 *

#은티마을은 女宮穴에 자리하고 있어 松林에 男根을 상징하는 남근석을 세우고

매년 정월 보름날 동고제를 올리는 풍습을 傳承하고 있다고 한다# 

 

 

 

 

 

*은티마을에서 보는 마분봉과 악휘봉 방향*

 

 

 

 

 

*호리 골재 갈림길에서 안내판 뒤편 통제구간으로 올라간다*

 

 

*능선길 조망 바위에서 보는 마분봉. 주치봉. 악휘봉. 방향*

 

 

 

 

 

*선바위*

 

 

 

 

 

 

 

 

*마당바위*

 

 

 

 

 

 

 

 

*마당바위에서 보는 잠시 후 올라갈 조망바위*

 

 

*조망터 바위에서 보는 장성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능선*

 

 

*조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마당바위*

 

 

 

 

 

*주치봉. 장성봉. 악휘봉. 방향*

 

 

 

 

 

*호리 골재에서 올라오는 등산로와 합류지점. 붉은색 방향으로 올라왔다*

 

 

 

 

 

*구왕봉 정상의 소금단지*

#그 遺來를 보면 희양산 아래 봉암사 創建 說話에 의하면 신라 헌강왕 5년 (879) 지증대사가 심충이라는 사람의 勸誘로 희양산 자락에 봉암사 자리를 결정하고 그 자리에 있던 큰 못(潭)을 메울 때 龍이 살고 있어서. 지증대사가 신통력으로 그 龍을 九龍峰으로 

쫓았다는 이야기가 傳해지는데. 이후 구룡봉을 九王峰이라 이름 짓고. 鳳巖寺에서 每年 소금단지를 묻어 氣를 눌러 둔다고 전한다.#

 

 

 

 

 

 

 

*구왕봉 조망터에서 보는 희양산*

 

 

 

 

 

*희양산에서 이만봉으로 이어진 백두대간 능선* 

 

 

 

 

 

*지름티재로 내려가는 로프 구간*

 

 

 

 

 

 

 

 

 

 

 

 

 

 

 

 

 

 

 

 

 

 

 

 

 

 

 

 

 

 

 

 

 

 

 

 

 

 

 

 

 

 

 

 

 

 

 

*위험 구간*

 

 

 

 

 

 

 

 

 

 

 

 

 

 

*지름티재*

 

 

*희양산 남쪽 봉암사로 내려갈 수 있는 지름티재. 사월 초파일 단 하루 목책을 개방한다*

 

 

 

 

 

 

 

 

 

 

 

 

 

 

*희양산 오름길 전망 바위에서 보는 구왕봉 오름길 능선*

 

 

*조금 前 내려온 九王峰*

 

 

 

 

 

 

 

 

 

 

 

 

 

 

*오름길 등산로를 따라 설치된 봉암사 목책*

 

 

*계란 버섯*

 

 

*밧줄 구간 시작*

 

 

 

 

 

 

 

 

 

 

 

 

 

 

 

 

 

 

 

 

*희양산 오름길 구간 중 가장 난이도가 있는 로프 구간*

 

 

 

 

 

 

 

 

 

 

 

*白頭大幹 능선길 시루봉 갈림길*

 

 

 

 

 

 

 

 

*능선에서 보는 구왕봉과 뒤편으로 애기암봉. 장성봉 방향*

 

 

 

 

 

 

 

 

 

 

 

 

 

 

 

 

 

 

 

 

 

 

 

 

 

 

 

 

 

 

 

 

 

 

 

 

 

 

 

 

 

 

 

 

 

 

# 희양산 산행기는 2부에서 계속된다 #

 

*龍의 몸집에 鳳凰의 머리를 얹은듯한. 龍鳳山* 

 

 

 

*龍鳳山은 높이 381m의 큰 산은 아니지만. 山 全體가 奇妙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金剛山이라 불릴 만큼

아름답다. 어느 능선. 봉우리를 타고 오르더라도 산행하는 동안 數百 장의 山水畵를 보는듯 시시각각으로

風景이 바뀌는 것이 용봉산의 특징이다. 이 산의 이름은 龍의 몸집에 鳳凰의 머리을 얹은 듯한 形狀인데서 遺來했다.

