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암과 怪石의 전시장 예산 수암산 (秀岩山)*

 

 

 

수암산은 예산군 덕산면과 삽교읍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수암은 山 정상에 있는 수려한 岩峰에서 遺來한 地名이며.

"해동지도" 덕산에 수암산 (修庵山)으로 나오고 1872년의 地方地道 덕산에는 秀巖山으로 묘사되어 있다.

수암산은 가족과 함께 산행을 할 수 있을 만큼 산세 완만하며 산행 後 덕산온천에서 온천욕을 즐길 수 있도 있다 * 

 

*산행코스 : 덕산온천 수암산 주차장~석조보살입상~돌탑봉~수암산~할매바위~오형제바위~장군바위~연인바위~

용봉산 전망대~내남바위~내포사색길~구룡교~용봉산 주차장* [산행거리 8. 20km - 4시간 07분 (운동시간)]

 

 

*예산 덕산온천 주차장 위쪽. 수암산 산행 들머리에 산행을 시작한다*

 

 

*정상 방향 등산로 우측으로 석조보살입상을 보려 간다*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寶物 제508호)*

 

 

 

 

 

*수암산 등산로에는 벤치 쉼터와 안내 이정표가 일정한 간격으로 잘 설치되어 있다*

 

 

 

 

 

 

 

 

*예산 10景 을 알림판*  

 

 

*수암산성 터*

 

 

 

 

 

*수암산 정상 前 돌탑이 있는 쉼터*

 

 

 

 

 

*수암산 頂上*

 

 

 

 

 

*정상의 거북이 바위*

 

 

*거북이 바위의 說話*

 


*조망 바위에서 보는 풍차데크*


*전망바위*

 

 

*바위아래 寺刹 광륜사*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스마트님*

 

 

 

 

 

 

 

 

*풍차데크 전망대*

 

 

*2020년 9월 백패킹 때 사진*

 

 

*풍차 전망대에서 보는 예산 가야산 방향 풍경* 

 

 

*2020년 9월 이곳에서 담은 사진. 날씨에 따라 풍경이 너무나 다르다*

 

 

*할매바위*

 

 

*수암산 정상에 있는 거북이 바위와 傳說이 연결 지어진 할매바위*

 

 

 

 

 

 

 

 

*오 형제 바위*

 

 

 

 

 

 

 

 

*조망바위 보는 예산방향의 전경*

 

 

*괴이한 표정을 짓고 있는 奇岩*

 

 

*해골바위. 

 

 

*수암산은 奇岩 전시장이라 할 만큼 기이한 바위들이 많다*

 

 

 

 

 

*등산로 주변 철쭉도 어느새 끝물이다. 봄이 가고 있다는 증거이다*

 

 

*나무에 달려있는 꽃보다 떨어진 꽃이 더 많다*

 

 

*합장바위*

 

 

 

 

 

 

 

 

*산신령과 의자바위*

 

 

 

 

 

 

 

 

*將軍 바위*

 

 

 

 

 

 

 

 

 

 

 

 

 

 

 

 

 

 

 

 

*장군群*

 

 

*왕눈이 개구리 바위*

 

 

*충남도청이 있는 내포신도시와 산행을 이어갈 용봉산 방향*

 

 

 

 

 

 

 

 

 

 

 

 

 

 

 

 

 

 

 

 

 

 

 

 

 

 

*내려와 올려다보는 將君群*

 

 

 

 

 

 

 

 

*연인바위*

 

 

 

 

 

*가까이 닦아가 뒤편에서 보는 연인바위*

 

 

 

 

 

 

 

 

 

 

 

*충의사 갈림길*

 

 

 

 

 

 

 

 

 

 

 

 

 

*입석 기암*

 

 

 

 

 

 

 

 

*바위에 누군가 두고 간 인형이 있어서~*

 

 

 

 

 

 

 

 

 

 

 

*용봉산 전망대에서 보는 내포신도시*

 

 

 

 

 

 

 

 

 

 

 

*용바위*

 

 

 

 

 

*다른 방향에서 보는 용바위*

 

 

 

 

 

*내남바위( 또는.내님바위)*

 

 

 

 

 

*병풍바위 방향*

 

 

 

 

 

*내남바위 상단*

 

 

*바위群의 기암*

 

 

