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흘산 (7)
산님의산길여행

*문경. 봉명산 출렁다리* *문경 봉명산 출렁다리 위치는 문경읍 온천강변 1길 27 (카페 산 59-1) 이며. 신북천변 다리 아래에 무료 주차장이 있고. 간편한 복장과 운동화로 1시간 정도이면 돌아볼 수 있다* *문경 온천 조형물* *출렁다리로 오르는 입구의 봉명산 등산로 안내도* *출렁다리로 오르는 가파른 계단길* *백선* *觀山亭 (관산정)* *관산정에서 보는 문경시내와 주흘산* *어룡산 방향* *잣밭산 방향* *전망 쉼터* *출렁다리 전망대에서 보는 문경시내와 주흘산* *백화산 방향* *성주봉 방향 풍경* *조령산과 신선암봉 방향* *문경 봉명산 출렁다리* *진남교반과 오정산 방향* ..

*白頭大幹 구간 중 最高의 景觀을 자랑하는 문경. 釜峰* *釜峰 (962m)은 경북 문경읍과 충주 수안보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白頭大幹이 하늘재를 지나며. 부봉을 만들고. 조령까지 主陵線을 놓으면서 한 가지를 뻗어 주흘산을 만들었다. 문경새재길을 걷다 보면 조곡관 (제2관문) 주위에서 보이는 6개의 봉우리 중 우뚝 솟은 바위산이 부봉이며 6峰이라고도 한다* *산행코스 :조령산 휴양림~조령 제3관문~동화원~달매기골~동암 문~부봉삼거리~부봉 1봉~부봉 6봉~동화원~낙동강 발원지~책바위~조령산 휴양림* [ 산행거리 11. 32km - 5시간 12분 ( 운동시간 ) ] *오늘 산행 시작지점인 조령산 휴양림* *白頭大幹 鳥嶺 碑* *문경관문 안내 글판* *조령 제3 관문* *동화원 앞 釜..

*鳥領 5岳으로 손꼽히는 白頭大幹 포암산 (布巖山)* *布岩山 (962m) 은 鳥領 5岳으로 꼽히는 名山으로 인근의 월악산 (1094m). 주흘산(1108m). 조령산. 등과 조령 5악으로 월악산 國立公園 내 白頭大幹의 主陵線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늘재를 경계로 월항상봉 (탄항산)과 연결된다. 소백산을 中心部로 월악산. 주흘산.백화산과 더불어 妙한 山勢를 이루고 있다. 하늘재는 조령 관문이 뚫리기 前까지 한반도의 南北을 연결하는 중요한 交通路로서 역할이 지대했던 고개였다. 또한 포암산은 계곡과 능선 산행을 병행할 수 있는 특징과 주흘산. 월악산. 신선봉. 부봉. 북바위산. 박쥐봉등 월악산 국립공원의 주변 산들의 멋진 風景을 즐길 수 있는 산이다 *산행코스 : 미륵사지~하늘재~하늘샘~포암산~관음..

*奇岩과 名品松이 어우러진 할미봉&뽀족봉* *산행코스 : 연풍 레포츠공원~안터~연어 바위~연어봉~방아다리 바위~암릉( 세미 클라이밍)~신선봉~암릉~ 할미봉~뽀족봉~슬랩 구간~안터~연풍 레포츠공원* [ 산행거리 8.05 km - 4시간 15분 ( 운동시간 ) ] *신선봉에서 보는 용암봉. 북바위산. 박쥐봉. 넘어 만수 능선과. 월악산 방향* *조령산. 신선암봉. 깃대봉. 방향* *신선봉에서 이어진 마패봉. 넘어 주흘산. 주흘 영봉. 부봉. 방향* *내려와 돌아보는 신선봉* *세미 클라이밍 구간* *오늘 산행 구간 중 가장 난이도가 있는 암릉 로프 구간* *돌아온 방아다리* *할미봉으로 내려가는 로프구간* *귀상어 바위* *거리가 잘못 표기된 이정목* *수옥정 저수지 방향* *산행을 이어갈 할미봉* *할미바..

*중부 內陸의 泌景을 간직한 문경의 名山 성주봉과 운달산* *성주봉 (聖主峯. 911m)은 부봉(釜峰)과 더불어 문경 산꾼들이 聞慶내의 2代 암릉 산행지로 손꼽는 바위 名山이다. 부봉에 비하면 성주봉은 다소 외진 감이 있어 인적이 뜸한 산으로 암릉의 스릴 맛을 즐기기엔 적격인 산이다. *운달산 (雲達山)은 높이 1.097m의 산으로 용암산 (龍巖山)이라고도 한다. 白頭大幹 대미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문경 대간 (聞慶大幹)의 북단에 자리잡은 산으로 大美山에서 운달산과 단산을 거쳐 오정산으로 이어지는 문경대간 중에서 가장 높은 산이 운달산이다. 남서쪽으로 뻗어내는 백두대간을 한발 물러서서 바라보는 위치에 있는 小白山脈 중의 한 산으로 일명 냉골이라 불리는 아름다운 계곡과. 신라 588년 (진평왕 10)에..

기암괴석 암봉이 빼어난 조령산. 촛대바위. 신선암봉 *조령산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해발고도 1026m의 한강과 낙동강을 가르는 분수령이 되고 있는 산이다. 조령산에서 남쪽의 백화산 사이의 고개가 이화령. 북쪽의 미패봉 사이의 고개가 조령이고 그곳에 문경 서재라 불리는 조령 제3관문(조령관)이 위치한다. 이를 통해 연남 지방과 중부지방이 연결되어 교통의 요지였을 뿐 아니라. 험난 지세를 이용할 수 있어 군사상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현재 이 일대는 문경새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령산의 주능선 상에는 정상 북쪽으로 신선암봉과 치마바위봉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암봉과 암벽지대가 많으며. 능선 서편으로는 수옥폭포와 용송 골. 절골. 심기골 등 아름다운 계..

*이번 주가 휴가기간이지만 별다른 계획도 없고 해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산들 중에 未踏산행지나 다녀오자는 생각으로 지난주 갈모봉과 저울질하다. 산행거리가 길어 미루어 두었던 포암산&만수봉를 연계하는 코스로 나홀로 산행길~* *산행코스 ; 미륵사지~석탑~하늘재공원~하늘샘~포암산~북봉~관음재~마골치~만수봉 삼거리~만수봉~ 전망바위~철계산~만수교~만수휴계소~미륵사지* [산행거리 13,96km - 6시간 48분] *本來의 모습으로 復元공사 중인 미륵불상* *石燈* *미륵사 5層 석탑* *미륵리원터 뒤편 위쪽에 있는 3층 석탑* *미륵리 佛頭* *하늘재로 가는 등로* *멧돼지 머리 닮은 奇岩* *연아 닮은 소나무* *하늘재 도착* *하늘재 계립령 유허비* *白頭大幹 하늘재 표지석.하늘재에서 부봉 방향으로 계단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