 

 

*산행코스 : 용봉산 주차장~구룡교~사자바위능선~노적봉~용봉산~노적봉~악귀봉~마애불~용바위~내남바위~

병풍바위~말머리 바위~구룡교~용봉산 주차장* [ 산행거리 5.95km - 3시간 43분 (운동시간) ]  

 

 

 

 

 

*매표소 九龍橋를 지나 左측 통제구간인 사자바위능선으로 오른다*      

 

 

 

 

 

*사자바위 능선 기암*

 

 

 

 

 

            *좌측. 龍바위. 우측. 屛風바위*

 

 

 

 

 

 

 

 

 

 

 

 

 

 

*가지 각색의 기암 바위가 즐비한 사자바위 능선*

 

 

 

 

 

 

 

 

 

 

 

              *左. 노적봉과 右. 악귀봉*          

 

 

 

 

 

*당겨서 찍은 악귀봉*

 

 

 

 

 

 

 

 

*석문바위*

 

 

*기암*

 

 

 

 

 

 

 

 

*최영 장군 활터 봉우리*

 

 

 

 

 

*올라온 암릉 능선*

 

 


*사자바위*


*노적봉에서 내려다 보는 조금 전 올라온 사자바위 능선*

 

 

*노적봉*

 

 

*용봉산 정상을 오르면서 볼아본 노적봉*

 

 

 

 

 

*악귀봉과 가야산*

 

 

 

 

 

*지나온 사자바위 능선*

 

 

 

 

 

 

 

 

*용봉산 정상에서 보는 가야산*

 

 

 

 

 

 

 

 

 

 

 

*용봉산 名物 옆으로 자라는 소나무*

 

 

 

 

 

*행운바위*

 

 

 

 

 

 

 

 

 

 

 

*지나온 노적봉과 용봉산 정상 방향*

 

 

 

 

 

*두꺼비 바위*

 

 

 

 

 

 

 

 

*물개 바위*

 

 

 

 

 

 

 

 

*악귀봉에서 보는 용바위~오형제 바위~수암산으로 어어진 주능선*

 

 

 

 

 

*삽살개 바위*

 

 

 

 

 

 

 

 

*마애여래입상*

 

 

 

 

 

 

 

 

*마애불 조망바위에서 보는 병풍바위*

 

 

*용바위*

 

 

 

 

 

 

 

 

*전망데크*

 

 

*전망데크에서 보는 수암산 방향*

 

 

*내남바위*

 

 

*고인돌 바위*

 

 

 

 

 

 

 

 

 

 

 

*충남도청이 있는 내포 신도시*

 

 

 

 

 

 

 

 

 

 

 

 

 

 

*병풍 바위에서 보는 용바위*

 

 

*의자바위*

 

 

 

 

 

 

 

 

 

 

 

*코뿔소 바위*

 

 

 

 

 

 

 

 

 

 

 

*말머리 바위*

 

 

 

 

 

 

 

 

 

 

 

 

 

 

 

*오늘 산행을 시작했던 구룡교로 내려와 용봉산 주차장으로 돌아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기도와 修行의 寺刹. 고창 禪雲寺*

 

 

*도솔산 (선운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禪雲寺는 오랜 歷史와 自然景觀. 소중한 佛敎文化材들을 지니고 있어 사시사철

참배와 관광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으로. 新羅 진흥왕이 創建했다는 說과 백제의 위덕왕 24년(577)에

고승 檢旦선사가창건했다는 두 가지 說이 있으며. 절이름 禪雲寺는 검단스님은 오묘한 智慧의 경게인 구름 "雲"에 머무르면서

갈고 닦아 선정"禪"의 경지를 얻는다. 하여 절이름을 禪雲이라 지었다. 전한다*

 

 

 

 

*菟率山 禪雲寺 日柱門*

 

 

 

 

 

*송악. 천연기념물 제367호*

 

 

 

 

 

 

 

 

 

 

 

 

 

 

 

 

 

 

 

 

*萬歲樓*

 

 

 

 

 

 

 

 

 

 

 

*靈山殿*

 

 

 

 

 

 

 

 

*八相殿*

 

 

 

 

 

 

 

 

 

 

 

 

 

 

 

 

 

*大雄寶殿*

 

 

 

 

 

 

 

 

 

 

 