*바위 상단으로 올라오려면 좁은 바위사이로 올라와야 한다* 

 

 

 

 

 

*당겨서 찍은 병풍바위*

 

 

 

 

 

*뒤편에서 보는 내남바위*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내포신도시 방향으로 하산한다*

 

 

 

 

 

 

 

 

 

 

 

*병꽃. 내포 사색길 주변에는 여러 종류의 수목이 심어져 있다*

 

 

*내포 사색길을 걸어서 용봉산 병풍바위 오름길 입구까지 왔다*

 

 

 

 

 

*내포 사색길 코스 안내판*

 

 

 

 

 

*용봉산 구룡교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 기묘한 형상. 龍鳳山*

 

 

 

 

 

*산행코스 : 용봉산 주차장~매표소~용봉사~병풍바위~용바위~마애불~절고개~악귀봉~노적봉~용봉산 정상~투석봉~

용봉산~노적봉~사자바위 능선~사자바위~구룡교~주차장* [ 산행거리 7. 56km - 4시간 29분 ( 운동시간 ) ]

 

 

*조금 前 내려온 노적봉*

 

 

*노적봉의 立石*

 

 

 

 

 

*엄지 척 바위*

 

 

 

 

 

 

 

 

*행운바위*

 

 

 

 

 

*솟대 바위*

 

 

 

 

 

*용봉산의 寶物이라 불리는 옆으로 크는 松*

 

 

 

 

 

 

 

 

*노적봉에서 보는 악귀봉*

 

 

 

 

 

*노적봉 전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악귀봉. 315봉 (용바위봉) 병풍바위 방향*

 

 

 

 

 

 

 

 

 

 

 

 

 

 

 

 

 

 

 

 

 

 

 

 

 

 

 

 

 

 

 

 

*정상아래 조망터 바위*

 

 

*사자바위 능선과 홍성 내포 신도시*

 

 

 

 

 

 

 

 

 

*최영장군 활터 능선*

 

 

*전망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노적봉과 악귀봉. 좌측. 멀리 보이는 산은 덕숭산과 가야산이다*

 

 

 

 

 

 

 

 

*전망바위*

 

 

*최영장군 활터 갈림길*

 

 

*용봉산 정상 인증은 투석봉을 다녀와서 할 예정이다*

 

 

 

 

 

*용봉산 정상에서 보는 덕숭산. 가야산 방향*

 

 

*홍성읍과 멀리 남당항 방향*

 

 

*투석봉으로 가는 능선의 기암*

 

 

 

 

 

 

 

 

*투석봉 거북바위*

 

 

 

 

 

 

 

 

 

 

 

*투석봉에서 보는 최영장군 활터*

 

 

 

 

 

*투석봉에서 정상으로 돌아가며 보는 용봉산 정상*

 

 

 

 

 

*투석봉을 다녀오면서 정상에 들려 인증을 한다*

 

 

 

 

 

 

 

 

*용봉산 정상을 지키는 양이*

 

 

 

 

 

*최영장군 활터 갈림길*

 

 

 

 

 

 

 

 

*사자바위 능선으로 하산하기 위해 돌아온 노적봉*

 

 

*사자바위 능선의 기암*

 

 

*사자바위*

 

 

 

*사자바위*

 

 

*조금 전 내려온 노적봉*

 

 

 

 

 

*악귀봉* 

 

 

 

 

 

*사자바위의 선바위*

 

 

*얹힌바위*

 

 

 

 

 

 

 

 

 

 

 

*사자바위의 기암*

 

 

 

 

 

*사자 바위에서 보는 악귀봉*

 

 

*좌측부터 악귀봉. 315봉. 병풍바위*

 

 

 

 

 

 

 

 

*바위 전시장인 사자바위 능선에는 奇妙한 바위가 많다

 

 

 

 

 

 

 

 

 

 

 

 

 

 

 

 

 

 

 

 

 

 

 

 

 

 

 

 

 

*노적봉에서 내려온 사자바위 능선*

 

 

 

 

 

 

 

 

*怪異하게 생긴 바위*

 

 

 

 

 

 

 

 

 

 

 

 

 

 

 

 

 

 

 

 

*고인돌 모양의 바위*

 

 

*山城 터

 

 

*옛 통제구간 前의 표지석*

 

 

*出禁구간을 알리는 나무펜스*

 

 

*병풍바위*

 

 

 

 

 

 

 

 

 

 

*기암 괴석 전시장. 충남의 금강산 홍성 용봉산 (龍鳳山)*

 

 

 

*용봉산은 높이 381m로 큰 산은 아니지만 山 全體가 奇妙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金剛山이라 불릴만큼 아름답다.

