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퇴계 이황 (3)
산님의산길여행

*퇴계 이황 先生이 後學들에게 道를 講意하던 명옥대 (鳴玉臺)* *鳴玉臺는 안동 봉정사 초입 숲 아담한 계곡에 자리 잡은 亭子이다. 안동출신 朝鮮中記 學者인 퇴계 이황선생이 10代 시설 봉정사에서 공부하면서. 자주 이곳에 와서 쉬었다는 기록을 직접 남긴 자리 라고 한다* *봉정사 초입 숲 길에 명옥대가 있다는 표지석* *창암정사 (蒼巖精舍)라 초서로 쓴 편액이 걸려있는 鳴玉臺는 퇴계 이황 선생이 즐겨 찾던 장소이자. 후학들에게 道를 講意하던 자리라고 한다. 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後學들이 세운 亭子라고 한다* *정면에서 보는 명옥대. 우측에 鳴玉臺. 좌측에 蒼巖精舍라 쓰인 편액이 걸려있다* *바위 右측에 鳴玉臺. 辛乃沃. 李宰. 文緯世. 尹剛中. 欽中.端..

*退溪先生의 가르침이 남아있는 韓國정신文化의 聖地 陶山書院* *陶山書院은 退溪 李滉 (이황 1501~1570)의 學文과 德行을 기리고 追慕하기 위해 1574년 (선조 7)에 지어진 書院으로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위치하고 있다. 서원의 建築物들은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졌으며. 퇴계의 品格과 學文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하고 있다.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면에서 볼 때 도산서당과 도산서원으로 구분되며. 陶山書堂은 退溪先生이 몸소 居處 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퇴계선생 사후 건립되어 추증된 祠堂과 書院이다. 도산서당은 1561년(명종 16)에 設立되었다. 退溪先生이 落鄕 後 學文硏究와 後進養成을 위해지었으며 서원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퇴계선생이 직접 설계하였다고..

*儒敎를 중심으로 한 儒學의 傳通을 체험할 수 있는 紹修博物館* *榮州 紹修 博物館**영주 소수박물관은 儒敎과 관련된 傳通文化 유산을 체계화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賜額書院으로 유교의 이상을 간직한 소수서원을 통하여 民族精神의 뿌리를 찾아가는 空間이다. 또한 영주의 貴重한 遺物과 遺跡을 체계적으로 保存. 展示함으로써 地易 문화의 活性化와 生動感 있는 歷史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中央. 周世鵬 先生의 道東曲이며. 左는. 安珦 先生의 題學宮. 右는. 孔子의 77대손이라는 공덕성이 보낸 讚文碑. 詩碑이다* *道東曲 詩碑*道東曲은 1541년(중종 36) 경 신재 周世鵬이 지은 景畿體歌이며.# 景畿體歌 (高麗中記 이후에 발생하여 16세기경까지 名脈이 이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