*極樂橋*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북 제1경 진남교반&고모산성 야경 *  (0) 2021.10.30
*논산 : 탑정호수 야경*  (0) 2021.09.26
*수원 : 화성 행궁*  (0) 2021.09.20
*고창 : 선운사 꽃무릇*  (0) 2021.09.17
*수원 : 노송공원 & 맥문동*  (0) 2021.09.16

 

*우아하고 장엄한 古宮의 정취와 색다른 운치 화성행궁*

 

 

 

*華城行宮은 孝誠이 지극했던 正祖大王이 아버지 장헌세자(사도세자)의 묘소를 현륭원(현재의 융릉)으로 옮기면서 수원 신도시를

建設하고 수원화성 城郭을 축조하면서 화성행궁을 건립했다. 화성행궁은 화성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조선 行宮 중 規貌나

機能에서 단연 으뜸으로 꼽힌다. 平常時에는 수원부 관아로 사용되다가 정조대왕 행차 시에는 華城行宮에서 머무르며. 진찬현 및

과거시험 등 여러 行事를 거행하였다 하며. 대장금. 이산. 왕의 남자. 구르미 그린 달빛 등에서 행궁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광장에서 보는 華城行宮*

 

 

 

 

 

* 新 豊 樓 *

# 新豊樓는 화성행궁의 正門으로 新豊이란 "임금님의 새로운 故鄕이란 뜻으로

정조대왕이 수원화성을 고향처럼 여긴다는 意味라 한다#

 

 

 

 

 

 

 

 

* 執事廳 (집사청) *

 

 

 

 

 

* 집사청 내부 *

 

 

* 보호수 *

 

 

*左翊門 (좌익문) *

# 新豊樓 (신풍루)와 中陽門 (중양문) 사이에 있는 문으로 左翊은 곁에서 돕는다는 뜻이다 # 

 

 

* 中陽門 (중양문) *

# 궁궐에 설치하는 三門 중. 행궁의 정전인 봉수당 앞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內三門으로 1790년 (정조 14)에 완성했다*

 

 

 

 

 

* 奉壽堂 (봉수당) *

 

 

* 景龍館 (경룡관) *

 

 

 

 

 

* 長樂堂 (장락당) *

# 長樂堂은 朝鮮 正祖 19년 (1795년) 혜경궁 洪氏의 回甲宴을 화성행궁에서 열면서 혜경궁 홍 씨가 머물 處所로

使用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며 정조는 중국 한나라의 고조가 어머니를 위해 장락궁을 지은 것을 본받아

어머니 혜경궁 홍 씨를 위해 장락당을 짓고 현판의 글씨를 써서 내리고 장락당과 봉수당은 연결되어 있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며 임금이 화성에 내려오면 머무는 처소로도 사용되었다 #    

 

 

 

 

 

* 행락 *

 

 

 

 

 

 

 

 

 

 

 

 

 

 

 

 

 

 

 

 

 

 

 

* 得中亭 (득중정) *

 

 

 

 

 

*득중정앞 보호수*

 

 

* 洛南軒 (낙남헌) *

# 정조대왕이 이곳에서 특별 과거시험과 양로연을 열었던 장소이다 #

 

 

 

 

 

 

 

 

 

 

 

 

 

 

* 典祀廳 (전사청) *

 

 

 

 

 

 

 

 

 

 

 

 

 

 

* 正殿.雲漢閣 (정전. 운한각. 보물 제2035호) *

# 운한각은 정조의 御眞 (어진. 임금의 얼굴을 그린 초상)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

 

 

 

 

 

 

 

 

* 영조대왕 御眞 (어진) *

 

 

 

 

 

* 華寧殿 (화령전 사적 제115호) *

# 화령전은 1891년 (순조 원년) 정조대왕의 뜻을 받들어 화성 행궁 옆에 세운 건물로

영전은 신위를 모신 사당과는 구별되는 건물이다 #

 

 

 

 

 

*御井 (어정) *

 

 

 

 

 

 

 

 

* 내포사로 올라가는 길 *

 

 

* 內舖舍 (내포사) *

# 내포사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行宮에 소식을 알리는 역할을 하던 軍事 施設이다 #

 

 

 

 

 

* 未老閑亭 (미노한정) *

 

 

 

 

 

 

 

 

 

 

 

 

 

 

 

 

 

 

 

 

*奉壽堂 (봉수당) *

# 봉수당은 華城 行宮의 正殿 건물이자 화성 유수부의 동헌 건물로 壯南軒이라고도 한다 #

 