정상으로 향하는 산행길 내내 수백장의 한국畵를 보는듯 각양 각색으로 풍경이 바뀌는것이 용봉산의 특징이다.

山의 이름은 龍의 몸집에 鳳凰의 머리를 얹은듯한 形狀인데서 遺來했으며. 古刹인 용봉사와 마애석불. 탱화등 문화 유적이 있다*

 

 

*산행코스 : 용봉산 주차장~매표소~말머리바위~용봉사~병풍바위~내남바위~315봉~용바위~마애불~절고개~악귀봉~

노적봉~용봉산~투석봉~노적봉~사자바위능선~구룡교~주차장* [ 산행거리 7. 56km - 4시간 29분 (운동시간) ]

 

 

*주차장 옆 자동차 극장에서 보는 오늘 산행할 용봉산*

 

 

*병풍바위 능선 방향*

 

 

*구룡교 앞 산행안내도*

 

 

*우측 병풍바위 능선으로 올라간다*

 

 

 

 

 

 

 

 

*전망바위 암릉으로 오른다*

 

 

 

 

 

*전망바위에서 보는 용봉산 주능선*

 

 

 

 

 

 

 

 

 

 

 

 

 

 

*마당바위*

 

 

 

 

 

 

 

 

 

 

 

 

 

 

 

 

 

*말머리 바위*

 

 

*말머리 바위에서 보는 산행을 이어 갈 병풍바위 방향*

 

 

*당겨서 찍은 병풍 바위와 용바위*

 

 

*악귀봉과 노적봉 방향*

 

 

 

 

 

 

 

 

*병풍바위*

 

 

*코뿔소 코바위*

 

 

*병풍바위. 용봉사 갈림길*

 

 

*용봉사로 내려가며 올려다보는 병풍바위 암벽*

 

 

*병풍바위에서 4백 미터 내려오면 龍鳳寺가 있다* 

 

 

 

 

 

 

 

 

*용봉사지 지석조*

 

 

 

 

 

 

 

 

*지장전*

 

 

 

 

 

*지장전 내부*

 

 

 

 

 

 

 

 

*大雄殿*

 

 

*山神閣*

 

 

*용봉사를 둘려보고 다시 올라온 병풍바위*

 

 

 

 

 

 

 

 

 

 

 

*병풍바위 상단부로 오르는 계단길*

 

 

 

 

 

 

 

 

 

 

 

 

 

 

*의자바위*

 

 

 

 

 

 

 

 

*병풍바위에서 보는 용바위*

 

 

 

 

 

 

 

 

 

 

 

 

 

 

 

 

 

 

 

 

 

 

 

 

 

 

 

 

 

 

 

 

 

 

 

 

 

 

 

 

 

 

 

 

 

 

 

 

 

 

 

 

 

 

 

 

*내남바위*

 

 

 

 

 

*갈림길에서 내남바위. 내포 신도시. 방향으로~*   

 

 

*내남바위의 얹친바위*

 

 

 

 

 

*315봉 (전망테크)을 오르며 내려다 보는 내남바위*

 

 

 

 

 

*315봉의 전망테크*

 

 

 

 

 

*충남도청 내포 신도시*

 

 

*수암산으로 이어진 능선과 과 덕산온천 방향*

 

 

 

 

 

*용바위*

 

 

 

 

 

 

 

 

*용바위의 다른모습*

 

 

 

 

 

 

 

 

*마애불 뒤편 전망 바위에서 보는 용바위*

 

 

*병풍 바위*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절고개 쉼터. (임간휴게소)* 

 

 

 

 

 

 

 

 

*악귀봉을 오르며 조망 바위에서 보는 지나온 병풍바위와 용바위 방향*

 

 

 

 

 

 

 

 

 

 

 

 

 

 

*삽살개 바위*

 

 

 

 

 

 

 

 

 

 

 

 

 

 

*둔리 저수지와 예산 덕숭산. 서산 가야산 방향*

 

 

 

 

 

 

 

 

 

 

 

*악귀봉에서 보는 덕숭산. 가야산. 방향*

 

 

 

 

 

*두꺼비 바위 전망대*

 

 

*두꺼비 바위와 지나온 능선과 수암산 방향*

 

 

 

 

 

 

 

 

 

 

 

 

 

 

 

 

 

 

 

 

 

 

 

 

 

 

 

 

 

 

 

 

 

 

 

 

 

 

 

 

 

*삼형제 바위*

 

 

 

*龍의 몸집에 鳳凰의 머리를 얹은듯한. 龍鳳山* 

 

 

 

*龍鳳山은 높이 381m의 큰 산은 아니지만. 山 全體가 奇妙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金剛山이라 불릴 만큼

아름답다. 어느 능선. 봉우리를 타고 오르더라도 산행하는 동안 數百 장의 山水畵를 보는듯 시시각각으로

風景이 바뀌는 것이 용봉산의 특징이다. 이 산의 이름은 龍의 몸집에 鳳凰의 머리을 얹은 듯한 形狀인데서 遺來했다.

 

 

*산행코스 : 용봉산 주차장~구룡교~사자바위능선~노적봉~용봉산~노적봉~악귀봉~마애불~용바위~내남바위~

병풍바위~말머리 바위~구룡교~용봉산 주차장* [ 산행거리 5.95km - 3시간 43분 (운동시간) ]  

 

 

 

 

 

*매표소 九龍橋를 지나 左측 통제구간인 사자바위능선으로 오른다*      

 

 

 

 

 

*사자바위 능선 기암*

 

 

 

 

 

            *좌측. 龍바위. 우측. 屛風바위*

 

 

 

 

 

 

 

 

 

 

 

 

 

 

*가지 각색의 기암 바위가 즐비한 사자바위 능선*

 

 

 

 

 

 

 

 

 

 

 

              *左. 노적봉과 右. 악귀봉*          

 

 

 

 

 

*당겨서 찍은 악귀봉*

 

 

 

 

 

 

 

 

*석문바위*

 

 

*기암*

 

 

 

 

 

 

 

 

*최영 장군 활터 봉우리*

 

 

 

 

 

*올라온 암릉 능선*

 

 


*사자바위*


*노적봉에서 내려다 보는 조금 전 올라온 사자바위 능선*

 

 

*노적봉*

 

 

*용봉산 정상을 오르면서 볼아본 노적봉*

 

 

 

 

 

*악귀봉과 가야산*

 

 

 

 

 

*지나온 사자바위 능선*

 

 

 

 

 

 

 

 

*용봉산 정상에서 보는 가야산*

 

 

 

 

 

 

 

 

 

 

 

*용봉산 名物 옆으로 자라는 소나무*

 

 

 

 

 

*행운바위*

 

 

 

 

 

 

 

 

 

 

 

*지나온 노적봉과 용봉산 정상 방향*

 

 

 

 

 

*두꺼비 바위*

 

 

 

 

 

 

 

 

*물개 바위*

 

 

 

 

 

 

 

 

*악귀봉에서 보는 용바위~오형제 바위~수암산으로 어어진 주능선*

 

 

 

 

 

*삽살개 바위*

 

 

 

 

 

 

 

 

*마애여래입상*

 

 

 

 

 

 

 

 

*마애불 조망바위에서 보는 병풍바위*

 

 

*용바위*

 

 

 

 

 

 

 

 

*전망데크*

 

 

*전망데크에서 보는 수암산 방향*

 

 

*내남바위*

 

 

*고인돌 바위*

 

 

 

 

 

 

 

 

 

 

 

*충남도청이 있는 내포 신도시*

 

 

 

 

 

 

 

 

 

 

 

 

 

 

*병풍 바위에서 보는 용바위*

 

 

*의자바위*

 

 

 

 

 

 

 

 

 

 

 

*코뿔소 바위*

 

 

 

 

 

 

 

 

 

 

 

*말머리 바위*

 

 

 

 

 

 

 

 

 

 

 

 

 

 

 

*오늘 산행을 시작했던 구룡교로 내려와 용봉산 주차장으로 돌아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白頭大幹 이만봉 산행 & 야생화 탐사*

 

 