 

 

 

 

 

 

 

 

 

 

 

 

 

 

 

 

 

 

 

 

 

 

 

 

 

 

 

 

 

* 維與宅 (유여택) *

# 유여택이란 "시경"에서 周나라의 岐山(기산)을 가리켜 하늘이 山을 만들고 주시니

居處하게 하였다는 故事를 引用해서 지은 이름이라 한다 # 

 

 

 

 

 

* 供宸樓 (공신루) 는 維與宅의 樓마루이다*

 

 

 

 

 

 

 

 

 

 

 

 

 

 

 

 

 

* 앙부일구*

 

 

 

 

 

 

 

 

* 南軍營 (남군영) *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산 : 탑정호수 야경*  (0) 2021.09.26
*고창 : 선운사*  (0) 2021.09.22
*고창 : 선운사 꽃무릇*  (0) 2021.09.17
*수원 : 노송공원 & 맥문동*  (0) 2021.09.16
*장항 : 송림 산림욕장 맥문동*  (0) 2021.09.12

 

*고창 禪雲寺 꽃무릇. 도솔천 물길 따라 붉은 꽃 群舞 펼치다*

 

 

 

* 꽃무릇*

#꽃무릇은 상사화와 혼돈한다. 석산이라고 하는 꽃무릇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붉은빛을 강하게 뛰며

잎은 꽃이 진 뒤에 나와서 꽃과 잎이 서로 볼 수 없는 특성은 비슷하며 그래서 잎도 없는 꽃대 위에서 꽃을

피우는 모습은 거의 같아서 나온 이야기며. 지역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정확한 명칭은 石蒜 (석산)이다#

 

 

*禪雲寺 일주문*

 

 

 

 

 

   

 

 

 

 

 

*매년 이맘때면 선운사 일원은 꽃무릇으로 장관을 이루고 있다. 홀로 서있는 꽃은 그리 예쁘진 않지만.

무리 지어 群落을 이루고 있는 꽃무릇은 지금 한창 선운사를 아름답게 물 드리고 있다* 

 

 

 

 

 

 

 

 

 

 

 

 

 

 

*만개한 꽃무릇이 마치 레드 카펫을 깔아놓은 듯하다*  

 

 

*제18회 禪雲山 꽃무릇과 함께하고 있는 詩畵展* 

 

 

 

 

 

 

 

 

*도솔천*

 

 

*도솔천 양쪽 주변에 만개한 꽃무릇*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 선운사*  (0) 2021.09.22
*수원 : 화성 행궁*  (0) 2021.09.20
*수원 : 노송공원 & 맥문동*  (0) 2021.09.16
*장항 : 송림 산림욕장 맥문동*  (0) 2021.09.12
*안동 : 도산서원 (陶山書院)*  (0) 2021.09.11

 

*여름꽃 맥문동 만개한 수원 老松地帶 공원* 

 

 

 

* 수원 老松지대는 遲遲臺碑 (지지대비)가 있는 지지대고개 정상에서부터 옛 京水間 國道를 따라 老松이 생장하는 약 5km의 지대이다. 朝鮮 正祖가 生父 莊獻世子 (장헌세자)의 園寢 (원침)인 顯隆園 (현륭원:지금의 隆陵 )의 植木官에게 內帑金 (내탕금) 千兩을

下賜 (하사)하여 이곳에 소나무 500주와 능수버들 40주를 심게 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一部의 老松만이保存되어 있다. 落落長松이

울창한 이 自然景觀은 正祖의 지극한 孝誠과 사도세자의 슬픔의 歷史를 함축하고 있어 길손을 멈추게 하는 곳이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 : 화성 행궁*  (0) 2021.09.20
*고창 : 선운사 꽃무릇*  (0) 2021.09.17
*장항 : 송림 산림욕장 맥문동*  (0) 2021.09.12
*안동 : 도산서원 (陶山書院)*  (0) 2021.09.11
*영주 : 부석사*  (0) 2021.09.06

  

*白頭大幹 탄항산 (월항상봉)*

 

 

 

*탄항산 (월항상봉)은 뾰족한 峰우리가 세 개가 나란히 서 있어 삼봉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山蔘이 많이 나는 산이라 해서

蔘峰이라 부르기도 한다. 산의 형세는 웅장하진 않으나. 奇岩 怪石과 아름드리 장송이 어우러진 암릉!