*二萬峰은 괴산군 연풍면과 경북 문경시 가은읍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白華山과 羲陽山 사이 白頭大幹길에

우뚝 솟아있다. 희양산 (999m)과 시루봉 (914m) 이만봉이 正 三角形을 이루고 백두대간이 백화산을

지나면서 南쪽으로 뇌정산을 맺어놓고 이만봉. 시루봉을 지나 희양산으로 이어진다. 이만봉이란 산 이름은

옛날 임진왜란 이곳 산골짜기로 2만여 가구가 피난을 들어와 붙여진 이름이라는 傳說과 이만호라는

이름을 가진 兄弟가 이 산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생긴 이름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고 한다*

  

 

산행코스 : 분지 저수지~시루봉 갈림길~희양산 갈림길~963봉~도막 갈림길~용바위~마당바위~이만봉~마당바위~

용바위~도막 갈림길~희양산 갈림길~시루봉 갈림길~분지 저수지 [산행거리 7.93km - 4시간 49분 (운동시간) ]

 

 

*중부 내륙고속도로 아래 시루봉 방향 이정표*

 

 

*분지 저수지 아래 분지천*

 

 

*분지 저수지 제방*

 

 

 

 

 

 

 

 

*저수지에서 보는 조령산 줄기*

 

 

 

 

 

*시루봉 갈림길*

 

 

*말나리*

 

 

*오늘은 산행보다는 야생화 탐사에 중점을 두고 산행을 한다*

 

 

 

 

 

*속단*

 

 

 

 

 

 

 

 

*山水菊*

 

 

 

 

 

 

 

 

 

 

 

 

 

 

 

 

 

*좀꿩의다리*

 

 

*백두대간 희양산. 구왕봉 갈림길*

 

 

 

 

 

*오늘 처음 만난 솔나리*

 

 

*분지리 (도막) 갈림길*

 

 

*조망 바위에서 보는 희양산*

 

 

 

 

 

*이만봉으로 이어지는 햇볕이 잘 드는 바위길에 솔나리와 병아리난초가 자생하고 있지만.

탐방시기가 늦어 꽃은 지고 씨방이 맺혀가는 꽃들만이 있어 아쉬움이 크다*   

  

 

*병아리난초*

 

 

*지난번 탐사 때 찍은 병아리난초*

 

 

 

 

 

 

*용바위*

 

 

 

 

*조령산. 신선봉. 부봉. 방향*

 

 

 

 

 

 

 

 

 

 

 

 

 

 

 

 

 

 

 

 

*일월비비추. 꽃말: 신비한 사랑*

 

 

*당겨서 찍은 신선암봉과 부봉*

 

 

*주흘산과 주흘 영봉* 

 

 

 

 

 

*산행을 진행할 이만봉*

 

 

*좌측. 곰틀봉과 우측. 이만봉*

 

 

 

 

 

*오늘 함께 산행하는 써니 님*

 

 

 

 

 

*로프구간*

 

 

 

 

 

*참배암차스기 (토단삼)*

 

 

 

 

 

 

 

 

 

 

 

*솔나리와 은분취*

 

 

*산앵도나무 열매*

 

 

 

 

 

*병아리난초*

 

 

*여로*

 

 

*큰까치수염*

 

 

*산꿩의다리*

 

 

 

 

 

 

 

 

*큰까치수염*

 

 

 

 

 

 

 

 

*병조희풀*

 

 

 

 

 

 

 

 

 

 

 

*써니 님*

 

 

 

 

 

 

 

 

 

 

 

 

 

 

 

 

 

 

 

 

 

 

 

 

 

 

 

 

 

 

 

 

 

 

 

 

 

 

 

 

 

 

 

 

 

 

 

 

 

 

 

 

 

*용바위*

 

 

*회목나무꽃*

 

 

 

 

 

*山水菊*

 

 

*말나리*

 

 

*시루봉 갈림길*

 

 

 

 

 

*분지 저수지*

 

 

 

 

 

 

 

 

*산행을 시작했던 분지 저수지로 내려오면서 산행을 마친다*

 

 

 

*龍의 形狀과 봉황의 머리. 수석 전시장 충남의 금강산 龍鳳山*

 

 

 

*용봉산 (龍鳳山)은 큰 산은 아니지만 산 전체가 奇妙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金剛山이라 불릴 만큼

아름답다. 山頂까지 산행하는 동안 수백 장의 韓國畵를 보듯이 시각각으로 풍경이 바뀌는 것이 용봉산의

특징이다. 이 산의 이름은 龍의 몸집에 鳳凰의 머리를 얹은듯한 形狀인 데서 유래했다. 남방향 중턱과 서편 산록에

완만한 경사가 길게 펼쳐져 있고 요소요소에 소나무가 自然發生的으로 群落을 이루고 있으며 병풍바위.

용바위.등 절경과 백제 때 古刹인 용봉사와 보물 제355號인 마애 石佛을 비롯한 文化濟가 곳곳마다 산재한다* 

 

 

*산행코스 : 용봉산 주차장~휴양림~사자바위~노적봉 능선~노적봉~용봉산 (최고봉)~노적봉~악귀봉~마애불~

용바위~내남바위~병풍바위~구룡대~용봉산 주차장* [산행거리 8.65 km - 3시간 04분 ( 운동시간 ) ]

 

 

 

 

*휴양림 매표소를 지나 최영 장군 활터 방향 갈림길*

 

 

  *갈림길에서 사자 바위가 있는 능선으로~*

 

 

*出禁區間인 사자바위 岩陵線으로 노적봉을 오르는 능선 기암과 괴석이 즐비한 바위 전시장과 같다*

 

 

 

 

 

*사자 바위*

 

 

*오늘 함께 산행하는 라임님*

 

 

 

 

 

 

 

 

*올라가야 할 암봉*

 

 

 

 

 

 

 

 

 

 

 

*올라온 사자바위 능선*

 

 

 

 

 

 

 

 

 

 

 

 

 

 

 

 

 

 

 

 

*노적봉 정상*

 

 

 

 

 

 

 

 

*언쳐진 바위*

 

 

 

 

 

*기이한 모습의 기암*

 

 

 

 

 

 

 

 

 

 

 

 

 

 

 

 

 

*언친 바위가 있는 암봉*

 

 

 

 

 

*노적봉*

 

 

*오늘은 그동안 용봉산을 오를 때 와는 달리 산행을 하던 반대 방향으로 산행을 하기에

노적봉에서 용봉산 정상을 찍고 이곳으로 돌아온다*

 

 

*정상인증은 많은 산객들이 줄서서 기다리는 관계로 생략하고 노적봉으로 돌아간다*

 

 

*산행을 進行할 노적봉과 악귀봉 방향*

 

 

 

 

 

*용봉산의 명물 옆으로 크는 소나무*

 

 

 

 

 

 

 

 

*솟대 바위*

 

 

 

 

 

 

 

 

 

 

 

*악귀봉*

 

 

 

 

 

*두꺼비 바위*

 

 

*가야산 방향*

 

 

 

 

 

 

 

 

 

 

 

*삽살개 바위*

 

 

 

 

 

 

 

 

 

 

 

*병풍바위*

 

 

*용봉사 갈림길 쉼터에서 마애불 방향으로~*

 

 

 

 

 

 

 

 

*마애여래입상*

 

 

*마애여래입상 옆 모습*

 

 

*병풍바위*

 

 

 

 

 

*용바위 방향*

 

 

 

 

 

 

 

 

 

 

 

 

 

 

 

 

 

 

 

 

 

 

 

*용 바위*

 

 

*수암산 방향*

 

 

 

 

 

*잠시 후 올라갈 내남바위*

 

 

 

 

 

 

 

 

 

 

 

*내남 바위의 선돌*

 

 

*내남 바위*

 

 

 

 

 

 

 

 

 

 

 

 

 

 

 

 

 

 

 

 

 

 

 

 

 

 

 

 

 

 

 

 

*의자 바위*

 

 

 

 

 

 

 

 

 

 

 

 

 

 

 

 

 

 

 

 

*말머리 바위*

 

 

 

 

 

*구룡대 매표소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기암괴석의 절벽과 名品 松이 어우러진 월성봉. 바랑산*

 

 

*月城峰은 동쪽의 대둔산. 남쪽의 천등산과 함께 노령산맥의 북부 산군으로 화강암이 산체를 형성하여 山頂 地域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으며 화강암의 풍화 구릉들과 기암절벽이 웅장한 것이 특징인 산으로 土城에 달이 비치면 