월악산. 주흘산. 부봉. 포암산. 신선봉. 등 주변 산들의 멋진 풍광을 산행길 내내 즐길 수 있는 白頭大幹 구간이다* 

 

  

*산행코스 : 미륵대원지~연아소나무~하늘재~모래산~고인돌바위~탄항산 (월항상봉)~월항재~칼바위암릉~

조망바위~선바위~미륵대원지* [ 산행거리 8.02km - 3시간 54분 (운동시간) ] 

 

 

*오늘 산행 출발지점인 미륵대원지*

 

 

 

 

 

 

 

 

*미륵대원지 터 *

 

 

*노랑 물봉선 *

 

 

 

 

 

 

 

 

*하늘재 방향으로 올라간다*

 

 

*나도송이풀*

 

 

*백자 가마터*

 

 

*하늘재 연리목. 친구나무*

 

 

 

 

 

* 연아 닮은 소나무 *

 

 

 

 

 

* 국립공원 하늘재 지킴터 *

 

 

*문경시에서 세운 계립령 유허비 *

 

 

*하늘재에서 탄항산 방향으로~*

 

 

* 하늘재에서 계단길을 30m 오르면 자리하고 있던 백두대간 하늘재 碑. 무슨 사연이 있는지

白頭大幹 하늘재 碑는 철거되고 서 있던 자리엔 잡초만 무성하다 * 

 

 

*2018년 8월 포암산 산행 때 찍은 사진*

 

 

 

 

 

 

 

 

*모래산 표식이 있는 이정목. 모래산 정상은 이정목 뒤편으로 20m 올라가면 있다*

 

 

* 모래산 정상 *

 

 

 

 

 

 

 

 

* 조망바위에서 보는 포암산과 멀리 월악산 *

 

 

 

 

 

* 단풍취 *

 

 

* 분취 *

 

 

 

 

 

 

 

 

 

 

 

 

 

 

 

 

 

* 고인돌 *

 

 

 

 

 

* 선바위 *

 

 

 

 

 

 

 

 

 

 

 

 

 

 

 

 

 

 

 

 

 

 

 

*조망터에서 보는 주흘산과 주흘영봉 *

 

 

 

 

 

 

 

 

* 白頭大幹 炭項山 (월항상봉) *

 

 

* 함께 산행하는 현주님 *

 

 

 

 

 

 

 

 

* 월항재 이정목 *  

 

 

* 기암 *

 

 

*탄항산과 지나온 능선 *

 

 

* 암릉구간 *

 

 

 

 

 

 

 

 

 

 

 

 

 

 

 

 

 

 

 

* 부봉방향 *

 

 

 

 

 

 

 

 

 

 

 

 

 

 

 

 

 

 

 

 

*탄항산 암릉구간에서 보는 월악산권의 멋진풍경*

 

 

* 박쥐봉 *

 

 

 

 

 

* 포암산 *

 

 

*당겨서 찍은 포암산 *

 

 

* 월악산 *

 

 

 

* 가까이 당겨서 찍은 월악산 *

 

 

* 마패봉과 신선봉 방향 *

 

 

 

 

 

 

 

 

 

 

 

 

 

 

 

 

 

 

 

 

 

 

 

 

 

 

 

 

 

 

 

 

 

 

 

 

 

 

 

 

 

 

 

 

 

 

 

 

 

 

 

 

 

 

 

 

 

 

 

 

 

 

 

 

 

 

 

 

 

 

 

 

 

 

 

 

 

 

 

 

 

 

 

 

 

 

 

 

 

 

 

 

 

 

 

 

 

 

 

 

 

* 미륵리 佛頭 *

 

 

 

 

 

* 충주 미륵대원지 삼층석탑 충북 유형 문홰 제

 

 

 

 

 

* 미륵대원지 원터 *

 

 

 

 

 

* 幢竿支柱 *

 

 

 

 

 

* 石造龜趺 *

 

 

 

 

 

* 충주 미륵대원지 사각石燈 충북 유형문화재 제315호 *

 

 

* 石燈 *

 

 

 

 

 

*미륵대원지 오층석탑 寶物 제 95호*

 

 

 

 

 

 

 

 

* 大雄殿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