그 고요함이야 말로 숨을 죽이는 듯했고 城壁에 비친 달빛의 수려함이 으뜸이라 하여 月城이라 부르게 되었다~*

 

  

*바랑산은 산의 생김새가 바랑 (걸낭)같이 생겼다 하여 바랑산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논산시 시가지로

부터 남동쪽에위치하여 있으며 금남정맥의 한줄기로 남동쪽의 대둔산 도립공원을 비롯하여 사방이

산으로 둘려 싸여 있다. 산의 정상에서 북쪽으로 계룡산.쌀개봉. 천황봉. 향적산이 조망되기도 한다*

 

 

*산행코:대둔산 참전유공자 탑~용바위~397봉~수락재(무수재)~계단길~전망대~법계사 갈림길~흔들바위~월성봉~

소서 바위(547봉)~바랑산~법계사 갈림길~절터~오산리~참전유공자 탑* [ 8.76km - 4시간 40분 (운동시간 ) ]

 

 

*논산 오산리 대둔산 참전 유공자 탑*

 

 

*산행 들머리 안골로 향해가며 올려다보는 오늘 산행할 월성봉. 바랑산. 소서 바위*

 

 

*소서 바위와 산아래 법계사*

 

 

*오산리 안골 마지막 집을 옆으로 난 등로를 따라 산행을 시작한다*

 

 

*마지막 農家 집. 웰시 코기가 우리를 보더니 꼬리 치며 앞장서서 간다*

 

 

*많은 눈이 쌓여 잘 보이지 않는 계곡길도 코기는 잘도 찾아간다*

 

 

 

 

 

*용바위 기도처*

 

 

*짜개봉 갈림길*

 

 

*이곳을 산행하는 산객들과 많은 교감을 한 듯 잘 따르고 순하다* 

 

 

*웰시 코기 (welsh corgi) 자신감 있고 친절하며 사납지 않다고 하는 영국산 품종* 

 

 

 

 

 

*능선을 오르며 보는 전망바위*

 

 

 

*397봉*

 

 


*수락재 (무수재) 수락계곡 갈림길*

 

 

 

 

 

 

 

 

 

 

 

 

 

 

 

 

 

 

 

 

 

 

*조망바위에서 보는 대둔산 마천대 방향*

 

 

*대둔산 북릉 돛대봉 방향*

 

 

*오산리 마을과 우측 논산 탑정호*

 

 

 

 

 

*써니 님*

 

 

*현주님*

 

 

 

 

 

 

 

 

 

 

 

 

 

 

 

 

 

*지나온 능선*

 

 

 

 

 

 

 

 

 

 

 

 

 

 

*월성봉과 바랑산의 절벽 능선길에는 사진에서 보는 소나무가 많이 있다*  

 

 

*깔딱재 갈림길에서 지금껏 걸어온 능선*

 

 

 

 

 

*명품송*

 

 

 

 

 

 

 

 

 

 

 

*오산리 마을과 법계사*

 

 

*OCTAGON 모양의 법계사*

 

 

*산행을 진행할 바랑산 방향*

 

 

 

 

 

 

 

 

*월성봉*

 

 

 

 

 

 

 

 

 

 

 

 

 

 

*흔들바위*

 

 

 

 

 

 

 

 

 

 

 

 

 

 

 

 

 

 

 

 

 

 

 

 

 

 

 

 

 

 

 

 

 

 

 

 

 

 

 

 

 

 

 

 

 

 

 

*헬기장의 철쭉평원. 수락계곡 갈림길. 이곳 벤치에서 점심을 먹고 바랑산으로 산행을 이어간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앞서 가는 코기*

 

 

 

 

 

 

 

 

 

 

 

 

 

 

*법계사 갈림길*

 

 

 

 

 

 

 

 

*대둔산 남릉*

 

 

 

 

 

 

 

 

 

 

 

 

 

 

*소서 바위 추모비*

 

 

*소서 바위 벼랑*

 

 

 

 

 

*오산리 하산길*

 

 

 

 

 

 

 

 

 

 

 

 

 

 

 

 

 

 

 

 

 

 

 

 

 

 

 

 

 

 

 

 

 

 

 

 

 

 

*하산길에서 돌아본 소서 바위*

 

 

*바랑산*

 

 

*절터 계곡길*

 

 

*하산하여 올려다본 소서 바위*

 

 

 

 

 

*산행을 시작했던 오산리 마을로 하산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奇妙한 바위와 암릉의 龍鳳山. 그리고 사자바위 陵線*

 

 

 

 

*용봉산 휴양림~구룡대~병풍바위~내님 바위~전망대~용바위~마애불~절고개~악귀봉~노적봉~용봉산~

노적봉~사자바위능선~용봉산 자연 휴양림* [ 산행거리 7.75 km - 3시간 32분 (운동시간) ]

 

 

*용봉산은 山 전체를 뒤덮고 있는 奇岩.怪石이 金剛山과 비슷하다 하여 小金剛이라고 불렸으며.

지금의 용봉산은 고려시대에는 북산(北山). 조선시대에는 팔봉산 (八峰山)이라 불렸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 듯한 形狀인 데서 용봉산 (龍鳳山)이라 유래했다고 한다* 

 

*구룡교를 지나서 곧바로 우측 병풍바위 방향으로 계단길로 오른다*

 

 

 

 

 

*눈앞에 보이는 암벽을 직등하여 올라간다*

 

 

 

 

 

*병풍 바위와 용바위*

 

 

 

 

 

*말머리 바위*

 

 

 

 

 

 

 

 

 

 

 

 

 

 

*병풍바위*

 

 

*코뿔소 바위*

 

 

 

 

 

*암벽등반을 금하는 병풍바위 암벽*

 

 

 

 

 

*명품쉼터*

 

 

*의자 바위*

 

 

 

 

 

 

 

 

 

 

 

 

 

 

 

 

 

 

 

 

 

 

 

 

 

 

 

 

 

 

 

 

 

 

 

 

 

 

 

 

 

 

 

 

 

 

 

 

 

 

 

 

 

 

 

 

*당겨서 찍은 내남바위*

 

 

 

 

 

 

 

 

*내남 바위의 고인돌 바위*

 

 

*내남 바위 꼭대기는 사진의 바위틈 사이로 배낭을 벗어 놓고 올라가면 된다*

 

 

 

 

 

 

 

 

 

 

 

*내남바위. 선바위*

 

 

*충남도청이 있는 내포신도시*

 

 

*지나온 암봉*

 

 

 

 

 

*전망대를 오르며 돌아 본 내남바위*

 

 

 

 

 

 

 

 

*전망대*

 

 

 

 

 

 

 

 

 

 

 

 

 

 

 

 

 

 

 

 

*용바위*

 

 

 

 

 

*병풍 바위*

 

 

*떡바위*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보물 제355호)

 

 

 

 

 

 

 

 

 

 

 

*삽살개 바위*

 

 

 

 

 

 

 

 

 

 

 

 

 

 

 

 

 

 

 

 

 

 

 

 

 

 

*두꺼비 바위*

 

 

 

 

 

 

 

 

 

 

 

*노적봉*

 

 

 

 

 

 

 

 

*행운바위*

 

 

 

 

 

*솟대바위*

 

 

 

 

 

*돌아본 악귀봉*

 

 

 

 

 

 

 

 

 

 

 

 

 

 

 

 

 

 

 

 

*오늘 하산길로 선택한 사자바위 능선*

 

 

 

 

 

 

 

 

 

 

 

 

 

 

 

 

 

 

 

 

 

 

 

*최영장군 활터 능선*

 

 

 

 

 

 

 

 

*사자바위 능선 암릉*

 

 

 

 

 

 

 

 

*얹친 바위*

 

 

 

 

 

*기암*

 

 

 

 

 

 

 

 

 

 

 

 

*잠시 前 내려온 노적봉*

 

 

 

 

 

 

 

 

 

 

 

 

 

 

 

 

 

 

 

 

*사자바위 능선에도 기묘하게 생긴 바위들이 즐비하다*

 

 

 

 

 

 

 

 

 

 

 

 

 

 

 

 

 

 

 

 

 

 

 

 

 

 

 

 

 

 

 

 

*사자바위*

 

 

 

 

 

 

 

 

 

 

 

 

 

 

*고인돌 바위*

 

 

 

 

 

 

 

 

*무너진 산성의 흔적*

 

 

 

 

 

 

 

 

*용봉산 자연 휴양림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친다*

 

 

+ Recent posts